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mplementing stream processing functionalities of Splash

        Jaeho Ahn(안재호),Soonhyun Noh(노순현),Seongsoo Hong(홍성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To accommodate for the difficult task of satisfying application’s system timing constraints, we are developing Splash, a real time stream processing language for embedded AI applications. Splash is a graphical programming language that designs applications through data flow graph which, later automatically generates into codes. The codes are compiled and executed on top of the Splash runtime system. The Splash runtime system supports two aspects of the application. First, it supports the basic stream processing functions required for an application to operate on multiple streams of data. Second, it supports the checking and handling of the user configurated timing constraints.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implementation of the first aspect of the Splash runtime system which is being developed using a real time communication middleware called DDS.

      • KCI등재

        屬性配列法에 따른 東南海岸圈 無文土器 文樣의 編年

        安在晧(Ahn, Jaeho)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3 No.-

        고고학의 연대측정법은 공반유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속성배열법도 유구의 유물 공반을 통하여 유물과 유구의 상대연대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공반표시가 된 행열을 이동하여, 공반표시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조작하는 방식이다. 단 유물의 형식 혹은 속성 중에서 시간성이 긴 장기형식(속성)과 짧은 단기형식을 구분하고, 그 각각을 별도로 조작하여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러나 속성배열법으로는 상대연대를 밝힐 수는 있지만, 형식학처럼 형식조열된 분류가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자료에 대한 검증은 부족한 방법이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상대연대로 나열된 형식 혹은 속성을 형식학적으로 혹은 순서배열법의 측면에서 편년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청동기시대의 취락연구를 위해서는 주거지의 동시성이 밝혀져야 하는데, 1동의 가옥의 사용기간을 단위로 하려면 다시 말해서 30년 단위의 편년을 위해서라면, 자료가 기존보다는 더욱 세분되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청동기시대를 6~8단계로 편년하여 왔지만, 본고에서는 돌대문토기의 조기 4단계, 가락동계·역삼동계 토기의 복합문양이 중심인 전기 8단계, 단독문양으로 시문된 후기 6단계 총 18기로 편년하였다. 이 편년 안에 C14연대와 대조를 해보니 서로 정합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한 단계의 시간은 대략 40년으로서 2세대의 기간에 해당하는데, 이것은 1동의 가옥에는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가 공존하거나 혹은 그 부모세대의 영향이 늦게까지 존속한 것이라 판단된다. In archeology, the age of a relic is estimated using associated relics in general. Ordination is a method that estimates the relative age of a relic or tool by association. This method is to move matrix with association marks so that association marks are arranged in seri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vide relics into those with long term type(attribute) and short-term ones in terms of type or attribute and analyze them separately. Although it is possible to know the relative age with ordination alone, the method is not sufficient to examine new data as it does not classify in series like typolog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arrangement of types or attributes arranged by relative age, from a perspective of typology or seriation. For a study on settlements of the Bronze Age, the simultaneity of dwellings needs to be identified. To use the period of use of a house as the unit, in other words, to record ages on a 30-year basis, the data is required to be more fragmented than before. Until now, the Bronze Age has been recorded chronologically in six to eight phases, but in this paper we classified a total of 18 phases. We found that there is conformity between this type of chronology and the radiocarbon dating. Every phase lasts for 30 to 50 years, equal to two generations, which indicates that parents and children lived together in the same house or the influence of the parents remained.

      • KCI등재

        철학치료와 주희의 수양론

        안재호(AHN, JAEH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7 No.-

        상담을 위주로 하는 철학치료는 서양에서 이미 30여 년의 역사가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몇몇 선구자로부터 시작하면 거의 20년의 역사를 지닌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에는 상당한 연구업적과 논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작은 논문에서 그것을 모두 살피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필자는 가능한 한 핵심적인 내용을 정리해보고 그 논리가 지닌 의미를 간단하지만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그런 이후에 주자의 심 개념과 그 특징에 근거한 공부 방법(특히 철학치료와 관련된다고 보이는)을 고찰해서, 그것들이 철학치료(가능한 것이라면)가 추구하는 효과에 얼마나 공헌할 수 있는지, 혹은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The philosophical therapy centered on counseling has been a subject of research over 30 years in the West. Starting with some pioneers, it has a history of about 20 years in Korea, and there are considerable research achievements and logic so it is difficult to examine all of them in this paper. Nevertheless, I tried to summarize the core contents as much as possible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logic in a simple but critical way. Also I studied the notion of Xin[心] and moral cultivation of Zhuzi’s philosophy and examined how they can contribute to, or supplement the effects of philosophical therapy(if possible).

      • KCI등재

        우암송시렬(尤庵宋時烈)의 수양 공부론 추의(芻議) ― 도덕 실천의 토대 신뢰와 주재자 확립 ―

        안재호 ( Ahn Jae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 No.69

        우암은 주자학 그리고 율곡학의 정신과 전통에 깊이 공감하고 계승하려는 열망을 지니고, 또한 현실 세계의 바람직하지 못한 모습을 안타깝게 여기고 이를 개혁하려 노력한 성리학자이다. 그래서 그의 이론체계는 현실 혹은 잠재된 것이 발현한 결과에 주목하고, 그것을 이상적으로 이끌 것을 강조한다. 이런 우암의 의도는 直으로 표현되기도 하는, 純善한 근거에 대한 절대적 신뢰를 바탕으로 주체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주재자의 확립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존재의 근원인 리는 어떤 작위도 하지 않아서 활동의 주체인 心氣에 의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수양의 근거인 성리 등은 최고의 훌륭함이지만, 기질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으므로 수양 주체인 심기를 이상적인 상태로 확립해야 한다. 이에 따라 우암은 명덕 개념도 심기나 성리 어느 하나만이 아니라 심성정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주장했다. 또한 심이 성정을 온전히 보존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심 자신의 본래 상태를 견지하여 주재자로서의 신분을 엄정히 해야 한다. 그래서 그는 주체인 심의 주재성을 확보할 수 있는 持敬공부, 진위와 시비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성찰하고 궁리하는 공부를 강조했다. 우암의 이런 공부론은 여타의 주자학자들과 구분되는 특징적인 개념이나 명제, 혹은 새로운 체계 건립 등을 보여주지 못했다. 그러나 그것은 객관 형식에 머무를 수 있는 천리를 인간의 능동성을 통해 실현하려는 노력이며, 주자학 체계에서 마땅히 강조되어야 하는 모습일 수밖에 없다. 물론, 인식과 판단을 위주로 하는 주체가 어떻게 의지를 촉발하는 지 설명하기 어려운 것은 우암 공부론의 근본 문제이기도 하다. Song SiYeol is a Neo-Confucian scholar who felt sorry for the undesirable aspects of the real world and tried to reform them. So his theoretical system focuses on the reality or the consequences of manifestation of latent things, and emphasizes the idealization of them. His these intentions can be realized, also expressed as honesty, based on the absolute confidence in pure good ground, through a clear perception of the subje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host. So he emphasizes the study that can secure the subject's primacy, and the study that clearly distinguishes true lies and right wrong. Song’s theory of self-discipline did not show any distinctive concepts, propositions, or the construction of a new system, which distinguished it from any other Neo-Confucian scholar. But it's an effort to realize the fundamental principles that could be stayed in the form of objectives, through human activity, and a shape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the Neo-Confucian system. Of course, It is a fundamental problem in Song’s theory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how a subject that focuses on perception and judgment triggers will.

      • KCI등재

        오징(吳澄) 심학(心學)의 공부론 천석(淺析) ― 존덕성(尊德性)와 도문학(道問學)의 변증법

        안재호 ( Ahn Jaeho ) 한국중국학회 2021 중국학보 Vol.98 No.-

        오징은 주자학을 이성주의라는 방향으로 더욱 발전시킨 원대 주자학자이다. 그가 비록 심체와 심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은 결코 陸王과 같은 것이 아니라 다만 심 그 자체의 기능과 전체 유학 전통을 가리킬 뿐이다. 오징은 명철한 이성 활동으로 性理를 깨닫고 그 깨달음을 간직하여 그대로 실천하는 노력이 언제나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궁리를 통한 “道問學”과 주경으로 수행하는 “尊德性”이 바로 그런 노력이다. 그중에서 공경하고 두려워하는 태도로 엄숙하고 장중하게 모든 것을 대하는 공부가 바로 主敬으로 수행하는 존덕성이다. 그리고 견문은 마음속 이치들을 환기하는데, 이 과정에서 모든 것을 진실하게 하는 “생각함”이 요구된다. 이것이 바로 궁리를 포함하는 도문학이다. 오징의 공부론은 비록 “존덕성”을 우선 하고 “경” 공부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지만, 그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은 규범적 생활의 습관화로부터 이성주의에 이르는 “도문학”에 다름 아니다. Wu-cheng is a scholar of the Yuan Dynasty who further developed the study of Zhuzi in the direction of rationalism. Although he uses the terms heart/mind itself and school of heart/mind, but it is by no means the same as LuWang[陸王], but merely refers to the function of the mind and the entire Confucian tradition. Wu-cheng insisted that efforts should always be made to realize the principle of Nature through clear rational activity and to keep that realization and practice it as it is. Among them, the study of dealing with all things with respect and fear, solemnly and dignifiedly,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It is “respecting on dignity” performed with “focusing on reverence”. And seeing and hearing awaken the principles of the heart, in this process, “thinking” is required to make everything true. This is “asking and learning” through “exploring the principles”. Although his cultivating theory is based on “respecting on dignity” and “focusing on reverence”, its concrete and direct method is nothing but “asking and learning” from the habituation of normative life to rationalism.

      • KCI등재

        韓國農耕社會의 成立

        안재호(Jaeho Ahn) 한국고고학회 2000 한국고고학보 Vol.43 No.-

        한반도 중부이남지역의 農耕社會는 遺蹟의 立地와 石斧의 型式에 따라, 平地型聚落의 田作(渼沙里·大坪里遺蹟), 山地型의 火田耕作(白石洞遺蹟), 丘陵型의 水田作(玉峴遺蹟)이라는 3類型으로 模型化할 수 있다. 최초의 農耕社會즉 무문토기시대 早期는 몇몇 平地型聚落에서 共通的으로 보이는 渼沙里式住居址의 突帶文土器文化로서, 한반도 압록강유역 또는 요동지방과 관련이 깊은데, 新石器時代末期의 土器文化와 접촉하여 성립한다고 추정된다. 田作을 중심의 농경이었던 이 시기의 大坪里遺蹟住居址에서 벼·보리·밀·조가 출토되었다. 前期는 한반도 南韓에 있어서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으로 二元化하여 발전한다. 중부지역의 可樂洞式土器와 驛三洞式土器가 전개될 당시 남부지역은 여전히 突帶文土器가 존속하고 있다. 이 시 기 중부지역의 새로운 문화는 북한 서부지역의 팽이型土器와 관련되며, 屯山式住居址가 특징이다. 이 다음 남한 전지역에 출현하는 欣岩里式土器는 한강유역에서 형성되고 細長方形의 館山里式住居址가 특징이다. 山地性취락으로서 火田경작을 동반하는 이 型式의 住居址는 竝列하여 聚落을 이루며, 2∼4기의 爐를 중심으로 大家族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家族는 中國東北地域으로부터 靑銅器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시기와 같이하여, 2∼4棟으로 分棟된 世帶共同體로 변화하면서, 聚落은 群集의 형태를 띤다. 이 劃期부터 無文土器時代中期가 되는데, 水稻作·環濠·松菊里式住居址·有溝石斧와 三角形石刀등의 출현과 함께 有力個人또는 有力集團이 등장한다. Three types of agricultural societies can be recognized based on site location and tool kits during the Mumun pottery period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First type of the community distributed along riverine environment in the alluvial plains(e.g., the sites of Misari and Daepyongri). Second one spread on the ridges and slopes of the mountains(e.g., Baeksugdong site), and the last was formed on the hill side facing towards alluvial plains(e.g., Okhyun site). The early agricultural society developed on the alluvial plains, characterrized by dwellings with square floor plan, pottery with decorative panels, and stone-adze for cultivation. This culture was indigenous development from a local Neolithic culture with the influence of northwestern Korean culture. Rice, wheat, barley, and millet were discovered at Daepyungri site, suggesting the presence of crop-cultivation. The next stage of farming society is characterized by rectangular dwellings, Heunamri type pottery, and ground stone-adze for wood-cutting. Site location and tool kits suggest that the people of this culture practiced a slush-and-burn farming on the mountains. The rectangular floor house is the most common dwelling structure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Each house is relatively large, having two to four hearths inside, and the houses were linearly arranged. The last stage of farming society is characterrized by round dwellings, pre-Songgungri type pottery, and stone-adze for wood-working. The villages were formed in a circular arrangement on the hillside.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might have been carried out in a unit of two to four households in a community. Wet-rice cultivation started in this period. This culture was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Bronze age culture in northeastern China.

      • KCI등재

        울산 세죽유적의 상대편년과 탄소14연대

        안재호(Ahn, Jaeho),이창희(Lee, Changhee) 부산고고학회 2013 고고광장 Vol.- No.13

        유구와 유물은 동시기성의 공반상을 통하여 비로소 고고학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지게 된다. 모든 고고학적 상대편년은 이 동시기성을 이용하여 작성되어야 하고, 또 분류기준에 따라서 그 결과는 달리 나타난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고고학자는 합목적성을 띤 고고자료의 분류방법을 찾는 것이 당면하는 첫번째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세죽유적의 편년을 배열법이라는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새롭게 작성하였다. 본고의 편년은 보고 서의 고찰과는 다르지만, 그 이유는 토기의 문양에서 분류기준이 다른 까닭이고, 어느 쪽의 결과도 잘못된 것은 아니다. AMS법을 통한 탄소14연대는 오차를 줄이고 토기에 부착된 탄화물 시료로써, 토기 각각의 개체에 대한 절대연대를 알 수 있게 되었고, 토기형식과 탄소14연대를 대비시켜 기존 연구의 검토와 형식설정의 검증 등을 통하여 새로운 차원의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배열법을 통한 세죽토기의 문양 상대편년과 탄소14연대는 대체로 정합성을 띤다는 것이 밝혀졌 다. 세죽유적은 대략 기원전 5600∼5200년에 걸친 조기-전기에 형성되었다. 그중에서 전기문화의 시작을 구순각목문·파상구연문으로 본다면 5400년이 되며, 그 요소 중의 하나로 인식한 점토대문의 탄소14연대는 오히려 5500년 전후로 나타나 배열법의 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두 로써 각목한 지두융대문은 5300년 이후로서 세죽유적의 경우에는 전기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배열법을 통한 세분된 편년체계와 탄소14연대를 통하여 향후 신석기시대의 지역색과 지역간의 교류상이 밝혀지고, 신석기시대에도 취락고고학의 영역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세죽유적, 토기 시문기법 문양, 배열법, 상대편년, 탄소14연대, 토기부착탄화물 We revised chronological order of the excavation report of Sejuk site, using the Ordination. After having simplified the classification of the pottery pattern, We analyzed it newly. And we newly named this way the Ordination method while making use of a good point to distinguish short-term attributes and long-term attributes. Radiocarbon dates and chronological order using the Ordination method were very conformal. And We understood that this result was not different from a chronology of the south coast, South Korea. It can be regarded as the validity of the Ordination method has been verified. The interest about carbide attached to the pottery increases by the Radiocarbon dating recently. There was not site that was more excellent than Sejuk site at South Korea as far as we looked in a sample to date. As for the trial that combined archaeological analysis and radiocarbon dates using carbide attached to the pottery, this time is naive in South Korea. Therefore, we want to evaluate this work to have significance. We must make an effort from now on how do we combine radiocarbon dates with archaeological methods. It may be said that this paper is a part of such development and effort.

      • KCI등재

        新石器時代의 自然環境과 文化變動 — 早ㆍ前期를 中心으로

        安在晧(Ahn, Jaeho) 한국고고학회 2017 한국고고학보 Vol.105 No.-

        본고는 경주 황성동267유적과 울산 세죽유적에서 신석기시대 조ㆍ전기의 상층에서 확인된 자갈층이 대 홍수에 의해서 기원전 3000년경에 형성된 것이고, 그로 인하여 전기문화는 소멸되고 중국 동북지방으 로부터 침선문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어 중기문화가 시작된다고 한 필자의 이전 주장을 재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남한지역에서 신석기시대는 기원전 5800년부터 5500년 사이의 前海退期에 죽변리유적이나 오산리유적 C지구 등이 형성되어 조기문화가 시작하며, 그 뒤를 잇는 소위 飛鳳里海進期는 기원전 3000년까지 지 속되는데, 비봉리유적과 울산 황성동유적군이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 비봉리해진기에는 장기간의 해 진 사이사이에 짧은 해퇴가 반복적으로 6회에 걸쳐 나타나는데, 해퇴 시기에 비봉리유적의 패층과 오 산리유적의 부식질사토층이 형성되며, 이 기간의 초기에는 문암리유적이, 늦은 시기에는 경주 황성동 267유적이 형성된다. 이 이후에 퇴적된 신석기시대 전기와 중기 사이의 사력층은 해진최상승기와 후해 퇴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발생한 사퇴와 대홍수에 의해 퇴적된 것이며, 그 시기는 대략 기원전 3000년 (4,40014C BP)에 해당한다. 이후에 한반도의 서북으로는 중국 요동반도계의 문화가, 동북으로는 연해 주의 편목문토기문화가 유입하여 한반도 고유한 중기문화가 형성되었다. 토기문화의 유입은 이주의 증 거이며, 이는 신석기시대 중기 사회와 문화는 요동계 연해주계 그리고 토착계의 융합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evaluate the author’s previous argument that the gravel strata found on the upper layers of the Neolithic remains at Hwangseongdong in Gyeongju and Sejuk in Ulsan were formed by the great flood that happened at around 3,000 BCE, which resulted in the extinction of the Early Neolithic Culture at these sites and made possible the Middle Neolithic Culture, which came to be newly established following the cultural influx from the region of Northeast China and is characterized by its comb-pattern. For this purpose, evidence from Sejuk and Hwangseong-dong, as well as from the site of Bibong-ri in Changnyeong,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sequences of strata at the sites, the artifacts excavated, and the radiocarbon dates. During the Formative Period at these sites, the sea level was on a rise phase; in the period of gravel strata formation, there was a drop in sea levels. The result of these changing conditions may have been the collapse of many slopes, sediment increases in rivers, and frequent local downpours.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characterized by many old mountains, surrounded by water on three sides, and exposed regularly to long rainy seasons and typhoons, the acceleration of river currents resulting from the drop in sea levels would have caused the frequent great floods that happened throughout the peninsula at the time. After the floods, which not only destroyed the previous settlements but were also accompanied by cold weather, the Middle Neolithic cultures of the Korean Peninsula began to be formed with the influx of the Xiaozhushan Culture, which originated in Northeast China at around 3,500 BCE.

      • KCI우수등재

        松菊里文化의 傳播와 聚落網

        안재호(Ahn, Jaeho),김유현(Kim, Yuhyun),남민아(Nam, Mina),지현준(Ji, Hyeonjun)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21

        송국리문화는 수전농경을 수반한 외래계 문물(독립동지주건물, 저장혈, 토기가마, 옹관묘, 송국리식토기, 타날기법, 중국식 저부, 石錘)과 토착계 문물(송국리유형주거지, 석관묘, 유구석부, 유경식석검, 삼각형석도 등) 이 융합한 산물이다. 기원전 10~5세기에 걸쳐 호서해안지역을 시작하여 주변으로 확산되었다. 본 연구는 송국리문화의 문물을 통하여 송국리유형주거지가 조영된 취락의 문화지수를 산출하고, 시군단위의 평균치로써 송국리문화지수 등고선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등고선 형태로써 7개의 지역권과 등고의고저를 통하여 문화전파의 루트를 찾을 수 있었다. 문화의 확산은 해안루트와 내륙루트가 있으며, 내륙루트는 각 권역 내에서의 전파이고, 해안루트는 중서부지역에서 전남서부권과 남강유역권으로의 전파가 중심이다. 여기에서 다시 제주권과 여수권으로 2차 해상전파가 이루어진다. 내륙루트도 중서부지역권에서 김천-거창권으로 다시 대구권으로 전파된다. 그리고 유적의 분포로써 다수의 취락공동체를 묶고 문화지수를 위계화하여 상・하위취락의 사회망을 검토하였으나, 중서부지역권을 제외한 주변지역에서는 상관성이 드러나지 않았다. The Songguk-ri culture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roduct of the convergence of foreign and local paddy-field agricultural communities, the former represented by shrines, storage pits, earthenware kilns, jar burials, Songguk-ri style pottery, the forming of vessels using the beating technique, Chinese-style vessel bases, and stone weights, and the latter by Songguk-ri style dwellings, stone coffin burials, grooved adzes, tanged daggers, and triangular harvesting stone knives. Throughout the period from the 10th to 5th century BCE, the Songguk-ri culture spread from the coastal areas of the Hoseo region to nearby area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research in which a ‘Songguk-ri culture index’ was developed for on settlements featuring Songguk-ri style dwellings and contour map was drawn,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index for each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Based on this approach, seven areas could be distinguished and differences in the heights of their contours was used to infer the routes through which Songguk-ri culture spread. The Songguk-ri culture took place via both coastal routes and inland routes. While the spread of this culture through inland routes was restricted to a regional scale, coastal routes facilitated the spread of this culture from the southern regions of South Jeolla Province to the Nam River region, and the subsequent secondary spread to Jeju and Yeosu. The inland routes facilitated the spread from the mid-western region to the Gimcheon-Geochang region, and then again to Daegu. Within each regional unit, different settlements were grouped together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s of artifacts in each region, and the settlement web was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cultural index hierarchy of communities.

      • KCI등재

        육구연의 “실학(實學)” 체계 천석(淺析)(Ⅰ) ― 이론 기반인 “심즉리(心卽理)”를 중심으로

        안재호 ( Ahn Jaeho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6 No.-

        본 논문은 육구연의 유학사상을 “실학”이라는 체계로 이해하고, 그 토대가 되는 “심즉리”라는 명제를 각각 리와 본심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유학의 전통은 실제적인 것, 즉 구체적 현실생활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을 추구하고 스스로 이상적인 인격을 완성하여 자신의 존엄성을 확보하려 한다. 이것이 바로 육구연이 말하는 “실학”이다. 그가 이론 체계의 건립을 중시하지 않은 까닭은 맹자가 이미 명확하게 유학의 그것을 밝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실천이요, 그 실천을 위한 최종근거가 바로 “심즉리”라는 명제이다. 이때의 심은 도덕의식으로서 자각과 실천능력을 구비한 본심이고 우주와 같아서 무한하고 무궁한 경지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는 도덕원리와 그 법칙을 가리킨다. 그러나 리는 또한 존재의 최종 근거와 각 존재물의 본질을 가리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이론체계의 혼란을 야기한다. 이는 철학자로서 작지 않은 결함일 것이다. 그러나 동정적으로 이해할 때, 육구연은 이론체계 자체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인에게는 크게 문제되지 않았을 것이다. “심즉리”를 해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두 가지 있다. 첫째, “心具理”에 근거했다고는 하지만 각각의 “리”가 가리키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본심이 자각능력을 갖췄기 때문에 도덕원리를 정현한다고 정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리”는 존재의 문제를 설명할 수 있지만 “심즉리”는 결코 존재에 관한 내용이 아니다. 설령 “도덕형이상학”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단지 의미나 가치의 부여일 뿐 객관적 실재에 대한 설명일 수 없다. In this paper, I have understood the Confucian thoughts of LuJiuYuan in the system of “Practical Learning” and analyzed the proposition of “XinJiLi[心卽理]”,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at, on the basis of Li[理] and main heart/mind[本心].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seeks to be practical, that is, to pursue what is essential in concrete life and to secure the dignity of oneself by completing the ideal personality. This is the “Practical Learning” that LuJiuYuan says. He did not attach much importance to the construction of the theoretical system, because he thought Mencius already clearly had made it. What we need is practice, and the ultimate basis for the practice is the proposition of “XinJiLi”. At this time, Xin[心] is the main heart/mind equipped with awareness and practical ability as moral consciousness, it is like the universe[宇宙] and can complete the infinite and endless state. And Li refers to moral principles and their laws. But Li also causes confusion in the theoretical system, because it may point to the ultimate basis of existence and the essence of each being. This would not be a minor defect as a philosopher. But when you understand sympathetically, It would not have been a big problem for LuJiuYuan because he did not have an interest in the theory system itself. There are two problems that can arise when interpreting “XinJiLi”. First, although it is based on “XinJuLi[心具理]”, there is no problem because each "Li" is different. Because the main heart/mind is capable of self - awareness, it can be interpreted that express moral principles in a coherent manner. Second, "Li" can explain the problem of being, but “XinJiLi” is never about existence. Even if we admit the "moral metaphysics", it is merely a grant of meaning or value, but it can not be an explanation of objective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