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어린이집 봉사활동 경험과 의미 탐색

        안지혜 ( Ahn¸ Jee Hy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어린이집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봉사활동을 경험한 예비보육교사들의 저널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예비보육교사가 경험한 봉사활동은 의무적으로 시작하기도 하였으나 점차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누구나가 할 수 있는 일에서 전문적인 업무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길게 느껴지던 봉사시간이 짧다고 느껴지게 되었다. 또한 모르는 것이 많아 ‘왜?’라는 의문이 드는 경험에서 ‘아!’라고 깨달아가는 경험으로 나아갔으며, 봉사기관에서 만난 이들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에서 함께 하고픈 존재로 거듭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도출되어진 봉사활동의 의미는 몸과 마음으로 행하는 것이 봉사이고 성장판이 열리는 기회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봉사활동은 스스로 책임을 지는 것이며 ‘같이의 가치’의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봉사활동의 의미를 다시 돌아보고 봉사활동의 나아갈 방향을 재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속연구로 코로나 19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봉사활동의 어려움과 의미를 살펴보고 포스트코로나시대를 대비한 봉사활동에 주목할 것을 제안한다. The current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journals of pre-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d volunteer activitie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ith volunteer activities at childcare centers and the significance of those activities. Some pre-service centers were almost forced to engage in the volunteer activities at first, but they gradually participated actively. Their experience evolved from limited experience to greater variety and they no longer feel that the service hours are too long. Also, their curious experience full of the ‘why’ questions evolved into the experience of awakening and the people they met during the volunteer activities from uninvited beings to beings they would want to see again. The significance of volunteer activities is that they learn to devote their bodies and minds and they can take a chance to learn and grow. Also, they can realize the meaning of 'value of together' as every participant shall be responsible for the volunteer activities. The current findings is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look back on the meaning of volunteer activities and re-identify the direction of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가 구성한 좋은 교사의 의미

        안지혜(Ahn, Jee Hy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구성한 좋은 교사의 의미는 어떠한지, 좋은 교사가 되는데 걸림돌이 되는 교사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보육교사들의 의해 작성되어진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였다. 예비보육교사가 구성한 좋은 교사는 건강한 교사, 따뜻한 교사, 자신의 존재가치를 잊지 않는 교사, 존중하는 교사,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교사이다. 이는 사랑을 바탕으로 한 마음씀, 자기이해와 자기배려, 지속적인 성장의 의미를 품는 것이다. 이러한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요구되는 인내심, 만능보육교사가 되어야 한다는 부담감, 잠재적 범죄자로 보는 시선, 극성스러운 부모에 대한 어려움과 부정적인 이미지를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교사양성교육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e current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good teacher defined by pre-service teachers and the difficulties that must resolve in order to be g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reflective journals prepar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good teacher defined by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healthy, warm, and respectful teachers who make efforts to grow and never forget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They should be self-understanding and self-considerate based on love and grow sustainably. It was found that they must resolve the difficulties and negative images related to ceaselessly demanded perseverance, all-mighty teachers with no inability, image of potential criminals, and overeager parents.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serve as teachers in the future and used as fundamental resources for pre-service training.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본 진로에 대한 불안과 희망

        안지혜 ( Ahn Jee Hy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본 진로에 대한 불안과 희망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전라남도 M시에 소재한 4년제 아동학과 2학년인 예비보육교사들 21명의 저널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본 진로에 대한 불안은 자기 자신에 대한 불안부터 자신을 불안하게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에서 경험되었다. 그들이 나아가려는 진로는 경험해보지 않아 알 수 없는 막막함으로 느껴졌고, 고된 일이 되어질 것이라는 불안, 흔들리는 보육교사의 인권과 편향된 관점에 대한 불안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러한 불안 속에서도 진로에 대한 희망을 느끼고 있었는데, 불안한 것은 당연한 과정이라는 것, 위기는 곧 기회가 되어진다는 것,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는 것, 나 자신을 믿고 새로운 ‘나’ 되어가기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불안에 대한 또다른 관점과 행위주체성을 가진 나와 세계에 대해 조명해보았고 희망은 현재와 미래의 대화과정 속에서 이해해야 하며 예비보육교사에게 사회적 지지체계가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보육교사들의 진로에 대한 불안과 희망에 대한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봄으로써 그들을 이해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라 본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nxiety and hopes for the career prospectiv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viewed. For this purpose, journals of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xiety on care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tart from their selves, and it is experienced from the view of others that see them in a uneasy way. The career they intend to take is unexperienced and so it feels like an unknown path, and they have anxiety about work becoming hard, and anxiety on the human rights and biased perspective on childcare teachers that have been wavering. But amidst such anxieties, they feel a sense of hope about their careers, and they are that feeling anxiety is a natural process, crisis will turn into opportunity, that it is a job they enjoy, and that they will become a new ‘me’ and trust in themselves.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other perspectives on anxiety and the self with the behavioral identity, as well as the world were examined. Hope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dialog the present and future and the need for social support systems for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ere examined. By listening to the vivid voices on anxiety and hop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bout their career path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m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social support system.

      • KCI등재후보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의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

        안지혜(Ahn, Jee Hye)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은 어떠한지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내고 탐색해보고자 보육실습을 경험한 예비보육교사들의 저널을 수집, 분석하였다.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의 모습은 몇몇 유아, 일부의 참여로도 진행되는 대·소집단활동, 영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해야 진정한 자유선택놀이, 놀이할 공간 선택에 참여하고픈 바깥놀이, 유아가 선택하지 않아 집중이 어려운 특별활동, 즐거움을 나누고 싶은 식사시간, 휴식을 명분으로 강요가 될 수 있는 낮잠시간, 배변의사보다는 실수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해질 수 있는 배변시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에서의 영유아참여권 존중에 대한 실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교사양성과정의 내용구성에 있어 영유아의 삶과 연결된 권리존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vivid witnesses and journals of the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 about children’s right of participation during their daily routines were obtained and investigated. Daily routines in which th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should have been guaranteed were as follows: large- or small-group activities, which can be progressed with a couple of or some children; free playtime, which would be truly free when children select what to play; outdoor playtime, where children might always want to play; special activities, during which children might not concentrate because they did not choose to do those activities; mealtime, during which children would not enjoy if they are forced to eat; nap time during which children might be forced to sleep; and toilet training time, during which making no mistakes might be more important than willing to pee or poo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uld be beneficial to understand actuality of respect for children’s right of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child care, and to use as basic data for making teacher training courses to respect children’s rights that are connected to their life.

      • 영유아 보육.교육 관련 기관에서의 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2010∼ 2021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안지혜(Ahn, Jee Hye),안소영(An, So Young)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2021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교육 관련 기관에서의 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2010년부터 2021년 현재(2021년 9월)까지의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총 50편을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시기별 연구동향은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진행된 연구가 2019년을 기점으로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연구내용의 동향은 학습공동체 경험탐색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의 동향은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예비교사 대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자료수집방법은 면담법과 관찰법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의 시사점은 학습공동체의 효과와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이 개인 측면, 관계 측면, 전체 측면으로 제시되었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인식 및 요구 조사, 변인에 따른 운영 양상, 다양한 대상에 대한 연구, 효과 검증, 활성화 관련 변인 탐색.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계 체계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실행에 따른 영유아의 변화에 대한 연구, 영유아를 둘러싼 다양한 대상들의 학습공동체 실행 및 경험에 대한 탐구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0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10 to the present of 2021 (September 2021)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the learning communities in institutions related to infant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yearly research trends indicated that studies, which had been conducted continuously since 2010, have increased drastically from 2019. Second, studies that explored the experience of the learning community occupied the most in the trends of research subjects. Third, studies with the subj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ied the most in the trends of research subject, followed by studies with the subject of pre-service teachers.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largely consisted of interviewing and observing, and research methods were found to be mostly qualitative research. Fourth, the implications of the studies presented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measures of activating the learning community from the individual, relational, and overall aspects. Suggestions on subsequent research were shown as investigation of perception and demand, operational aspects per variable, research on various subjects, verification of effect, exploration of variables related to activation, qualitative exploration of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linkage system.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proposed that subsequent studies carry out the research on changes of infant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and experience of the learning community by various subjects surrounding infants.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

        안지혜(Ahn, Jee Hye)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9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놀이상황에서의 딜레마는 어떠한지 알아보고 그 경험에서 드러난 놀이의 의미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실습을 경험한 예비보육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예비보육교사가 놀이상황에서 경험한 딜레마는 교사가 뭔가를 해주어야 하는 것인지 놀이를 위해 매력적인 교구가 필요한 것인지 놀이가 수업으로 진행되어져야 하는 것인지 안전에 집착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는 영유아를 드러내는 놀이 삶과 마음을 공유하는 놀이 같은 듯 다른 놀이 즐거운 놀이 일상이 놀이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직전교육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dilemma of play situations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teachers during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and extract the meaning of play. For that purpose, pre-service early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ilemma which pre-service early teachers experienced during play situations was whether they should help with something, whether they needed attractive tools for play, whether play should take place as a class, or whether they should be obsessed with safety.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early teachers, the meaning of play included play for expressing young children, play for sharing lives and hearts, different plays with similarities, fun play, and everyday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early teachers who will serve as teachers in the future and used as the basic resources for pre-service training.

      • KCI등재

        아랍에미리트의 영유아교육센터 교사로서의 삶

        안지혜 ( Ahn Jee Hy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에 거주하며 영유아교사로서 살아가는 교사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 속에 담겨진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랍에미리트에 거주하며 영유아교사로서 경험이 있는 한국인 교사 3인을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함에 있어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근거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경험의 주요 의미는 ‘부모와 교사로서의 삶 얽힘’, ‘한국인의 정체성 찾아가기’, ‘한국문화를 알리는 가교역할’, ‘다양성 공존’으로 드러났다. 부모로서의 어려움이 직접 교사가 되게 하였고,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치려는 한국 부모와의 만남이 이루어졌으며, 한국문화를 배우려는 현지인들과 함께 하게 되었고, 다른 문화와의 조화로운 공존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아랍에미리트에서 살아가는 영유아교육센터 교사의 삶과 생성된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다국적, 다문화의 아랍에미리트에서 살아가고 있는 한국인 교사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탐색해봄으로써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에 다양성의 이해와 존중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lives of teachers living oversea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meaning contained therein in more depth.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Korean teachers who live in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have experience as teachers. To analyze this,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the bas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as ‘entangled lives as parents and teachers’, ‘searching for Korean identity’, ‘role as a bridge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coexistence of diversity’. The hardships of being a parent led me to become a teacher myself, and I met with Korean parents who wanted to teac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I got to work with locals who wanted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and I was experiencing the differences firsth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d in depth what the liv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teachers living in the United Arab Emirates are like and the meaning they create. In addition, by specifically exploring the lives of Korean teachers living in the multinational and multicultural United Arab Emirates, we expect to be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which has quickly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

        안지혜 ( Ahn Jee Hy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의 경험에서 드러난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예비보육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였다.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지도교사와의 관계 속 어려움은 ‘다가가기 어려움’, ‘주체적이지 못한 나’, ‘나는 외부인’, ‘내가 싫은 건가’였다. 이러한 경험 속에서 드러난 실습생과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의 의미는 ‘관계 속에서 나 성찰하기’, ‘나에게서 지도교사 보기’, ‘가깝게 느끼기’, ‘가르침 받기’, ‘스스로 배우기’, ‘함께 만들어가기’, ‘미래의 동료교사 꿈꾸기’ 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보육교사들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교육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pre-service teachers' relationships with director-teachers based on their experience during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analyzed the reflective journals prepared by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The difficulties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 to the direct teachers during the practicum included ‘difficulty approaching’, ‘lack of spontaneity’, ‘being an outside member’, and ‘feeling of dislike’.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director-teachers was defined as ‘examination of myself within the relationship’, ‘seeing a reflection of the director-teacher in me’, ‘the person closest to me during the practicum’, ‘the person who teaches me’, ‘the person who allows me to learn’, ‘reciprocated relationship’, and ‘future co-worker’. The findings of the study would be us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to understand the pre-service teachers' relationships with director-teachers during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provide helpful training measures.

      • KCI등재

        보육실습 경험에서 나타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 탐색

        안지혜(Jee-Hye Ah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periences forming practical knowledge through childcare practices by would-be child 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practical knowledge that is exposed in those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would-be child 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childcare practice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prepare a reflective journal on their experiences, which was used as an analytic dat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formation of practical knowledge started with vague fear. Nonetheless, they did not give up, but set up hypotheses at the center of context and situation. So, practical knowledge was progressed in the relationships. It was found that infants and children were at the core of such reflective thinking in the process of thinking, and they had a dream of continual growth. The meaning of practical knowledge extracted through such experiences was demonstrated as the power to overcome ontological vagueness but to be reborn as existential being, progress of sympathetic knowledge from simple knowledge, power to think in a plural perspective and the process of continual change. This study would give practical assistance to understand the practice course of would-be child care teachers, and would play a role as basic resources in improving quality of the development of child care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가는 경험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그경험 속에서 드러나는 실천적 지식의 의미는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보육실습을 경험한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반성적 저널로 작성하도록 하여 이를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실천적 지식형성은 막연한 두려움을 직면하면서 시작되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자신을 중심으로 가설을 세워보기도 하고, 관계 속에서 진전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고의 과정에서 반성적 사고의 중심에 영유아가 있음을 확인하며 자신의 가치관을 돌아보게 되었고 계속적인 성장의 삶을 꿈꾸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도출된 실천적 지식의 의미는 실존적존재로 거듭나게 하는 힘, 공감하는 앎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 다원적인 관점으로 생각하게 하는 힘, 끊임없는 변화를 거치게 되는 지식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보육교사의 실습과정을 이해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며, 보육교사 양성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가 경험한 보육실습의 시간적 의미

        안지혜(Ahn, Jee-Hy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경험하는 보육실습의 시간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그 경험 속에서 드러나는 시간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실습을 경험한 예비보육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 였고 자신의 경험을 반성적 저널로 작성하도록 하여 이를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보육실습을 통한 경험은 설렘과 두려움이 공존한 가운데 시작되어 버티고 적응해 나가다보니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어갔다 그들은 직접 행함으로써 배우고 알아가는 과정 속에서 여전히 어려움을 느끼기도 했지만 그 과정에서 보육교사로서의 길을 찾아가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도출된 시간적 의미는 보육실습은 꼭 거쳐야 하는 시간 몸이 느끼는 시간 나 자신을 마주하는 시간 체화되는 시간 의미부여된 시간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보육교사의 실습시간은 물론 그 시간을 살아가는 예비보육교사의 존재를 이해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며 실습에 대한 지원체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있을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d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teachers to examine the temporal meaning in their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he pre-service early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with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study. Their experience was written in self-examining journals to use for the analysis.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 began with excitement and fear and the teachers naturally adapted to it over time. They still found it difficult to learn by doing. However, they were exploring their paths as teachers in that process. The meaning of time in their experience included the time that must be endured as a rite of passage, the time felt and resisted by your body, the time of confronting yourself, the time of learning through experience, and the time with signified meaning. These findings will provide substantial help for understanding the practicum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teachers and can be used as fundamental resources in regards to the systems to support their practic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