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新石器時代 前·中期의 礫石間層에 대하여

        안재호(Ahn Jae Ho)(安在晧) 한국신석기학회 2009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7

        필자는 경주 隍城洞267遺蹟이나 울산 細竹遺蹟의 발굴을 통하여 新石器時代 前期의 상층에 있는 礫石層에 대해서 의문과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엄청난 에너지를 가진 물의 퇴적작용이 아니면 불가능한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결국 한반도의 新石器時代 前期의 상층에서 또는 中期의 하층에서 礫石層이 형성된 유적지를 17개소를 찾을 수 있었다. 이것은 북한지역의 충적지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찾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서 필자는 新石器時代 前期 末에 大洪水가 일어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시기는 C14년대에 따르면, 4380B.P.에 해당한다. 이 大洪水에 의해 자연 생 태계는 완전히 파괴되어, 前期의 생업환경에 대변화를 가져오고, 많은 집단이 사라지 거나 이주하게 되었다. 中期 초에는 기존의 원주민과 새로운 집단의 이주로 두 문화가 공존하기도 하고, 혼 합되기도 하였으나, 前期의 원주민은 대부분 도태되거나 中期의 이주민에게로 동화되 어 소멸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반도 전체 특히 중부 이북지역에서 인식하지 못하였던 隆起文土器의 早期와 押引 押捺 刺突 技法의 前期 단계를 복원하고, 각지역의 中期를 모두 같은 시간대에 두고자 한다. 그리고, 이 中期文化는 초기 농경문화와도 관련된 것이며, 檀君神話의 일부분은 이 당시 大洪水를 맞은 사건이 전승된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The writer had a question and interest about the gravel layer seen in the upper layer of the early Neolithic Age through the excavation of Hwansung-dong 267 remains in Gyeongju or Sejuk remains in Ulsan because it didn t seem possible without sedimentation of water. Finally, the writer could find 17 archeological sites with the gravel layer in the upper layer of the early Neolithic Age of the Korean Peninsula or the lower layer of the middle phase. Those were most remains in that era, and found out in an alluvion of the Northern Region. Accordingly, the writer found out that a deluge occurred at the end of the early Neolithic Age. The period was in 4380B.P. according to the C14s. The deluge totally destructed the natural ecosystem, brought about big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s of the early phase, and caused many groups death and immigration. The initial middle phase, the culture between existing natives and new immigrants existed and were mixed, but the early natives were mostly wiped out or assimilated to the middle immigrants and disappeared.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restore the initial Neolithic Age of applique-decorated pottery and the early Neolithic Age of seal-decorated techniques(Abin, Amnal, Jadol), and consider the middle phase of each region as the same period.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mid-culture was related to the early agricultural culture, and most Dangun mythology was transmitted due to the deluge at that time.

      • KCI등재

        松菊里聚落의 編年과 社會相

        안재호(Ahn, Jae Ho)(安在晧) 부산고고학회 2021 고고광장 Vol.- No.29

        청동기시대 후기의 송국리유적은 수전농경민이 거주한 초기 취락이다. 순서배열보충법으로 3개의 획기를 설정하였다. Ⅰ기부터 구릉을 4개소로 분할하여 거주하였는데, 구릉의 계곡부를 메워서 대지를 조성하였다. 아마도 소규모의 수전을 곡저부에 개간하였을 것이다. Ⅱ기에는 각 가족체 혹은 농업공동체 단위로 주 능선상에 대형의 고상건물을 만든 시기이다. 이 고상건물은취락을 관통하듯이 일렬로 배치되며 가옥처럼 짧은 시간동안에만 사용되었다. 수전농경민으로서의 정체성을드러내기 위한 위세적인 기념물이라고 판단된다. Ⅲ기는 수장이 등장하면서 취락은 통합된다. 수전의 확대로 식량의 잉여생산을 이루었으며, 청동기를 생산하고 또 무덤에 부장하였다. 울타리로 구획된 곡물창고 2동과 수전농경의 조상신을 모신 초대형의 사당을 조성하여, 분립된 조상의례를 통합하여 취락 구성원을 결집하고 의례의 주관자로서 수장의 지위를 강화하였다. 묘지는 독립된 구릉 말단부에 입지하며 성인묘 6기와 유아묘 2기가 분포한다. 2열을 이루면서 순차적으로 매장되었고 마지막 Ⅲ기에는 퇴장유물로서 청동기와 옥 등이 매납되었다. Songguk-ri site, in the Late Bronze Age, exemplifies the early form of communities settled by the first paddy-field agricultural tribes in the Korean peninsular. In Period I of Songguk-ri culture when the hill was divided into four for residence, the site was developed by filling up the valley area of the hill. It is assumed that a small scale of paddy fields was cultivated at the lower spot of the valley at this time. Period II is characterized as the time when large raised buildings were constructed on the main ridge of the hill by each family or an agricultural community. These buildings were aligned in a row across the settlement, and each of them was persisting only for one generation like other houses. They are assumed to be built as monumental edifices to express the authority and identity of paddy-field agricultural tribes. In Period III, the settlement was unified by the chiefs who appeared this time. The expansion of paddy fields resulted in surplus productions. Bronzeware began to be produced and buried as grave goods. Two granaries cordoned off by fences and one large shrine for ancestor gods were constructed as the means to unify the hitherto divided communities. The graveyard was located at the end-point of the hill and consisted of six adult graves and two child graves, which had been arranged along the two lines in sequential order. The first grave was a chief’s and buried with bronzeware, jades, and stone blades as grave goods.

      • KCI등재

        육구연의 “실학(實學)” 체계 천석(淺析)(Ⅰ) ― 이론 기반인 “심즉리(心卽理)”를 중심으로

        안재호 ( Ahn Jaeho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6 No.-

        본 논문은 육구연의 유학사상을 “실학”이라는 체계로 이해하고, 그 토대가 되는 “심즉리”라는 명제를 각각 리와 본심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유학의 전통은 실제적인 것, 즉 구체적 현실생활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을 추구하고 스스로 이상적인 인격을 완성하여 자신의 존엄성을 확보하려 한다. 이것이 바로 육구연이 말하는 “실학”이다. 그가 이론 체계의 건립을 중시하지 않은 까닭은 맹자가 이미 명확하게 유학의 그것을 밝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실천이요, 그 실천을 위한 최종근거가 바로 “심즉리”라는 명제이다. 이때의 심은 도덕의식으로서 자각과 실천능력을 구비한 본심이고 우주와 같아서 무한하고 무궁한 경지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는 도덕원리와 그 법칙을 가리킨다. 그러나 리는 또한 존재의 최종 근거와 각 존재물의 본질을 가리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이론체계의 혼란을 야기한다. 이는 철학자로서 작지 않은 결함일 것이다. 그러나 동정적으로 이해할 때, 육구연은 이론체계 자체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인에게는 크게 문제되지 않았을 것이다. “심즉리”를 해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두 가지 있다. 첫째, “心具理”에 근거했다고는 하지만 각각의 “리”가 가리키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본심이 자각능력을 갖췄기 때문에 도덕원리를 정현한다고 정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리”는 존재의 문제를 설명할 수 있지만 “심즉리”는 결코 존재에 관한 내용이 아니다. 설령 “도덕형이상학”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단지 의미나 가치의 부여일 뿐 객관적 실재에 대한 설명일 수 없다. In this paper, I have understood the Confucian thoughts of LuJiuYuan in the system of “Practical Learning” and analyzed the proposition of “XinJiLi[心卽理]”,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at, on the basis of Li[理] and main heart/mind[本心].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seeks to be practical, that is, to pursue what is essential in concrete life and to secure the dignity of oneself by completing the ideal personality. This is the “Practical Learning” that LuJiuYuan says. He did not attach much importance to the construction of the theoretical system, because he thought Mencius already clearly had made it. What we need is practice, and the ultimate basis for the practice is the proposition of “XinJiLi”. At this time, Xin[心] is the main heart/mind equipped with awareness and practical ability as moral consciousness, it is like the universe[宇宙] and can complete the infinite and endless state. And Li refers to moral principles and their laws. But Li also causes confusion in the theoretical system, because it may point to the ultimate basis of existence and the essence of each being. This would not be a minor defect as a philosopher. But when you understand sympathetically, It would not have been a big problem for LuJiuYuan because he did not have an interest in the theory system itself. There are two problems that can arise when interpreting “XinJiLi”. First, although it is based on “XinJuLi[心具理]”, there is no problem because each "Li" is different. Because the main heart/mind is capable of self - awareness, it can be interpreted that express moral principles in a coherent manner. Second, "Li" can explain the problem of being, but “XinJiLi” is never about existence. Even if we admit the "moral metaphysics", it is merely a grant of meaning or value, but it can not be an explanation of objective reality.

      • KCI등재

        우암송시렬(尤庵宋時烈)의 수양 공부론 추의(芻議) ― 도덕 실천의 토대 신뢰와 주재자 확립 ―

        안재호 ( Ahn Jae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 No.69

        우암은 주자학 그리고 율곡학의 정신과 전통에 깊이 공감하고 계승하려는 열망을 지니고, 또한 현실 세계의 바람직하지 못한 모습을 안타깝게 여기고 이를 개혁하려 노력한 성리학자이다. 그래서 그의 이론체계는 현실 혹은 잠재된 것이 발현한 결과에 주목하고, 그것을 이상적으로 이끌 것을 강조한다. 이런 우암의 의도는 直으로 표현되기도 하는, 純善한 근거에 대한 절대적 신뢰를 바탕으로 주체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주재자의 확립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존재의 근원인 리는 어떤 작위도 하지 않아서 활동의 주체인 心氣에 의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수양의 근거인 성리 등은 최고의 훌륭함이지만, 기질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으므로 수양 주체인 심기를 이상적인 상태로 확립해야 한다. 이에 따라 우암은 명덕 개념도 심기나 성리 어느 하나만이 아니라 심성정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주장했다. 또한 심이 성정을 온전히 보존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심 자신의 본래 상태를 견지하여 주재자로서의 신분을 엄정히 해야 한다. 그래서 그는 주체인 심의 주재성을 확보할 수 있는 持敬공부, 진위와 시비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성찰하고 궁리하는 공부를 강조했다. 우암의 이런 공부론은 여타의 주자학자들과 구분되는 특징적인 개념이나 명제, 혹은 새로운 체계 건립 등을 보여주지 못했다. 그러나 그것은 객관 형식에 머무를 수 있는 천리를 인간의 능동성을 통해 실현하려는 노력이며, 주자학 체계에서 마땅히 강조되어야 하는 모습일 수밖에 없다. 물론, 인식과 판단을 위주로 하는 주체가 어떻게 의지를 촉발하는 지 설명하기 어려운 것은 우암 공부론의 근본 문제이기도 하다. Song SiYeol is a Neo-Confucian scholar who felt sorry for the undesirable aspects of the real world and tried to reform them. So his theoretical system focuses on the reality or the consequences of manifestation of latent things, and emphasizes the idealization of them. His these intentions can be realized, also expressed as honesty, based on the absolute confidence in pure good ground, through a clear perception of the subje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host. So he emphasizes the study that can secure the subject's primacy, and the study that clearly distinguishes true lies and right wrong. Song’s theory of self-discipline did not show any distinctive concepts, propositions, or the construction of a new system, which distinguished it from any other Neo-Confucian scholar. But it's an effort to realize the fundamental principles that could be stayed in the form of objectives, through human activity, and a shape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the Neo-Confucian system. Of course, It is a fundamental problem in Song’s theory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how a subject that focuses on perception and judgment triggers wil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호굉(胡宏)의 진심성성설(盡心成性說) 관규(管窺) ― 진심의 체계: 치지(致知)와 주경(主敬)을 중심으로

        안재호 ( Ahn Jaeho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0 No.-

        본문은 호굉의 수양공부론을 본체심성론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평가한 논문이다. “성체심용”설에 근거해서 “진심”으로 “성성”하는 체계를 설명한 것으로, “성성”은 다만 “진심”으로 도달되는 경지이기에, “진심”의 체계에 집중해서 분석했다. “진심”은 심이 드러내는 특징적 작용인 “앎”과 “주재”를 온전히 실현함으로써 완성된다. 따라서 “앎”과 “주재”의 의미와 그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앎”은 내재적인 것으로 주체를 정립하여 수양의 근거가 되는 것이며, 맹자가 말하는 “양심의 싹”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앎”은 깨닫는 것, 즉 자기 확인이 중요하다. 그래서 호굉은 이발에서의 찰식을 강조했고, 그 일환이 되는 격물궁리의 주요한 의미를 살펴서 깨닫는 것 - 내재적 앎에 대한 확인 작업으로 생각했다. 나아가 격물궁리란 도덕실천을 위한 것이기에, 그것은 또한 실천의 구체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작업이라고도 주장했다. 그리고 “주재”란 심이 천지만물을 如如히 체현하는 것이다. 주재란 경에 집중하는 방법[主敬]에 의해 확보된다. 경에 집중한다는 것은 찰식과 함양의 공부, 즉 평상시에 심의 본래 모습을 살펴서 깨닫고 이를 바탕으로 그것이 온전히 작용할 수 있도록 배양하는 것이다. 호굉의 수양공부론은 본체심성론이 일관되게 적용되어 신유학의 이론정립에 이바지한 것으로, 전체 유학사에서 유의미한 자리를 차지해야 마땅하다. This is a paper that analyzes and evaluates Hu-Hong`s study of cultivation in the basis of BenTiXinXing [本體心性] theory. It is a description of a system that “JinXin[盡心]” makes “ChengXing[成性]” on the basis of BenTiXinXing theory. Since “ChengXing” is only reached with “JinXin”, it focuses on the system of “JinXin”. “JinXin” is accomplished by fully realizing the “knowing” and “the presiding”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that the Xin reve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meaning and content of “knowing” and “presiding”. “Knowing” is an intrinsic one, which establishes the subject and is the basis of cultivation, and can be said to be “the sprout of conscience” by Mencius. This “awareness” is what you realize, that is, self-confirmation. Therefore, Ho-Hong emphasized the examination of substance[察識] in the Aroused[已發] and thought it as a confirmation work of the realization of the intrinsic knowing by observing the main meaning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 which becomes a part of it. Furthermore, since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s for the practice of morality, it also is also a task to find concrete methods of practice. And “the presiding” means that Xin embodies all things in the world. The presiding is secured by the way of focusing on the Attentiveness[敬]. To concentrate on the Attentiveness is to study the examination of substance and cultivation, that is, cultivate it so that it will be able to see and understand the original appearance of Xin on a regular basis. Hu-Hong`s study of the cultivation has consistently applied the BenTiXinXing theory to the Neo-Confucianism, It should deserve a meaningful place in the whole history of Confucianism.

      • KCI등재

        왕부지의 正義觀 試論

        안재호(Ahn, Jae-H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7 No.-

        본 논문은 왕부지의 정의 개념과 그것을 실천하는 원칙에 대해 논의하였다. 왕부지에 따르면, 정의란 기본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확보하고 또한 그것에 근거해서 최종적으로는 전 인류가 인간다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이상사회를 건설함으로써 실현되는 이념이고, 이는 장구한 역사과정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필요한 조치들은 몇 가지 원칙에 근거해야 한다. 그것은 첫째, 정의의 단계 혹은 차원을 구분하는 것으로, 개인의 ‘정의’와 시대의 ‘대의’, 그리고 천하고금의 ‘통의’가 그 구분의 구체적인 제시이다. 둘째는 그런 구분의 현실적인 적용 원칙으로, 일상적이고 정상적인 상황에서의 도리 - ‘경의’와 방편적인 도리 - ‘권의’의 관계 설정의 원칙이라고 볼 수 있다. 첫째 원칙에 따라 우리는 최상위 도의, 즉 ‘통의’를 최종근거로 삼아야 하고, 둘째 원칙에 따라 이념을 실현할 수 있는 방편적 도리, 즉 ‘권의’를 우선 적용해야 이른바 ‘정의’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울산 세죽유적의 상대편년과 탄소14연대

        안재호(Ahn, Jaeho),이창희(Lee, Changhee) 부산고고학회 2013 고고광장 Vol.- No.13

        유구와 유물은 동시기성의 공반상을 통하여 비로소 고고학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지게 된다. 모든 고고학적 상대편년은 이 동시기성을 이용하여 작성되어야 하고, 또 분류기준에 따라서 그 결과는 달리 나타난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고고학자는 합목적성을 띤 고고자료의 분류방법을 찾는 것이 당면하는 첫번째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세죽유적의 편년을 배열법이라는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새롭게 작성하였다. 본고의 편년은 보고 서의 고찰과는 다르지만, 그 이유는 토기의 문양에서 분류기준이 다른 까닭이고, 어느 쪽의 결과도 잘못된 것은 아니다. AMS법을 통한 탄소14연대는 오차를 줄이고 토기에 부착된 탄화물 시료로써, 토기 각각의 개체에 대한 절대연대를 알 수 있게 되었고, 토기형식과 탄소14연대를 대비시켜 기존 연구의 검토와 형식설정의 검증 등을 통하여 새로운 차원의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배열법을 통한 세죽토기의 문양 상대편년과 탄소14연대는 대체로 정합성을 띤다는 것이 밝혀졌 다. 세죽유적은 대략 기원전 5600∼5200년에 걸친 조기-전기에 형성되었다. 그중에서 전기문화의 시작을 구순각목문·파상구연문으로 본다면 5400년이 되며, 그 요소 중의 하나로 인식한 점토대문의 탄소14연대는 오히려 5500년 전후로 나타나 배열법의 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두 로써 각목한 지두융대문은 5300년 이후로서 세죽유적의 경우에는 전기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배열법을 통한 세분된 편년체계와 탄소14연대를 통하여 향후 신석기시대의 지역색과 지역간의 교류상이 밝혀지고, 신석기시대에도 취락고고학의 영역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세죽유적, 토기 시문기법 문양, 배열법, 상대편년, 탄소14연대, 토기부착탄화물 We revised chronological order of the excavation report of Sejuk site, using the Ordination. After having simplified the classification of the pottery pattern, We analyzed it newly. And we newly named this way the Ordination method while making use of a good point to distinguish short-term attributes and long-term attributes. Radiocarbon dates and chronological order using the Ordination method were very conformal. And We understood that this result was not different from a chronology of the south coast, South Korea. It can be regarded as the validity of the Ordination method has been verified. The interest about carbide attached to the pottery increases by the Radiocarbon dating recently. There was not site that was more excellent than Sejuk site at South Korea as far as we looked in a sample to date. As for the trial that combined archaeological analysis and radiocarbon dates using carbide attached to the pottery, this time is naive in South Korea. Therefore, we want to evaluate this work to have significance. We must make an effort from now on how do we combine radiocarbon dates with archaeological methods. It may be said that this paper is a part of such development and effort.

      • KCI등재

        도덕 실천 역량에 관한 율곡의 이론체계 淺析 - 心-意를 중심으로 -

        안재호(AHN, Jae-H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1 No.-

        율곡은 “理無爲、氣有爲”하고 또한 리기는 “不相離”하기 때문에 오직 “氣發理乘一途”만을 인정했다. 이런 총강령에서 볼 때, 七情에 포함되는 四端뿐만 아니라 人心과 대립하는 道心마저도 “理發”한 것일 수 없다. 율곡이 보기에, 인심과 도심은 각각 그 유래가 있지만, 그것들의 근원은 한가지로 천리이며 그 발현방식 또한 같다. 그러나 그는 또한 인심과 도심이 “相爲終始”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관점은 비록 율곡이 인심과 도심의 유래를 그 결과로 간주하는 오해에서 비롯되었지만, 도덕실천의 주동성을 긍정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가 보기에, 그 유래가 性命이든 혹은 形氣이든 상관없이 중요한 것은 적절한 실천이다. 설령 性命에 근원한 것일지라도, 그것은 도심의 가능태이지 이미 완성된 것이 아니므로 불량한 인심으로 변해버릴 수 있다. 반대의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이런 변화과정의 주재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그것은 바로 허령하여 지각하는 심의 기능 - “意”, 즉 논리적 사고이다. 물론, 논리적 사고는 도덕실천을 담보해주지 못한다. 그래서 율곡은 먼저 논리적 사고를 통해 선을 지향하는 “志”를 확정하라고 제안했다. 이런 주지주의 윤리학은 율곡 형이상학의 마땅한 결론이다. 그것은 비록 도덕실천의 필연성을 담보해주지 못하지만, 그 필연성이란 단지 이론적 가치일 뿐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은 구체적 가치를 필요로 하는데, 율곡의 학설은 그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Since Li[理] does not work and Qi[氣] works, but LiQi does not leave each other, Yulgok admits only one way that Qi is manifested and Li rides there. In this general code, not only the Four Beginnings [四端] included in the Seven Feelings[七情], but also the Moral Mind [道心] which is opposed to the Human Mind[人心], cannot be represented by Li. In the eyes of Yulgok,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each have their own origins, but their common roots are likewise the Tianli[天理] and their way of expression is one. But he also thought they wer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each other. This is because Yulgok misunderstood the origi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s a result, but it can be said that he has affirmed the main dynamic of moral practice. In his view, whether it comes from the Nature[性命] or the Vital Force[形氣], the important thing is correct practice. Even if it originates from the Nature, because it is a possible form of Moral mind, is not meant to be yet, it can be changed to a bad Human mind. The opposite is the same. Therefore, presiding over this process of change is very important. That is the function of empty, perceptible mind – Yi[意], that is logical thinking. Of course, logical thinking cannot guarantee moral practice. So Yulgok also insists on first establishing the Zhi[志] towards the good. This intellectual ethics is the definitive conclusion of Yulgok metaphysics. It does not guarantee the necessity of moral practice which is only of theoretical value, in our real world, we need specific values. The theory of Yulgok can provide such a c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