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케로(Cicero, 기원 전 106년∼43년)의 쟁점 구성 이론(status)에 대하여: 쿠리우스 소송(causa curiana)을 중심으로

        안재원 ( Jae Won Ahn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서울대학교 法學 Vol.51 No.2

        이 글은 서울대 법과 대학의 최병조 교수가 졸역, 『수사학』에 대해서 저술한 "법과 문학 사이에서-키케로의 『수사학』 국역본에 대한 촌평: 法廷演說부분을 예증 삼아"(서울대학교 『법학』, 제49권 4호)-에 대한 답 글이다. 요컨대, 최병조 교수는 현대법학 도그마를 바탕으로 키케로의 쟁점 이론과 『수사학』의 해당 텍스트(제98장∼109장)를 이해하고 해석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우선 이 자리를 빌어서 최병조 교수의 촌평에 대해서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그럼에도 나는 최병조의 교수의 키케로의 쟁점 구성 이론에 대한 입장에 대해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다. 우선 촌평이 제안하는 방식으로 현대 법학의 도그마에 맞추어서 텍스트 전체를 해석-번역해야 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조건들을 충족시킬 때에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선, 키케로 시대에 법체계가 성립해 있었는지, 그리고 학문으로서 법학이 이미 성립해 있는지의 문제가 선결적으로 입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서양 고대로마의 공화정 말기 당시에 발전했던 쟁점 이론의 정체성 규명과 관련해서 단적으로 기원전 1세기 초의 로마 법정에서 벌어졌던 재판에서 원고이든 피고이든 각기 주장의 근거로 내세우는 논거들이 과연 법률 조항인가 아니면 이성과 상식에 호소하는 주장인가, 소위 법정에서 동원되는 토포스들이 현대의 법정처럼 법률 문장인지 아닌지 물론 법률 조항도 있지만 개연성(eikos)에 입각한 이성에의 호소인지도 입증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이 현대 법학, 특히 형법의 체계에 입각해서 키케로의 쟁점 이론을 이해하고 아울러 텍스트의 번역도 그에 상응해서 해야 한다는 최병조 교수의 주장에 대해서 나는, 법학이 이제 학문으로 막 태동하려는 시기에 탄생한 작품을 그리고 법들이 아직 하나의 체계가 형성되지 않은 시대에 저술된 고전텍스트를 그리고 법체계가 완전히 자리잡은 현대의 시각으로 바로 볼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이 나의 입장임을 밝힌다. This essay is a brief reply to the Professor Choi`s "Roman Law in the Cicero`s Partitiones oratoriae. -A short Review of Jae-Won An`s Korean Translation(2007). First of all I am cordially appreciated for his sharp critical reading of my translation. In sum, Prof. Choi suggested that the status theory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modern law Dogmatism and the related passages of Cicero`s Text is to be translated with termici techinici of modern Law. As for his suggestion, I have attempted to argue that it is difficult, at least, for me to read the Cicero`s text according to modern law dogmatisms. The reas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Roman law in the Cicero`s time was not systemized in the state of Pandect law system. Second, some essential principle of modern Law like sine lege nulla poena does not exist in the late Republic of Rome. Finally, what to conclude is that status theory is not to be regarded as modern criminal legal procedure, because Cicero`s status theory is applied to not only to the criminal court, but also to private legal procedure even to political issues. As for Prof. Choi`s understanding of legal controversies as status legales(p. 323), however, what I would like to mention is that status legales is a major subcategory of status theory which includes also status rationales as more essential part.

      • KCI등재

        레기스 신부의 라틴어 《역경(易經)》에 대하여

        안재원 ( Ahn Jae-won ),문수정 ( Moon Su-jeo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이 논문은 레기스 신부가 《역경(易經)》을 어떤 시각으로 읽었고, 어떤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번역하고 주석했는지를 분석하는 글이다. 레기스 신부는 색은주의(索隱主義) 시각으로 《역경》을 읽었다. 주석과 관련해서, 신부는 때로는 자연학, 때로는 정치학, 때로는 신학의 관점으로 《역경》의 주석을 시도했다. 이는 서양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서양 개념을 이용해서 동양 사상을 해명했는데, 이와 같은 시도는 절충주의적인 봉합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절충주의적인 특징이 라틴어 《역경》의 학술적인 가치를 높여준다. This paper aims at replying to the question of how did Regis understand and translate and annotate Ye-Kim. Grosso modo, Regis’ understanding of Ye-Kim is characterized with figurism and eclecticism. As for figurism, the paper provided some textual evidences of Bouvet, a founder of the figurism. The paper demonstrated also some testimonies for demonstrating the eclectical feature of Regis’ interpretation. Interestingly to see, this eclectical feature that are observed in Regis’ commentaries requires an urgent but academically strict views.

      • 보안 기능이 내재된 FTP 서버-클라이언트 설계 및 구현

        안재원 ( Jae-won Ahn ),최범진 ( Bum-jin Choi ),옥성진 ( Sung-jin Ok ),강정하 ( Jung-ha Kang ),김은기 ( Eun-gi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써, 데이터를 평문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기밀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현재 보안 기능이 제공되는 FTP 로 FTPS(FTP over SSL)가 있다. FTPS 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와 SSL(Secure Socket Layer) 암호화 프로토콜 기반에서 동작하는 FTP 이다. 따라서 FTPS 는 TLS 와 SSL 과 같은 추가적인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인 암호화 프로토콜 없이 FTP 내에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Secured FTP 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Secured FTP 는 FTP 내에서 Diffie-Hellma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밀 키를 교환하고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Counte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FTP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Secured FTP 를 Linux 운영체제에서 구현하였고 시험을 통하여 비밀 키가 정상적으로 교환되고, FTP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기획논문 : 중국의 서학, 유럽의 중국학 ; 쿠플레의 『역경』 이해 -"겸"(謙)괘의 라틴어 번역을 중심으로-

        안재원 ( Jae Won Ah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人文論叢 Vol.67 No.-

        In general, this essay is concerned with how to read Confucius Sinarum Philosophus sive Scientia Sinensis(=Confucius). It focused on exploring Couplet`s latin translation of Kien figura and his letter to Louis XIV was a case study of answering the questions: how he understood Ye Kim(易經) and what was the core reason for selecting the Kien figure(謙卦) from the 64 figures. In this regard, I contend that the rex perfectus who was idealized in the Kien figure refers to Louis XIV, comparing Couplet`s latin translation of the Kien figure with his letter to Louis XIV. Doing this, however, I have observed that Confucius Sinarum Philosophus sive Scientia Sinensis is not a mere translation of a Chinese Classical Text but a "curious" text in itself. The latin translation of the Chinese letter Kien (謙) can be an example of this. Surprisingly, it was translated into humanitas which was an essential concept of Cicero`s scholarship. Humanitas in the translated Confucius, however, is not identical to Cicero`s human-itas-idea. Couplet attached the idea of divinitas to Cicero`s humanitas- idea. By attaching this, Couplet tried to persuade Louis XIV to become a modest and obedient King to SUPREMUS DOMINUS, with Confucius as a testimony for his persuasion. With the above discus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Confucius could be considered not only to be a philosophus Sinensis but also a philosohphus Latinus. Confucius is, in a way, a "hybrid" text.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Confucius is a very significant text for studying the encounter - history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his regard, however, I believe that Confucius urgently requires a new critical edition for a reliable scholarship.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유교양학문(encyclo paedeia)의 형성과 전개

        안재원(Ahn, Jae-wo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5 西洋古典學硏究 Vol.54 No.2

        이 글은 자유교양학문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먼저 자유교양학문이 로마에 어떻게 소개되었고 나중에 어떻게 3학4과로 자리 잡았는지를 살폈다. 다음으로 로마인들이 자유교양학문을 어떤 눈으로 바라보았는지를 분석하였다. 세네카에 따르면, 포세이도니우스가 로마에 전한 encyclo paedeia의 초기 모습은 자유민에게 어울리는 것은 아니었고 생존에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을 전하는 정도의 기초교육이었다. 생존을 넘어서서 생활을 위한 교육으로 확대 발전시킨 이가 키케로이다. 인간답게 사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목적을 내걸고 그가 제시한 것이 바로 humanitas 프로그램이었다. 세네카는 키케로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다. 키케로가 인문학의 방법으로 권장하는 책읽기를 통해서 획득한 박학다식을 자랑하는 교양 정도로는 안 된다는 것이 세네카의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세네카는 아는 것보다 실천하는 것에 방점을 찍는다. 실천과 이를 위한 비판정신이 세네카가 말하는 자유민에게 어울리는 덕성이었기에. 이와 같은 논의와 반성을 거치면서 자유교양학문은 제 모습을 갖추어 나갔다. 따라서 인문학과 교양교육은 로마 시대에 이미 생존에 요청되는 기초기술을 전하는 심급 너머에 자리매김 되었던 무엇이었다. 그 무엇은 단순하게 생존하는 법을 넘어선 지평에서 성립하는 생활의 재미와 삶의 의미를 즐기고 만드는 법을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키케로가 encyclo paedeia를 확대·발전시키고 그것을 ‘인문학’이라 부르고, 세네카가 ‘자유민에게 어울리는 교육’을 강조할 수밖에 없었던 것도 바로 이 목적 때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liberal arts were developed in Rome. Firstly it argues when, how, and by whom liberal arts were introduced to Rome. Secondly, it explains the process in which liberal arts were settled as septem artes. Thirdly, it observes how the Romans valued liberal arts. For this, the paper read Cicero and Seneca focusing on their difference. According to Seneca, it was Poseidonius who introduced liberal arts to Rome with the title of encyclo paedeia for the first time. They we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skills for surviving. Thus, Cicero tried to innovate encyclo paedeia by calling them humanitas. It’s goal is to give instruction of how to live humanly. For instance, reading is an important skill serving for that purpose and Seneca made a severe criticism on teachers who misused liberal arts for making money. From this, it is certain that liberal arts were designed not to help how to find a job but to teach how to live humanly.

      • KCI등재

        쿠플레의 『중국인 철학자 공자』의 「서문」 -Natura(性) 개념의 이해 문제를 사례로-

        안재원 ( Jae Won Ah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人文論叢 Vol.68 No.-

        In general, this essay is concerned with how to understand Confucius Sinarum Philosophus sive Scientia Sinensis (=Confucius). It focused on exploring the Jesuit`s latin translation of Natura (性) in Confucius, in order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how did European readers understand Confucius in the 18th century. According to my reading, the concept natura (性) is used to have three meanings: (1) pure reason in terms of religio naturalis, (2) primary matter in terms of physica, and (3) providence faculty in terms of Pu-Ju (補儒) doctrine which means that it (sc. Christianity) supplements and perfects what is wanted in our master Confucius and our philosophy and literatures. Based on this, I have made three comparisons between the natura-concept of Confucius and that of Aquinas, Lucretius and stoic philosophers to whom Cicero and Epictetus belong. The result of my comparisons comes to a new fact that the persona moderna of the Enlightenment might be based in part on Confucius` natura- concept and in part on Cicero`s encyclopedic idea of orator perfectus. For this, I compared Cicero`s thought of orator perfectus with Confucius` idea of vir perfectus. As for the question of how to read Confucius, however, Zhang Si-Ping (張西平), a leading scholar in China argues in the following. First, Confucius is to be read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ity. Second, Confucius is the answer to the ritual discussions in the 17th century. Third, Confucius is a text which takes a critical position on especially Neo- Confucianism. In brief, Zhang concludes that Confucius is a product of misreading and misunderstanding of Chinese classical texts, but a significant contribution for studying the interrelated history of China and Europe. Grosso modo, I agree with Zhang`s arguments. There are, however, three points on which I do not agree. First, Jesuit`s missionaries tried to read Chinese original texts of Confucius in the eye of Christianity. Onthe other hand, however, Confucius is full of termini technici of Stoic philosophy. In this regard, in my opinion, there was no need then to say about PU-JU doctrine additionally by Siu Paulus (徐光啓). Second, Zhang maintains that one has to be cautious in the interpretation of Confucius because it is a metamorphic text. I think, however, the question is how to approach this metamorphic text. For this, Zhang suggests to readers to have some basic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In my view, here should be added some profound understanding of western philosophy, particularly of Hellenistic philosophy, because the problems of metamorphosis of Confucius mostly resulted from the so-to-say abutio-problem during borrowing termini from e.g. Cicero`s terms. As for Zhang`s estimation on Confucius, finally, I am not sure whether it is a product of misreading because, according to my keen reading of the Latin original text, Confucius is actually a metamorphosis text in Ovidius` viewpoint but a hybrid text because it allows at least three ways of interpretation. One of them is a reading with help of Chinese original text, e.g., with the Zhu Xi (朱熹) edition. The second of them is a reading through comparison with western classical texts, in order to see how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ast is an independent way of reading from both sides. The conclusionwhich results from this is that we need to regard Confucius not as a translation but as a kind of original text. Therefore, I suggest to read Confucius and to follow some free reading ways of those who did not know anyway but could not learn Chinese Characters in the 17 th -18 th centuries, such as Christian Wolf.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그리스의 서정시에 대하여 : 아르킬로코스(Archilochus)를 중심으로

        안재원(Ahn Jae-wo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3

        이 글의 목표는 서정시 세계의 탐구이다. 이를 위해서 나는 아르킬로코스의 시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먼저 서정시의 발전과 성립은 개인과 폴리스의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나는 문학 장르로서 고대 그리스의 서정시는, 물론 그것이 다루는 내용이 개인적이지만, 이 서정시 현상 자체는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해서 나는 서정시의 시대도 하나의 epoch? (시대 사조, 혹은 문예 사조)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나는 서정시 세계의 고유함과 독자성을 탐구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나는 인간의 경험과 느낌 중에 일부는 언어와 논리에 의해서 포착되지 않는 무엇이 있는데, 이를 포착하여 표현하는 것이 서정시라고 제안한다. 이와 관련해서 나는 카툴루스의 시 85번과 아나크레온의 단편 83편을 비교 분석하였다. 예들 들면, 논리적으로는 모순이지만, 인간은 실제로 사랑하고 다시 사랑하지 않는 미치고 미치지 않는 그런 내적 분열 경험을 실제로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아르킬로코스의 시에서 나타나는 ‘리듬’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고대 그리스 서정시 리듬의 경우, 그것이 느낌과 감정에 가장 근접한 것이기는 하지만, 실은 그것은 자체적으로 독립된 내부 규정을 가지고 있고, 이는 인간의 개인적 느낌과는 독립된 언어 내적으로 독립된 것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운율이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표현 장치이기에 그렇다. 리듬과 관련해서 나는 아르킬로코스의 서정시가 주장하는 리듬은 더 이상 주관적인 겪음의 표현이 아님을 주장하였다. 그것은 사태의 움직임에서 관찰되는 반복성과 규칙성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과학적인 의미에서의 객관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런 의미에서 서정시는 객관적이다. 물론 서정시는 주관적인 무엇이다. 나만의 것, 나에게만 고유한 겪음과 느낌을 다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정시의 근본적인 대상은 객관적인 무엇이다. 한편으로 운율이라고 하는 언어의 음악적 성격 때문에 그렇고, 다른 한편으로 사태의 순환에 대한 통찰이기 때문에 그렇다. 결론적으로 이런 의미에서 서정시란 설득과 소통의 기제이다. 왜냐하면, 예컨대 “분노”라는 “나 만의 절연된 주관적 상태”에 갇힌 “나”를 “사태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통해서 세계로 다시 나오게 하는 무엇이다. 서정시는 주관과 객관을 이어주는 “다리”다. The aim of my essay is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Greek lyric. For this, I have tried to give some explanations of Archilochus' poem. The essay is to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the development of Greek lyric depended on the individualization of each citizen and the constitution of polis. For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ancient Greek lyric as a genus of literature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social and historical thing. As regards this, what to add is that the ancient Greek lyric as a genus of poem can be distinguished from epic genre, from the viewpoint of epoche, Second, what I argued that there is some peculiarity which is observed only in lyric genre. This peculiarity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passions and some sufferings which can not be expressed through everyday language and logical thinking. A significant example for this is the poem of Catull' poem, Nr.85 (Odi et amo). Based on this, what I would like to suggest is that the proper function of lyric is to let us know and see what these kinds of subtle experience of human feelings are. Finally, I have tried to scrutinize the meaning of Archilocus' rhythm. According to my analysis, this rhythm of him is independent means from human feelings. Reasons for this suggestion are two. On the one hand, the Archilochus' rhythm does not mean a simple experience but a repetition and circularity of fortune. Thus, his rhythm is considered to be objective. On the other hand, his rhythm is the musical feature of language which functions in self regulating system and structure. Conversely, what we should not overlook is that the lyric itself is a medium with which leads us to the subjectivity because the lyric offers what is to be proper to each person. Id est, the main concern of the lyric poem is the so called "Ego" problem. Nevertheless, what is clear is that the rhythm itself is fundamentally an objective medium, because it is expressed on the one hand through poetic metrics and on the other side it does mean the regularity of fortunes. From this what I would like to suggest is that the ancient Greek lyric is a kind of bridge which lies between th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yway, we get some conciliation from lyric poem, when we are sad or angry. In that case, the lyric offers not only some conciliation but also some insight to see through the very natures of suffer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