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경기 남부 향촌 사회의 근대적인 중인들 -공동체의 경계/매개와 지역사회체계 시론(試論)-

        안승택 실천민속학회 2022 실천민속학연구 Vol.40 No.-

        This study, based on the fieldwork data collected in southern Gyeonggi villages, aims to restore the disappeared human population called jungin, the middle status people, who were treated disrespectfully and did unpleasant tasks in their villages, and to propose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s in the context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here jungin in the oral testimony have lived. Also, it is the another purpose to add the material for discussion that shows where the distinctiveness and excellence of looking into the world and history by the viewpoint of folklore lies. Owing to the economic difficulties, modern jungin in local society willingly played pre-modern role of hain, the lower status people, and unavoidably disdained from other peasants, because it was the modern era in which ban-sang(yangban and sangcheonmin) distinction was officially abolished and anybody could have asserted oneself as traditional yangban. They were called as jungin due to the fact that they were liberated hain or new immigrants after the modern reformation of status abolition so they could not be called as hain at least in official. It was the results that quasi-status categories originated from the pre-modern institutions have preserved old cultural meanings on the one hand, but flung it off and made new use of it on the other. They were the person who have re-collapsed without having succeeded in the status rising or wealth making, or have lived the life path far away from status ascension or wealth accumulation after the status liberation. They have filled the vacancy caused by emigration of old hain and jungin, and have had their inherent role in the modern peasant societies both in terms of everyday life and in term of rituals, such as marriages, funerals and ancestral rites. Without them, the existence of village community was impossible. In this regards, this paper presents the alternative model for understanding local society, which asserts jungin as periphery/mediacy of local community, and regional social system of communities looked upon by jungin’s view points.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 남부 농촌에서의 현장연구 중 접한바 마을 안에서 하대를 받고 궂은일을 하면서 중인(中人)이라 불리던 인간군이 어떤 존재인지 최대한 복원하고, 구술 속 중인들이 살던 시대인 근현대 한국 사회라는 맥락에서 그 의미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민속의 관점에서 세계와 역사를 보는 일의 차별성과 수월성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하여 하나의 토론 자료를 더하는 것도, 이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이다. 근현대 향촌에서 중인이라 불리던 이들은 반상 구별이 철폐되고 누구나 양반을 자처하게 된 시대인 근대에, 경제적 빈궁으로 인해 양반행세를 못 하고 중인 노릇을 자처하면서, 전통적인 양반행세를 하려는 농민들로부터 하대를 받았다. 그들을 중인이라 부른 것은 그들이 근대에 들어 하인 지위에서 풀려났거나 새로 마을에 들어온 이들이어서, 공식적으로 하인이란 용어를 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전근대 기원의 유사 신분적 범주가 전근대적 의미를 한편 유지하고 한편 벗어나면서 근대적으로 활용된 결과였다. 이 글에서 다루는 중인들은 신분 상승을 이루지 못한 채 다시 몰락하였거나 애초부터 부의 축적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았을 이들이며, 근대와 현대에 신분 상승을 이룬 하인과 중인들이 떠난 자리에 들어와 중인 노릇을 하며 살던 사람들이다. 마을의 일상생활은 물론 혼례, 상례, 제례 등에서 모두 그들만의 고유한 역할이 있었고, 이들이 없이는 마을공동체의 존립이 불가능했다. 이러한 파악의 연장상에서, 이 글은 경계/매개로서의 중인과 그들의 관점에서 본 지역적 사회체계라는, 향촌 사회를 이해하는 대안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 KCI등재

        농민의 환경 인식과 토착적 농사지식: 논 토양 민속분류법의 단순성 문제에 대한 하나의 설명

        안승택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3

        This article proposes the simplicity problem of the paddy soil folk classification which is found during the fieldwork on local agricultural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recognition, and clarifies that the simplicity of classification system does not mean the knowledge system is simple. Also, I argue that peasants’ empirical knowledge system has an open and horizontal character which is acquired through the interchanges and comparisons with distant villages, rather than through the closed and vertical character inherited within each independent village. Through this argument, we challenge the existing assumptions that restrict the proper social units for cultural inheritance to small communities. For this purpose, the body of this article is comprised of three parts. The first is the research object, the second is its geographical context and research procedure, and the third is the analysis of the field work interview data appropriate for this research purpose and systemic comparisons. In the fourth section, I examine the soil science databases to crosscheck the limits and significance of gathered interview data. At last, we can reach to some general theoretical remarks on the issues related to fork taxonomy and bricolage, and I will propose the new starting point to approach the “simplicity problem of folk classification.” 이 글은 농민의 지역적 재래농법과 환경 인식에 대한 현장연구 중에 발견한 ‘논 토양 민속분류법의 단순성’ 문제를 제시하고, 그 배후에 존재하는 농민적 환경 인식의 특징을 찾아서, 분류법의 단순성이 지식체계의 단순성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농민이 경험적으로 얻는 환경에 대한 지식체계가 각 마을 안으로 닫힌 채 전승되는 폐쇄적⋅수직적 성격보다는, 이웃한 마을이나 지역, 때로 멀리 떨어진 곳과의 교류나 비교를 통해 얻어지는 개방적⋅수평적 성격을 지닌 것이라는 점도 드러내고자 한다. 이는 기술체계나 지식체계를 포함해 문화유산의 전승 단위를 하나의 작은 공동체 규모 단위로 제한하여 이해하는 경향이 있는 기존의 인식에 대해 일정한 문제의 제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글의 제2절에서는 우선 이 연구의 대상과 내용, 연구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제3절은 현장연구 면담기록 중 이 글의 맥락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 일관된 비교의 틀을 구성하기 용이하게 조사된 것을 뽑아 정리ㆍ분석한 것이다. 제4절에서는 3 절에서 다룬 현장면담 자료의 한계나 의의를 확인하기 위해 그 내용을 자연과학, 특히 토양학의 성과와 대조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맺음말에서는 이 연구의 결과를 두고 민속분류법 및 브리콜라주 개념을 중심으로 이론적 검토를 진행하고, 분류법의 단순성 문제에 대해 새로운 인식의 출발 지점을 제안한다.

      • KCI등재

        근현대 향촌사회에서 상여를 메던 ‘아랫것들’과 공동체의 ‘살갗’: 경기남부의 사례

        안승택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韓國文化人類學 Vol.52 No.1

        In this paper I analyze what the subordinate bier–bearers did for the village community, mainly based on the fieldwork interviews carried out in southern Gyeonggi area. Those interviews were focused on the bier– shouldering practice, in order to illuminate the role of the plebian people (Sangnom 常–, Hain 下人 and Jungin 中人) who resided in the social border area of the village community. It was their task to take full charge of the mean work both in ritual and ordinary practices, such that they could not escape from social disdain. For this purpose, I begin this article by tracing the path that Sachon– gye (四寸契), one of the modern rural organizations for bier–bearing, was developed, and elucidate its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which were consistently under the influence of ‘survivals’ of Bansang (班常) relations. After the description, I extend the range of analysis, outlining the panorama of incidents in the southern Gyeonggi area. The final section provides classification of the southern Gyeonggi cases into two groups in the socio–historical senses and discusses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abolishment of the discriminatory bier–shouldering practices, aimed at the debates over ‘immunity’ and ‘the other community’. 이 글은 근현대의 촌락 사회에서 행상(行喪), 즉 상여로 시신을 운구하는 관행과 관련한 경기남부에서의 현장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소위 ‘마을공동체’의 안이라고도 밖이라고도 하기어려운 경계지대에 머물면서 하대(下待)를 받아왔던 이들이 ‘마을공동체’의 존재 및 운영과관련하여 하는 일이 무엇이었는지 점검한다. 이는 소위 ‘아랫것들’이 공동체를 지탱하기 위해 하는 일들을 조명함으로써, 정당한 성원권을 갖는 구성원들이 공유하거나 이상적이라 여기는 것들(규범, 약속, 재산 등)을 통해 공동체를 규정하고 가족이나 친척의 유비를 통해 그 사회관계의 본성을 상상하거나 재현하는 관행의 한계를 지적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사촌계’라 불리던 상여계 사례를 통해 ‘공동체적 장례문화’의 이면에 존재하던 반상관계의 실체를 조명하고, 이어서 경기남부 92개 마을에서 반상관계의 영향 아래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공동체적 행상 관행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일제시기 이전 반상의 차별 없이 행상을 하게 된 마을들과 해방 이후 그와 같은 변화를 시도한 마을들로 나누어, 그 사회적ㆍ문화적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를 밝힌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공동체에 대한 친족적 상상, 타자공동체, 면역체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이논문에서 밝혀진 바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식근대농법과 식민지조선의 농속(農俗) 사이 - 정조식(正條植)장려와 막모관행의 충돌을 중심으로 -

        안승택 한국역사연구회 2006 역사와 현실 Vol.- No.61

        Encountering Cultural Practices and the Environment- A research on collision between Japan’s modern technique of regular transplanting and peasants’ practice of patchwork in colonial Korea -

      • KCI등재

        근대초기 <목민심서>의 수용과 전근대 실용서의 근대적 고전 되기

        안승택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68

        This article analyzes the rebirth of Mokminsimseo(牧民心書) as a classic in the early modern times, in which process the premodern practical guidebook totally changed its meanings in the modern social context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one that the book was born. In this article, this process is regarded as manifestation of dual efficacy or paradoxical duality which works as both medicine and poison. Mokminsimseo was proposed by the early-modern Enlightenment intellectuals as the book containing the practical prescriptions for the modernizing local and national politics. For this purpose, the concreteness of the prescriptions originally made by its author, Dasan Jeong Yak-yong, was subduced, and replaced by assertion of the abstract criticisms on the system of premodern Joseon Dynasty. Through this abstraction, Mokminsimseo could be accepted as the token of the national ability for endogenous modernization by Korean intellectuals, but at the same time, could be used as the evidence for the necessariness of demise of Joseon Dynasty and colonization of Korea by Japanese colonizers. These mean that Mokminsimseo could have worked as both medicine and poison both for the colonizers and for the colonized. This paradoxical duality was inscribed in the book by Dasan through the vivid description of rural political structure and its realities, and the discursive struggles betwee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that Dasan never had intended nor even imagined made this book as a modern classic in the early modern contexts. 이 글은 유교이념과 조선후기 현실에 입각한 전근대적 실용서인 <목민심서>가 그와는 다른 근대초기의 맥락에서 근대사회를 위한 처방을 담은 근대적 고전으로 수용되었다는 인식 아래, 이 재탄생의 과정을 ‘약이면서 독이라는 이중적 속성의 발현’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목민심서>는 근대초기 계몽주의 지식인들에 의해 근대사회를 위한 실용적 처방을 담은 책으로 제시되었고, 그 과정에서 이 저작의 강점으로 여겨졌던 실용성은 그 구체성이 탈각되고 추상화되었다. 이 추상화를 통해 <목민심서>는 한편 조선의 민족주의적 지식인들에 의해 조선사회에 내재적 개혁의 동력이 존재했음을 나타내는 증표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일본인 식민자들이 조선왕조의 몰락과 식민화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근거가 될 수도 있었다. 이는 근대적 수용의 맥락에서 조선의 식민자들과 피식민자 양측에게 <목민심서>가 약이 될 수도, 독이 될 수도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중적 효능은 정약용이 실용서로서 이 책을 저술하는 과정에서 현실을 생생하게 기술함으로써 이 책에 부여한 역설적 이중성의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이중적 성격이 근대초기의 담론투쟁 현장에서 발효됨으로써, <목민심서>는 1930년대에 조선학운동을 이끄는 근대적 고전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 KCI등재

        일소의 지역성과 유통망 속 중심-주변 관계: 지역 차별로 전환되는 민속문화의 한 연구

        안승택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2 비교문화연구 Vol.28 No.1

        이 글의 목적은 일소[역우(役牛)]의 지역성을 구별하는 농민 인식과 그것이 지역 차별적 사고로 전환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일소에 대한 농민 지식으로부터 그에 내포된 지역차별 이데올로기를 분리해내려는 것이다. 그 내용은 크게 다음 세 가지로 이루어진다. 첫째, 한국 농민사회의 활발한 소 사육 경제는 내부에 지역 차이가 있었고, 이는 상품으로서 일소의 이동을 촉진하였다. 이 유통망이 일소의 지역성인식이 형성된 배경이다. 둘째, 이 지역성 인식 중 어떤 것은 개연성이있지만 다른 것들은 논리적이지 않거나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일부는 부당한 지역 차별 언사로 표출되고 있어, 비판적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일소의 생육환경, 우경기술, 유통경로 측면에서의 지역 차이와 대조할 때, 일소의 지역성이란 각지마다 적합하게 성장한 소들이상품으로 이동되어 자기에게 적합하지 않은 방식으로 일하게 되었을때 나타나는 문제이다. 이로부터 이 글은 다음 두 논점의 토론으로 나아간다. 첫째, 유통망 상의 중심-주변 관계가 일소 및 그와 결부된 사람의 지역성에 대한 잘못된 문화적 상상을 부추기고 있었다. 둘째, 이에 대한 비판 위에서 ‘상품의 영(靈)’이라고 불릴 만한 것에 관한 토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