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

        지하 네거티브 공간의 잠재적 의미 연구

        안성모 ( Seong Mo Ahn ),이은실 ( Wun Sil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물질로 구축된 상징으로서의 공간과 상반되는 방식으로 땅을 파내고 물질을 소거함으로써 생성되는 지하네거티브공간에 관한 연구이다. 대지와 인간의 존재를 깨우치는 근원적 공간으로서 지하네거티브공간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지하네거티브공간의 조형적, 의미론적 분석을 통해 대지를 중심으로 공간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땅 위의 건축이라는 명제 대신 대지를 덜어낸 네거티브공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통해 그것이 지닌 잠재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론적 배경에서 예술과 철학에서 다루고 있는 네거티브공간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통해 잠재성의 공간, 초월적 공간, 관계성의 공간, 지각의 공간으로 지하네거티브공간이 지닌 의미의 확장적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향성을 토대로 건축, 조경, 대지미술 등의 장르 간 영역을 넘어서는 작품(911 메모리얼, 로덴 분화구 프로젝트, 발터 벤야민 기념환경, 베트남 참전 기념비, 더블 네거티브, 함몰된 정사각형)의 공간구성, 디자인요소, 경험요소의 분석을 통해 지하네거티브공간이 지닌 특수성과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확장된 맥락의 공간, 일체화된 관계성의 공간, 개인화된 경험 공간, 부재와 환기의 공간, 새로운 관계맺음의 공간, 새로운 지각의 공간, 반전된 공간, 드러냄의 공간, 그리고 무한의 공간과 같은 지하네거티브공간이 갖는 특수성과 효과, 그리고 그 잠재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하네거티브공간이 가지는 구체적 디자인 방식뿐만 아니라 그 잠재적 의미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research focused on the subterranean negative space, created by excavating the material of the earth, as a counter method to constructed architecture employing additive materials. As a profound space that evokes the essence of humans and the earth, subterranean negative space is a worthwhile research subject, and this work attempted to discover the potential meanings of this space using aesthetic and semantic approaches to address fundamental issues of subtracted subterranean negative space. The concept of negative space in art and philosophy has been analyzed in previous research, and expandable meanings such as the space of potentiality, the space of transcendence, the space of relationship, and the space of perception have been abstracted. Based on these four themes, subterranean negative spaces beyond the boundaries of architecture, landscape, and land art were selected and studied as cases, namely,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Roden Crater, Walter Benjamin Memorial, Vietnam Veterans Memorial, Double Negative, and Square Depression. These projec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criteria: space organization, design elements, and experiential elements. As a result, potential meanings of the subterranean negative space as a space with expanded context, a space with unified relationship, a space with personalized experience, a space with absence and memory, a space with new relationship, a space with new perception, a space with inversion, a space with revelation, and a space with infinity were extracted. This study proposes not only a specific design method but also the potential meanings and possibilities of subterranean negative spaces.

      • KCI등재
      • KCI등재

        이머시브 공간에서 나타나는 경계성 연구

        손서연(Son, Seo-Yeon),안성모(Ahn, Seong-M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2

        Immersive space is a new type of space, which is converged with other domains and expressed in various ways and here, a mutual exchange between space and participants is realized with active intervention of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oundary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virtual space and reality or inside and outside, focusing on immersive space. For this stud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key words regarding flow experience and boundary characteristics in immersive space. The boundary characteristics extracted are as follow. First, while immersive space is overlapped in many different ways, the boundary in space gradually changes and one unique and convergent space is formed. Also, a combination of overlap is made with internal and external physical force and a convergent boundary is created. Second, forms are mixed in diverse ways and an unrealistic boundary space is revealed. For new experience, it has familiar, but new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and also shows an expanded boundary by the medium of different domains. Third, a simultaneous space, based on variability of time and space, has an ambiguous boundary due to a meaningless physical boundary of space and changing into a space region constantly, it becomes an unlimited variable space. Fourth, a linear expansion-based emergent space has nonlinearity, which creates a meaningless boundary, recognized as an irregular, dynamic and transformative space and expands to a creative space. In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that based on diverse characteristics found in immersive space, this study would give unlimited inspiration to many design fields and art creation activities and contribute to a further development through continued research on immersive space.

      • KCI등재

        테셀레이션을 통한 패러메트릭 패턴의 생성적 특성 연구

        이성종 ( Lee Seang Jong ),안성모 ( Ahn Seong M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기본적 면 분할 패턴 생성 원리인 테셀레이션으로부터 패러메트릭 디자인 패턴 생성원리를 도출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여 패러메트릭 디자인 패턴 생성원리를 정립하는 것이다. 평면을 분할하여 전체를 구성하는 패턴 생성 방법인 테셀레이션이 적용된 자연, 예술의 사례를 통해 확장적으로 테셀레이션을 해석하여 테셀레이션에 내재된 생성적 속성과 생성 원리로서의 유효성을 탐구함으로써 자연계 테셀레이션 패턴 생성의 근원적 법칙인 자기유사성, 보로노이 테셀레이션, 길버트 테셀레이션, 프랙탈 테셀레이션과 테셀레이션의 도구화과정으로부터 자기 유사성, 시간성, 반복성, 변형성, 팽창성, 수축성, 불규칙성, 확장성 등의 생성적 속성을 도출하였고, 확장적 의미의 테셀레이션에서 도출된 생성적 속성으로부터 ‘점진적 테셀레이션’, ‘재귀적 테셀레이션’, ‘신축적 테셀레이션’, ‘불규칙적 테셀레이션’의 네 가지 생성적 패턴 생성 원리를 정의하였다. 각 생성 원리를 패러메트릭 디자인 패턴에 적용하기 위해 생성적 알고리즘 기반 디자인 툴인 그래스호퍼를 사용해 생성 원리를 구성하는 생성적 속성을 패러미터 값으로 치환해 생성 원리 알고리즘을 만들고, 이러한 알고리즘으로 실제적 예시의 패턴을 제작해보았다. 테셀레이션을 통한 패러메트릭 패턴의 생성원리가 최종적으로 각 원리마다 고유한 생성 방향성을 지니고 자연적 생성 법칙과 의도적 변형에 의해 면 분할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반적 테셀레이션 패턴이 그 적용 범위를 확장해도 기초적인 면 분할이 반복되는 정형적인 패턴인 것에 반해 면 분할된 각 개체가 생성적 속성을 내제한 생성원리를 적용하여 만들어진 패턴은 적용된 생성 원리 알고리즘의 패러미터 변화를 즉각적으로 개체에 반영함으로써 생성적 방식으로 비정형 패턴을 생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the principle of parametric design pattern creation and research into i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learly establish the principles of design pattern creation. The study analyzes tessellation, a way of pattern creation by dividing a plane into parts and tilting them, by investigating the inherent generative characteristic of tessellation and the validity as a principle of generation, through exploring it extensively using cases of nature and art to which tessellation has been applied. By studying the underlying laws of tessellation pattern generation in the nature world, the fundamental laws of pattern creation such as self-similarity, Voronoi tessellation, Gilbert tessellation, fractal tessellation and from the tooling process of tessellation, the generative properties such as self-similarity, temporality, repeatability, transmutability, expansibility, contractibility, irregularity and extensibility were derived. Four principles of generative pattern creation, ‘progressive tessellation’, ‘recursive tessellation’, ‘flexible tessellation’ and ‘irregular tessellation’ were defined using the derived generative properties of tessellation in a more expansive sense. In order to apply each principle to a parametric design pattern, grasshopper, a generative algorithm-based design tool, was used. By using this tool, the generation principle algorithm was created through substituting the generative principle that explains the logic behind the generation with a parameter value. These algorithms were used to create actual patterns. This allowed the finding of each generation principle of the parametric pattern through tessellation having its own generating direction and the process of creating divided patterns through natural generation laws and intentional transformations was confirm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unlike general tesselation patterns that only repeat basic divided plane parts and create regular patterns despite the expanded range of application, the patterns that were created by applying the generation principle inherent in each part of the divided planes have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irregular patterns by instantly reflecting the parameter change of the applied generation principle algorithm to each part.

      • KCI등재

        이동공간으로서 엘리베이터의 확장된 전이성 연구

        배주현 ( Joo Hyun Bae ),안성모(교신저자,조교수) ( Seong Mo Ah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현대 건축 공간에 유동적이며 다원화된 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짐에 따라 고정된 공간의 개념이 유연하고 다양한 성격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선공간 역시 부가적인 요소가 아닌 건축에서 주도적인 요소로 기능하며 그 의미와 해석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동선공간 중 하나인 엘리베이터의 이동공간으로서의 전이 개념이 기능적인 면에서 가치적인 면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현대 엘리베이터 공간과 건축공간의 관계와 가치적 전이의 개념이 확장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동선공간의 이론적 개념과 엘리베이터의 이론적 개념을 확립한 후 둘째, 현대 엘리베이터 공간과 건축공간과의 변화한 관계 분석을 통해 확장된 전이개념을 도출하고, 현대 엘리베이터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고찰한다. 셋째, 분석한 전이 개념을 바탕으로 엘리베이터의 가치가 확장되어 설계되어 졌다고 판단되는 건축 사례분석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이동공간으로의 전이개념의 양상을 도출한다. (결과) 동선공간과 엘리베이터의 의미, 역할, 특성에 대한 분석과 ①내부 공간의 연결성 ②내·외부 공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와 건축공간 사이의 물리적 전이, 시각적 전이, 시간적 전이 개념이 도출되었다. 첫째, 물리적 전이는 상충되는 두 개 이상의 공간의 완충 또는 확장시켜주며 공간의 조화를 이끌어내고 물리적 요소의 반복으로 사용자의 행위가 새롭게 변화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시각적 전이는 수직적인 새로운 측면에서 의 관찰을 가능하게하고 시각적으로 공간에 전체적인 통일감을 이끌어 내며 이러한 현상은 공간이 점차적으로 확장해 나가며 시각적으로 비예측적인 장면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시간적 전이는 물리적, 시각적 사물들을 교섭하고 기억의 시간적 흐름에 따라 중첩되어 새로운 가치를 띠는 추상적 현상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전이개념을 토대로 건축사례를 분석한 결과 연결성, 융합성, 주체성, 통일성, 비예측성, 투명성, 확장성이라는 일곱 가지의 확장개념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결론) 사회적 변화는 공간 인식 및 개념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궁극적으로 인간의 경험과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실체로 구현된다. 본 연구는 현대 엘리베이터의 이동공간으로의 해석과 가치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봄으로서 전이성의 확장된 개념과 현대적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current demand for the fluid and diversified programs of modern architectural space, the concept of fixed space is changing into something diverse and flexible. Thus, the circulation space also works as a leading element, instead of an additional element while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are expand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odern elevator space and architectural space, and if the value transitional concept has been expanded in the aspect that the transitional concept of elevator as a moving space, one of the representative circulation spaces is changing from the functional aspect to the aspect of value. (Method) This study, first, establishes the theoretical concepts of circulation space and elevator.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hanged relations between modern elevator space and architectural space, the expanded transitional concept is drawn, and then how it has been expressed into modern elevator is considered. Third, through the case analysis on architecture showing the expanded value of elevator based on the analyzed transitional concept, the aspect of the transitional concept of elevator as a moving space is drawn. (Results) On top of the analysis on the meaning, role, and characteristics of elevator and circulation space, analyzing ①connectivity of internal space, and ②relation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the concepts of physical transition, visual transition, and temporal transition between elevator and architectural space were drawn. First, the physical transition buffers or expands more than two conflictual spaces, leads the spacial harmony, and also lets users`` behaviors newly change through the repetition of physical elements. Second, the visual transition makes it possible to have observation in the vertical new aspect and also visually draws the overall unity of space, which makes it possible that space is gradually expanding and unpredictable scenes can be visually realized. Third, the temporal transition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abstract phenomenons showing new value as it confers with physical/visual objects, and also get overlapp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oral flow of memor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architectural cases based on such transitional concepts, total seven expanded concept keywords including connectivity, convergence, independence, unity, unpredictability, transparency, and expandability were drawn. (Conclusions) Social changes have influence on the awareness and concept of space, which is eventually realized as a physical truth having influence on humans`` experience and form.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expanded concept and modern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by considering the expandability of interpretation and value of modern elevator as a moving space.

      • KCI등재

        문화인지를 통한 박물관 체험전시 외국인 경험요소 평가 연구

        김수연 ( Su Yeon Kim ),안성모(교신저자,조교수) ( Seong Mo Ah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문화경제시대를 맞아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 관광객 수가 급증하고 있다. 외국인에게 한 국가의 문화를 경험시키고 이해시키는 박물관의 중요성이 증대되었으며, 특히 다감각적 상호작용에 기반 한 체험전시에 있어 문화적 특수성이 고려된 체험유도가 중요해졌다. 박물관을 찾는 외국인 관람객수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을 고려한 체험전시에 대한 연구 및 전시연출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외국인의 경험요소를 고려하여 외국인을 위한 체험전시의 방법 및 구성요소와 체험방식을 제시하고, 둘째, 국내의 대표적 박물관에 연출된 체험전시의 외국인 경험요소를 평가하고 개선방향과 앞으로의 연출방향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외국인의 타문화 경험 및 습득방법에 대한 문화인지 이론 및 경험디자인과의 관계를 고찰하고, 둘째, 박물관 체험전시의 특성을 살펴보고, 문화인지를 고려한 경험요소를 통해 체험전시연출의 분석프레임을 제시한다. 셋째, 도출된 분석프레임을 통해 국내 국립박물관의 체험전시 콘텐츠를 평가하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 외국인의 경험요소는 문화인지 특성을 통해 체험전시 연출을 도출하였고, 1차 문화인지성 경험요소에는 행동,관계, 감각과 이를 통한 2차 문화인지성 경험요소에는 감성, 사고로 구성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시각적인 유도와 조작이 강하게 나타났고, 더불어 국립중앙박물관은 동작, 국립민속박물관은 청각 요소가 집중되어 나타났다. 둘째, 2차 문화인지성 경험요소에는 공통적으로 단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물 또는 정보를 알리기에는 충분하다고 볼 수 있지만, 미흡함이 드러났고 개선되어야 할 부분도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결론)외국인에게 박물관은 문화를 알리는 매개체이며 타문화 습득의 도구로서 작용한다. 첫째, 외국인의 문화경험을 위해 문화인지를 고려한 총체적인 경험이 극대화되었을 때, 특수한 상황 속에서 문화 습득의 효과가 커진다. 둘째, 외국인의 경험요소를 통해 문화 습득범위가 넓어졌을 때, 직접신체를 통한 정서적, 학습적 요소를 자극하는 단서성, 서사성, 연상성이 적용된 참여 연출이 필요하다. 셋째, 소수의 체험매체를 넘어 전시공간에서 직접적으로 맺어지는 관계를 통해 연결되는 내적 경험까지 충족시켜주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number of foreign visitors into the country is increasing rapidly in a cultural economic era,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where experiencing and conveying national unique culture is growing. Especially, the experiential exhibition contents which are based on the multi-sensuous interaction becomes more important as it induces experience of cultural specificity. Even though the number of attendance into the museum is increased, the researches and the exhibition presenta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experiential exhibition considering foreign attendanc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the analysis framework which is composed of cultural elements and experiential method in the museum experiential exhibition design considering foreign attendance through the theory of cultural cognition and experience design, and evaluate the Korean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s through the analysis frame. (Method)First of all, the theory of cultural cogni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experience theory are analyzed to draw the methods of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experiential exhibition are studied and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experiential exhibition considering cultural cognition and experience is presented. Lastly, the Korean national museums are evaluated through the experiential exhibition analysis framework and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Results) Behavioral, relational, and sensual characteristics are deducted for the primary cultural cognitive experiential elements, and emotional and thinking characteristics are extracted for the secondary cultural cognitive experiential elements for the foreigners. Based on these elements, two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s, National Museum of Korea(NMK) and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NFMK),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both museums show strong visual inducement and control and the motion character is dominant in NMK while the auditory sense is prominent in NFMK. When it comes to the secondary experiential elements, both museums show lowest figure in characteristic of clue. These results show that necessity of improvement even it is sufficient to introduce information of antiquities.(Conclusions) For foreigners, museum plays an important role as tools or mediums to understand other culture. Fist of all, cultural acquisition increases when the overall experience is maximized by considering cultural cognition. Secondly, participatory exhibition, which is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clue, narrative, and imagination stimulated by emotional and instructional elements, is necessary to broaden cultural spectrum. Thirdly, the museum exhibition has to satisfy internal experience through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experiential contents and exhibition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