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학교 전환기 교수학습 차이 분석 : 영어 수업을 중심으로

        안태연(Ahn Tae youn),김태은(Kim Tae eun),노원경(Roh Wo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시기에 많은 학생들이 증가한 학습량, 강화된 평가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호소한다. 학교급 전환기에 놓인 학생들은 중학교 진학 후에 전반적인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 수준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인다. 학교급 전환은 새로운 환경과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적응을 요구하기 때문에 사춘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또 하나의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중학생들이 초·중학교 교수학습 방법에 큰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초·중학교 교실 수업 상황에서 드러나는 차이는 전환기 학생들이 중학교 수업에 순조롭게 적응하는데 방해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어 교실수업 담화 분석을 통해 초·중학교 수업 방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초·중학교 전환기에 놓여있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진단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 지역 내에 위치한 초·중학교를 선정하여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영어 수업 총 16차시(초등 8차시, 중등 8차시)를 촬영한 후, 전사과정을 거쳐 교수학습 방법, 학습 동기 부여, 교사 발문 특성, 교사 질문에 대한 학생 반응 기대 시간, 학습 내용 이해 확인, 교사 도움 형태, 교사-학생 상호작용, 학생 활동의 측면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업 방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초·중학교 영어과 교수학습 차이 분석을 바탕으로 학교급 간 교수학습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successful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 during the elementary-to-middle school transition period by looking closely into the classroom practices of English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elementary and two middle schools over a course of five months. A qualitative analysis of classroom observation data revealed a large gap in the teaching practices generally us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particula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he ways teachers stimulate the students’ motivation, confirm their understanding, provide individual assistance, interact with the students, and use questioning techniqu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ways to provide students appropriate support for their successful transition to middle school.

      • KCI등재

        창의ㆍ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안태연(Ahn Tae youn),권서경(Kwon Suh k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최근 공교육을 통한 창의ㆍ인성 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학교 현장에서 영어교과와 연계한 창의ㆍ인성 교육이 어떤 형태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영어교육모델 창의경영학교에서 운영된 창의ㆍ인성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창의ㆍ인성 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을 탐색하여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창의ㆍ인성 영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교육모델학교는 교육부의 지원을 받아 단위학교 중심의 학교 영어교육의 변화를 추진하는 창의경영학교 사업의 일부로 창의ㆍ인성 계발을 위한 영어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모델학교에서 운영한 74개의 창의ㆍ인성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여 총 7가지(영어관련 행사 및 대회, 영어 동아리 활동, 영어 재능나눔 활동, 타교과 연계 영어 프로그램, 창의ㆍ인성 영어 독서 프로그램, 국제 교류 프로그램, 방학 중 영어캠프)로 유형화하고, 초ㆍ중ㆍ고등학교 학교급별로 나타난 각 프로그램 유형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창의ㆍ인성 교육 이론에서 제시한 창의성과 인성 교육 요소가 어떻게 프로그램에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교과와 접목한 창의ㆍ인성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일반학교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of Korea,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pedagogical components of school education; the incorpor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struc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 teaching is recommend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have been integrated into English language classrooms based on the analysi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at schools appointed as English Education Model School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Out of 128 English Education Model Schools, the researchers selected 74 sample case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alyzed and categorized them into seven different types based on their objectives, content, and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how that while the total number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implemented in each school-level were similar, certain types of program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one school-level than the other. By qualitatively analyzing each program,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commonalities among the programs practiced in schools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further examines the ways creativity and personality elements have been integrated into English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support English teachers interested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struction through English language teaching.

      • KCI등재

        한국 남부지방의 강수량 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

        양정석 ( Jeong Seok Yang ),안태연 ( Tae Yeon Ahn ) 대한지질공학회 2008 지질공학 Vol.18 No.4

        한국의 남부지방인 경상남도와 전라남도에서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해보고 강수량 이동평균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한국 남부지방의 여러 관측소에서 지하수위를 분석한 결과 지역적으로 다소 다른 지하수위의 계절적인 변동을 보여주었다. 지하수위는 강수량이 적은 봄철에 떨어지고 여름철 풍수기에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변동 폭은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를 여러 관측소의 자료로 분석한 결과 20일에서 130일 범위의 이동평균값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유역평균 일최대침투량인 한계침투량은 한국 남부지방에서는 10 mm에서 90 mm 범위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계침투량을 고려해서 수정된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이동평균을 구하여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구해본 결과 이동평균일의 범위는 10일에서 150일 이었고, 한계침투량을 고려했을 때 더 큰 상관계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oundwater level were analyzed for the southern area of Korean peninsular. There were somewhat different patterns of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data. The groundwater level data tends to decrease in dry spell and increase in wet spell however the rang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values is quite different for each gauging point. Th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gauging station is obtained in a range of 20- to 130-day moving average period of precipitation. The critical infiltration, which is the maximum daily infiltration averaged throughout watershed, value is turned out to have the range of 10 to 90 mm and the moving average period is 10 to 150 days. We could have stronger correlation when we consider critical infiltration and modify th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than we us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 KCI등재

        공교육정상화법 시행 이후 교육청의 선행교육 점검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논의

        이승미 ( Lee Seung-mi ),안태연 ( Ahn Tae Youn ),김선희 ( Sun Hee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4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이하 공교육정상화법)은 선행학습과 선행교육을 근절하여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2014년에 법이 고시된 이후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는 매년 자체 계획을 수립하여 교육청 소속의 모든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선행교육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교육정상화법이 교육 현장에 적용된 지 3년이 되는 시점인 2016년까지 시·도 교육청이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선행교육 점검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교육 점검과 관련하여 시·도 교육청에서 생산된 문건을 선행교육 점검 대상 학년 및 학교, 선행교육 점검 자료, 선행교육 점검 내용, 선행교육 점검 지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시·도 교육청 업무 담당자(장학사) 및 초·중·고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분석 항목별로 공교육정상화법 시행 상의 한계와 그 원인을 논의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공교육정상화법에 의거한 선행교육 점검은 현행 대학 입시 제도나 자유학기제와 같은 교육 정책과 갈등을 빚고 있었으며, 선행교육 점검을 위해 정보 공시된 자료를 활용하는 점, 점검 기준의 명확성이 부족한 점, 교과별 점검 기준의 구체성이 부족한 점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2014, the government enacted the ‘School Learning Enhancement and Prior Learning Prevention Law’ (henceforth ‘School Learning Enhancement Law’) to restrict prior learning and testing at public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monitoring for prior learning at schools based on the School Learning Enhancement Law and discuss relevant problems in applying this policy. To examine how the law has been implemented by the 17 municipal/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documents reporting the plans and results for monitoring prior learning between the years of 2014 and 2016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chool inspectors and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is law at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conflicts between the law and other educational policies, a lack of clear descriptions of inspection standards, and a lack of concrete examples of curriculum organization/management and assessment that schools can follow were raised as obstacles to enforcement of the law.

      • KCI등재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맞춤형 수업설계 시스템 개발 및 적용

        홍선주 ( Hong¸ Sunjoo ),안태연 ( Ahn¸ Tae Youn ),이상민 ( Lee¸ Sangmin-michell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4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자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수업을 설계하는 교사 전문성에 대한 요구는 최근 빅데이터와 테크놀로지 기반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이 고조됨에 따라 함께 증가하고 있다. 미래 교실에서는 교사가 학습자의 정의적·인지적 특성에 대한 정량·정성적 데이터가 구축된 플랫폼에서 학습자 특성을 최대한 반영한 교실 수업을 설계하는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설계 전문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국외에서 개발된 컴퓨터 기반 프로그램인 simSchool과 CSD를 모델로, 예비교사들이 가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차별화된 처치를 제공하는 것을 연습하게 하는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습 설계 실습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과 학습 상황에서 가상의 한 학급을 구성하는 20명의 학습자 데이터에 근거하여 학습자에게 맞춤화된 수업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의사결정 연습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습 설계 실습 시스템’의 사용은 예비교사에게 수업에서 고려해야 할 학습자 특성의 범주에 대한 인식확대를 통해 학업 수준과 같은 인지적 특성뿐만 아니라, 동기, 진로·적성 등 그 외의 특성도 세심하게 고려된 수업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계기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다양성을 고려한 수업설계 훈련이 향후 자신이 수업 상황에서 마주할 수 있는 어려움을 예측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의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민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었다고 평가하였다. 무엇보다 이러한 시스템의 활용은 교사 양성과정의 수업설계 교육에서 일반적으로 부재했던 ‘학습자’라는 존재를 수업설계의 핵심 요소로 고려할 수 있는 상황적 맥락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향후 학습자 데이터가 구축된 컴퓨터 기반 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설계 교육이 교실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습득 측면에서 제한적인 현재의 교원양성교육이 가진 한계를 극복할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teacher expertise in analyzing learner characteristics based on data and designing customized lessons has grown with the increased awareness of educational use of big data and technology-based platforms. In the classrooms of the future, teachers will need to develop a differentiated teaching expertise which reflects various learning styles into their lesson designs. In this study, simSchool and CSD (Cook School District), were used as models to develop a ‘customized learning design practice system’ for pre-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a series of decision-making exercises to provide differentiated English lessons to a class of 20 virtual learners. The system received positive reviews from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at it made them realize the diversity of learner styles and to think about ways to handle difficulties they may face in actual classrooms in the future. Above all, the fact that the system provided a context where learners existed, which is generally absent in current teacher training courses, was considered very helpful to pre-service teachers. It is suggested that using such computer-based system can offer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urrent teacher training education.

      • KCI등재

        금강유역에서의 지하수위와 강수량 이동평균의 상관관계 분석

        양정석 ( Jeong Seok Yang ),안태연 ( Tae Yeon Ahn ) 대한지질공학회 2008 지질공학 Vol.18 No.1

        금강유역의 관측소로부터 수집된 강우자료와 지하수위자료를 분석하고 두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강우사상이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추계학적 기법인 이동평균법을 사용하여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하수위는 강우의 계절적 분포를 대체로 따르며 대체로 12월 초부터 4월 말까지 낮은 지하수위를 형성한다. 7월과 8월의 풍수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지하수위를 형성한다. 선행강우를 고려하기 위한 강우이동평균값과 지하수위의 상관관계는 자료의 길이가 최소 2년 이상인 지하수위 관측소를 먼저 선정하였다. 강우와 지하수위 관측소 pair를 선정함에 있어 강우의 비균질한 분포를 고려해서 지하수위 관측소보다 상류에 인접한 강우관측소를 선정하여 두 자료를 분석하였다. 금강유역의 여러 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동평균기간이 10일에서 150일 범위의 값을 가질 때 최대상관계수를 가졌다. 상관계수값은 자료의 질이나 결측기간 또는 융설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넓은 범위의 값을 가지는데 금강유역의 경우 최대 0.8886의 값을 가진다.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data sets from Kum river watershed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was analyzed. Moving averaging technique is stochastic method and that was used to consider the effect of precipitation events on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Groundwater level generally follows seasonal precipitation pattern and low level occurs from early December to late April. Relatively high groundwater level is appeared in wet spell (July and August).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to consider precedent precipitation events was analyzed with minimum two-year data sets. When the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data set pair was selected the precipitation gauge station is closely located to groundwater level gauge station in the upstream direction to minimize the non-homogeneous precipitation distribution effect. The maximum correlation was occurred when the averaging periods were from 10 days to 150 days with Kum river watershed data.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influenced by data quality, missing data periods, or snowmelt effect, etc. The maximum coefficient was 0.8886 for Kum river watershed data.

      • KCI등재

        고등학생 영어 쓰기 담화의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

        박재은(Park, Jae-Eun),안태연(Ahn, Tae youn) 한국응용언어학회 2013 응용 언어학 Vol.29 No.2

        From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with a focus on what linguistic elements are used to create particular meanings and functions in argumentative writing. Specially, 100 responses to a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writing item, ‘writing about one’s own opinion,’ were analyzed in three dimensions: presentation of ideas, demonstration of the writer’s point of view, and textu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despite a gap between low- and high-performing students, students were generally capable of writing an argumentative essay in a conventional and authoritative fashion. However, they tended to rely on a limited range of linguistic resources in the aforementioned three dimensions, lacking the ability to utilize linguistic elements needed for refined and exquisite argumentation skills. Based on such findings, we propose an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writing to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교 영어 말하기 수업모형 개발 연구

        박재은(Park, Jae-Eun),안태연(Ahn, Tae youn)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3 영어교육연구 Vol.25 No.3

        As part of a larger research project that addresses English teachers' needs for teaching speaking and writing in preparation for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this study proposes models for teaching speaking to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models were developed with an aim to deal with communicative functions and skills related to NEAT speaking items within a framework that is flexible enough to be applicable to various teaching conditions. Toward this goal, the researchers analyzed five NEAT speaking items to extract the main features as well as devise ways of addressing them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he use of particular textbooks and chapter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lesson plans were developed to deal with the NEAT items and relevant communicative skills in various teaching conditions. Derived from these lesson plans were teaching models in the form of general frameworks that can be easily adaptable by teachers in their own teaching circumstances. The paper focuses on explaining these teaching models and conclude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uch models to promote teaching speaking through public English education.

      • KCI등재

        싱가포르 핵심역량 기반 영어교사 교육의 특징 및 사례 분석

        임수연(Su yon Yim),안태연(Tae youn Ah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6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사교육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는 싱가포르의 교사 연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사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한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싱가포르는 2009년 TE21(A Teacher Education Model for the 21st Century)을 발표하여 핵심역량에 근거한 교사양성 및 육성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교사양성 뿐만 아니라 교사 연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교사교육 전반에 걸쳐 역량중심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서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병행하였고 한국 영어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 해서는 지식, 기술뿐만 아니라 가치 영역에서의 강조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교사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연수의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서 영어과 수석 교사제가 체계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셋째, 연수의 연속성을 위해서 독립적인 영어과 교사 연수센터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넷째, 영어교사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현장의 요구와 밀접한 연관성을 강조하는 싱가포르의 교사연수 사례는 최근 핵심역량을 함양하고자 하는 교사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competence-based teacher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Singaporean case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a detailed analysis of the process in which competence-based teacher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Singapor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articipants - three NIE faculty members, a principle master teacher and two master teachers working at ELIS(English Language Institute of Singapor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in Korea are as follows: 1) In addition to knowledge and skills, values need to be emphasized in teacher’s core competency. 2) The role of master teachers in mentoring and educating their colleagues needs to be strengthened within a well-establishe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3) Subject-specific in-service training centers are required, in which teacher trainers can continuously work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n need of growing pedagogical knowledge in their subject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