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DPSOS) 타당화 연구

        안정광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4

        This study valida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 scale (DPSOS), which measures the tendency to devalue positive social experiences, one of the cognitive traits of people with a social anxiety disorder. The DPSOS was administered to 220 adults. To verify convergent validity, social anxiety symptoms, and cognitive states/traits of social anxiety were measured. The self-construal scale was also conducted to demonstrate discriminant validit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DPSOS was consistent with the two-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The DPSOS showed good reliability and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The DPSOS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traits of social anxiety disorder, and can be usefully used dur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인지적 특성 중 하나인 긍정적 사건의 평가절하 경향성을 측정하는 한국판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를 타당화 하였다. 22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를 시행하였다. 수렴 타당도 검증을 위한 사회불안 증상, 사회불안의 인지적 상태 및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변별 타당도 검증을 위해 자기 구성개념 척도를 시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가 원척도의 2요인 구조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척도는 신뢰도가 우수하고 수렴 및 변별 타당도가 양호하였다.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는 사회불안장애의 인지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 향후 인지행동치료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몇가지 생장조절물질(Gibberellin, IAA, Neosoiabital, 2·4-D)들의 콩나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안정광 제주대학교 1970 논문집 Vol.2 No.-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on August, 1970 to choose good plant growth regulators and varieties of bean for the culture of bean sprouts. After the bean seeds were treated in the solution of Gibberellin, IAA, 2. 4-D and Neosoiabital for two to five hours, they were planted in the pottery pots. The varieties of bean used in these studies were : Chaerae 1337, Chaerae 1338, Chaerae 1339, and Kwang du. The treatments with 1 ppm Gibberellin and 1 ppm IAA diluted solution were known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growth of bean sprout stems. The treatments with 0. 1 ppm 2. 4-D, 10 ppm IAA, 1ppm IAA mixed with 1 ppm 2. 4-D, and 0.5 ppm 2. 4-D diluted solution showed a greater effect than without such treatment in the growth of bean sprout stems. The results of the treatments for the plant length of bean sprouts were similar to the effects on the growth of bean sprout stems. The plant growth regulators which inhibited the growfh of bean sprout roots were as follows in order of inhibiting effect : 1 ppm Gibberellin, Neosoiabital, and 1 ppm IAA mixed with 1 ppm 2. 4-D diluted solution. The growth of bean sprout roots were accelerated exceedingly in the treatment with 1 ppm IAA diluted soluton. There were no effects of the treatments with Gibberellin and Nesoiabital in the weight of living bean sprouts. But 1 ppm IAA, 10 ppm IAA, 1 ppm IAA mixed with 1 ppm 2. 4-D diluted solution increased the weight of living bean sprouts. 2. 4-D diluted solution over 1 ppm can not be applyed because this solution induced severe chemical injury and many deformities. 0. 5 to 0.1 ppm 2. 4-D diluted solution had a tendency to accelerate the growth of bean sprout stems and to inhibit the growth of bean sprout roots. It is important to choose good varieties for the culture of bean sprouts because thegrowth of stem and root of bean sprouts, and their living weight were remarkably inftluenced according to the variety of bean. It was proved that Chaerae 1337 and Chaerae 1338 which are small bean seeds were better than Chaerae 1339 and Kwang du which are large bean seeds for the culture of bean spouts.

      • KCI등재

        콩 탄저병에 대한 종자소독제의 효과

        안정광 한국응용곤충학회 197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9 No.1

        콩 탄저병에 대한 우수한 종자소독제를 선발하고자 병원균을 종자와 토양접종한 다음 각종소독제에 의한 시험과 조지대에 의한 약효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종자소독제는 Arasan, Orthocide, Phygon-XL, Luberon, Mercuron 및 P.T.A.B등을 공시하였다. Arasan은 모든 시험구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종자접종구에서는 모든 공시 약제의 효과가 현저하였으나 약제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토양접종구에석는 루베론을 제외한 약제는 무처리보다 효과가 있었으나 약제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조지용법에 의한 시험에서는 약효가 일치되지 않았으나 경향은 비슷하였다. Effect of seed disinfectants for controlling the soybean anthracnose was investigated with percent of seedling infection to seed or soil and with inhibition zone on potato dextrose agar. The chemicals tested were as follows: Arasan, Orthocide, Phygon-XL, P.T.A.B. and Mercuron. In seed inoculation, all the chemicals used resulted in significantly less seedling infection than that obtained in control. In the case of soil infection, the result was similar to the above but percentages of the infection were lower than the seed inoculation. Percentages of seedling infection were not necessarily correlated to the inhibition zones on potato dextrose agar by the same chemicals.

      • KCI등재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노출 및 비디오 피드백과 이미지 재구성법의 효과 비교 예비 연구

        안정광,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ilot study to compare the effects of exposure plus video feedback (VF; n=10) and imagery rescripting (IR; n=12) among participa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social anxiety disorder (SAD). The subjects consisted of 22 people diagnosed with SAD through a structured interview. The vividness, distress, and frequency of negative self-imagery (NSI) and those of negative past memory (NPM) were addressed before and after therapy. In addition, social anxiety symptom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ocial phobia scale, brief-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judgmental bias (subjective probability/cost questionnaire), and core belief were also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vividness, distress, and frequency of NSI reduction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main effects of time were significant. 2)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vividness and distress of NPM reduction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main effects of time we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frequency of NPM, both the interaction and the main effect of time were not significant. 3)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 anxiety symptom reduction, but the main effects of time were significant. In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the I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but the VF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on the within-group comparisons. 4)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decreasing judgmental bias, but the main effects of time we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cost bias, the IR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within-group comparison, but the VF group was not significant. 5)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core belief reduction, but the main effect of time was significant. 6) On all social anxiety scales, the VF group showed medium to large effect sizes, and the IR group showed large effect siz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 진단을 받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노출 및 비디오 피드백과 이미지 재구성법을 시행하고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구조화된 면접을 통해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된 22명의 사람들로 선발하였다. 부정적 자기상과 부정적인 과거 기억의 생생함, 고통,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공포증 척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사회적 회피 및 불편 척도, 주관적 가능성/손실 평정 척도, 핵심 신념을 치료 전, 후에 측정하였다. 노출 및 비디오 피드백과 이미지 재구성법의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1) 부정적 자기상의 생생함, 고통 및 빈도 감소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간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부정적인 과거 기억의 생생함과 고통 감소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간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과거 기억 빈도의 경우에는 상호작용과 시간 주효과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3) 사회불안 증상 감소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간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하였다. 사회불안 척도 중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에서는 이미지 재구성법 집단 내 변화는 유의하였으나, 노출 및 비디오 피드백 집단 내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4) 판단 편향 감소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간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하였다. 손실 편향의 경우 이미지 재구성법 집단 내 변화는 유의하였으나, 노출 및 비디오 피드백 집단 내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5) 핵심 신념 감소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간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하였다. 6) 사회불안과 관련된 모든 척도 점수에서 노출 및 비디오 피드백 집단은 중간~큰 효과크기로 감소되는 양상이었고, 이미지 재구성법은 모두 큰 효과크기로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이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불안장애 인지행동 집단 치료에서의 긍정적, 부정적 자기상의 변화 및 사회불안과의 관계 연구

        안정광,이한나,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8 인지행동치료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relationship of social anxiety symptoms, positive and negative self-views during cognitive behavior group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SAD). All of 40 subjects who diagnosed with SAD through structured interview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ocial anxiety symptoms and the self-views were measured before treatment, after 4 weeks, after 8 weeks,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anxiety symptoms and the negative self-view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positive self-view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treatment. The negative self-view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early stage of treatment, but the positive self-view increased at the later stage of treatment. The negative self-view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duction of social anxiety symptoms, but the positive self-view was not.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self-view and the positive self-view.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집단치료를 시행하고, 긍정적, 부정적 자기상의 변화 양상, 자기상과 사회불안 증상과의 관계, 긍정적, 부정적 자기상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모두 40명으로 구조화된 면접을 통해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된 사람들로 선발하였다. 사회불안 증상 및 긍정적, 부정적 자기상은 치료 전, 4회기 후, 8회기 후, 치료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행동집단치료 동안 사회불안 증상, 부정적 자기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긍정적 자기상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부정적 자기상은 치료 초반 크게 감소하는 형태였으며, 긍정적 자기상은 치료 후반 증가하는 형태였다. 또한 치료 동안의 부정적 자기상의 감소는 사회불안 증상 감소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긍정적 자기상의 증가는 사회불안 증상 감소와 유의한 상관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더해, 치료 전반부의 부정적 자기상의 감소는 치료 후반부의 긍정적 자기상의 증가와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DHD 하위유형에 따른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신민섭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especially in executive functions between subtypes of ADHD. Of all 55 ADHD children, 34 children was ADHD, combined type (ADHD-C), and 21 were ADHD, predominantly inattentive type (ADHD-I). Neuropsychological tests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KEDI-WISC-R), executive functions(ROCF, CCTT, STROOP, WCST), and attention(ATA) were individually administered to children. And the estimated scores of those test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age norm for each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SIQ, VIQ, and PIQ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DHD-I group tended to show higher scores on the subtest of Coding. In terms of inhib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subtypes of ADHD children. But ADHD-I group showed higher prompt errors on CCTT-2 than ADHD-C group children. The ADHD-C group scored significantly lower on cognitive flexibility, but higher on planning scores in WCST than ADHD-I group. The ADHD-I children also have inhibition problems like ADHD-C children. The ADHD-C children have better planning ability, but have less cognitive flexibility than ADHD-I children. 이 연구에서는 ADHD 하위유형인 혼합형과 부주의형 사이의 신경심리기능, 특히 실행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5명의 ADHD 아동들 중 34명은 ADHD 혼합형이었고 21명은 ADHD 부주의형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실행기능, 주의력과 관련된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지능,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 사이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ADHD 부주의형 아동들의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억제능력에서는 하위유형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ADHD 부주의형이 CCTT-2에서 더 많은 촉진 오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ADHD 혼합형 아동들이 WCST로 측정한 계획능력에서는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인지적 유연성에서는 ADHD 부주의형 아동들보다 더 낮은 점수를 보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