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폐 사용 시 나타나는 대응반응의 심리적 기제

        안서원,김범준,박수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액권과 고액권 지폐 사용에서 반복적으로 검증된 대응반응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응반응이란 제품의 가격과 지폐의 단위가 비슷할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연구 1에서는 지폐 지불방식에 대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대응반응이 나타나는지와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 단일 제품의 가격 또는 여러 제품 가격의 합으로 대응되는 경우 대응반응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폐 지불방식을 선택할 때 왜 특정 지불방식을 선택했는지 그 이유를 적도록 하였다. 결과를 보면, 지불방식을 선택할 수 있을 때에도 여전히 대응반응이 나타나며, 여러 제품 가격의 합보다는 단일 제품 가격으로 대응될 때 대응반응이 더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주관식 답변을 분석한 결과 거래비용을 최소화하는 사용 편리성이 특정 지불방식을 선호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단일 제품 가격으로 대응될 때 가장 대응반응이 많이 나타난다는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 2에서는 제품 가격이 점화자극이 되어 가격과 대응되는 단위를 가진 지폐의 재인을 더 빠르게 하고, 이러한 지각적 유연성이 대응되는 지폐의 사용의도를 높이는 것이 아닐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점화효과가 지지되었다. 결론에서는 결과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a psychological mechanism of matching response replicated in the previous study in using bills with large and small denominations. Matching response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purchase intention increases as the price of product matches denomination of bills. In study 1, it was investigated if matching response still appeared when respondents had a choice of how to pay for a product, and if matching response appeared in a different degree when a price was just for one product or it consisted of several products. And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write down their reason for choosing a certain way of paying. The results showed that matching response still appeared when the respondents had a choice of paying bills and it appeared most frequently when the price of one product matched the denomination of bill. The analysis of the open question showed that people chose a certain way of paying mostly to minimize transaction cost.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study 2 tested if a product price acted as a prime facilitating recognition of a matching bill and perceptual fluency brought by priming increased intention to use a matching bill. The result supported priming effect. In conclusion, implication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돈과 권력이 대인간 거리에 미치는 영향

        안서원,박수애,김범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돈과 권력의 점화가 대인간 거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인간 거리를 사회적 거리와 물리적 거리로 구분하여, 연구 1에서는 돈과 권력이 사회적 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거리는 조망수용 과제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 거리에 대해서는 돈과 권력 모두 사회적 거리를 멀어지게 만들 것이라고 예측하여 돈과 권력에 대해 점화를 받은 집단을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예측한대로 돈과 권력이 점화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거리가 크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돈과 권력이 물리적 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예측한대로 권력이 점화된 조건이 돈이 점화된 조건보다 물리적 거리를 적게 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돈과 권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mparable and differential effects of money and power on interpersonal distance, which was divided into social or psychological distance and physical distance. In Experiment 1, the effect of money and power on social distance was examined and social distance was measured by a perspective taking task. Because similar effects of money and power were expected, the two groups, primed with money and power, were compared to a control group. As expected, both groups showed more social dista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the effect of money and power on physical distance was investigated. As expected, the group primed with power showed more physical closeness than the group primed with money. Finally, comparable and differential aspects of money and power were discussed.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어휘 표현의 선별적 틀 효과

        안서원,도경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16 No.3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를 어휘로 제시할 때 틀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재검증하기 위해 건강과 관련된 가상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후속조치를 취할지 선택하게 하였다. 표현방식(어휘, 숫자)과 틀 (긍정틀, 부정틀) 외에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질병의 종류(코, 근육), 병명의 친숙도, 참고자료의 유무를 조작하였다. 아울러 긍정 틀을 ‘축농증이 아닐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와 같이 부정적 사건의 비발생으로 표현한 비발생 긍정 틀과 ‘일시적인 비염일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와 같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사건의 발생으로 표현한 발생 긍정 틀의 두 가지로 조작하였다. 근육질병에서는 틀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코 질병에서도 어휘로 불확실성 정보를 제공했을 때만 선별적으로 틀 효과가 나타났다. 즉 비발생 긍정 틀에서는 참고자료가 있을 때 틀 효과가 나타난데 반해, 발생 긍정 틀에서는 참고자료가 없을 때 틀 효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건강과 같이 개인에게 중요한 선택문제에서는 틀 효과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present study re-examined whether framing effect appeared only when uncertainty was expressed verbally. We presented scenarios in which respondents had to make a health related choice. In addition to frame and expression mode, kinds of disease(nose, muscle), familiarity of disease name, and presence of detailed description of disease were also manipulated. Positive frame was manipulated in two different ways, either by mentioning non-occurrence of negative outcome (non-occurrence positive frame) or by mentioning occurrence of positive outcome (occurrence positive frame). The results showed that framing effect appeared only for less serious disease and when the uncertainty was expressed verbally. In addition, the framing effect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kinds of positive frame and the presence of detailed description; The framing effect with non-occurrence positive frame was obtained when detailed description was provided, whereas the framing effect with occurrence positive frame appeared when detailed description was not provid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aming effect was very selective in choices with personal importance such as health.

      • KCI등재

        의예과 학생들의 인지양식과 학습양식의 관계

        안서원,김미라,덕선 한국의학교육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2 No.1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learning style by comparing the Cognitive Styles Analysis (CSA)with the Index of Learning Styles (ILS). We assessed whether cognitive styles correlated with learning styles with regard to their corresponding dimensions. Methods: One hundred two second-year pre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and data from ninety-four students were analyzed. One student's data file was lost during data collection, and six students were excluded because their correct response rates on the CSA were lower than 50%. Both scales were presented on a computer item by item, and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in the computer lab as a group. For analysis, responses and reaction times were recorded. Results: Distributions of the styles were generated. We correlated the verbal-imagery dimension of the CSA with the visual-verbal dimension of the ILS and found no correla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wholist-analytic dimension of the CSA with the sequential-global dimension of the ILS. Excluding intermediate students in the verbal-imagery dimension of the CSA, however,there appeared to be a margin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erbal-imagery dimension of the CSA and the visual-verbal dimension of the ILS. Conclusion: In the visual (imagery)-verbal dimension, there was som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nd learning styles

      • KCI등재

        위험에 관한 형용사 어휘와 위험 대상의 분류과제에서 도출한 위험의 의미 구조

        안서원,도경수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17 No.2

        The present study used sorting task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o obtain psychological dimensions of risk perception from risk related adjectives and risk objects. In study 1, we selected 50 risk related adjectives and had participants sort them four times. We chose a four dimension solution and interpreted them as ‘activation(or arousal) level’, ‘predictability of dread’, ‘severity of risk’, and ‘severity of psychological response.’ In study 2, we selected 40 representative risk objects and had participants sort them four times. In addition, each risk object was rated with the property scales from the four dimensions of adjectives of study 1. We chose a four dimension solution and interpreted them as ‘predictability of occurrence', ‘perceived severity’, ‘public vs. personal’, and ‘common vs. rare.’ The property ‘predictability of dread' fitted well with ‘predictability of occurrence' and the rest three properties fitted well with ‘perceived severity.’ In study 3, we tested the psychological plausibility of ‘predictability of occurrence' and ‘perceived severity’ by using odd one out tasks,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easier to distinguish risk objects by ‘perceived severity’ than by ‘predictability of occurrence.' Finall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일반인들이 지각하는 위험의 의미 차원을 도출하기 위해 위험에 관한 형용사 어휘와 위험대상을 분류한 자료에 대해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위험을 표현할 때 쓰이는 형용사 어휘 50개를 선정하여 이를 네 번 분류하게 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하여, ‘활성화 수준’, ‘두려움의 예측정도’, ‘위험 대상(인물 대 상황)’, ‘심리적 반응의 강도’의 네 차원을 도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표적인 위험대상 40개에 대해 네 번 분류하게 하였다. 그리고 각 위험대상들을 연구 1에서 얻은 형용사 척도에서 평정하게 하였다. 위험 대상의 분류자료를 다차원척도 분석하여 ‘위험발생의 예측가능성’, ‘지각된 심각성’, ‘피해의 범위', '노출의 일상성’의 네 차원을 도출하였다. 이중 ‘예측가능성’은 형용사 척도의 ‘두려움의 예측정도’와, ‘지각된 심각성’은 나머지 세 척도와 잘 대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 2에서 모두 도출된 ‘예측가능성’과 ‘지각된 심각성’의 차원 독립성을 검증하였는데 ‘지각된 심각성’에 따른 위험대상의 구분이 더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한국판 레토릭 지수(RHETSEN-K)의 개발과 타당화

        안서원,이영훈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의료커뮤니케이션 Vol.8 No.1

        Purpose: We aim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Rhetorical Sensitivity Scale by Eadie and Powell (1991). The scale is expected to help communication students and educators by letting them to know what their communication types are and how they can be improved. Methods: We carried out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and based on the results we categorized communication types of the respondents. Then,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of RHETSEN-K, Communication Competency Scale, and Big 5 to affirm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RHETSEN-K. Result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uggested the three factors, rhetorical sensitives, noble selves, and rhetorical reflectors as in the original study, but the factor structure was slightly differen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hree factors were all above .7. The result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howed that rhetorical sensitiv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ormation gathering, taking initiatives, understanding others'perspectives, extroversion, agreeable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Noble selv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vercoming stereotypes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aking initiatives, extro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Rhetorical reflecto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 disclosure, taking initiatives, extroversion,and openness to experi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original concepts of the three types are mostly kept in Korea.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rhetorical sensitivity and the East-West cultural differenc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HETSEN-K are discussed

      • KCI등재

        창의적 소비에 대한 유튜브 비디오 네트워크의 특성과 댓글을 통한 소비자 반응 분석: Ikea hack을 중심으로

        안서원,Park, Byeonghwa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1

        Lately creative consumers have increased, who use products differently from original usage or recommended methods. Some of them make their own how-to videos of creative consumption, upload them on social media networks such as YouTube, and share them with those who have similar interests.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sumers’ reactions to creative consumption videos by examining Ikea hack video networks on YouTube and by analyzing comments written on the videos. For this aim, we collected 500 videos using the keyword ‘Ikea hack’ with NodeXL and analyzed the video network commented by the same user. We also collected 6,800 comments written to the most viewed and commented video. The co-occurrence of words in the comments was analyzed for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ling. For analysis, we collected a video network consisting of 494 video nodes and 273 unique links. The density of the network is 0.002 and clustering coefficient is 0.133, showing loosely connected network.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centrality and performance (i.e., the number of views, comments, likes and dislikes) indices were obtained, and the network was visualized with different methods and grouped into small clusters.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write comments do so selectively on videos that fit their interests, forming small clusters, and there are two groups of people, those who produce and upload videos and those who consume the videos and react to them by writing comments. The content analyses of the comments show that people express their surprises and compliments on excellent Ikea hack ideas. Communication is mostly about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 exchange. Communication through comments lets users feel sense of belonging to implicit community formed by people who share similar interests and encourages the idea of creative consumption to be diffused throughout the world. 제품의 원래 용도나 사용방식과 다르게 자신만의 창의적인 방식으로 소비를 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소비자들은 자신의 창의적 소비방식을 유튜브와 같은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에 동영상으로 올리고 이를 비슷한 관심을 가진 다른 소비자와 공유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케아 제품을 새롭게 자신만의 제품으로 만드는(Ikea hack) 유튜브 비디오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런 동영상에 남겨진 댓글을 분석하여 창의적 소비 영상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NodeXL을 통해 Ikea hack이라는 주제어를 가지고 동일 사용자가 댓글을 남긴 비디오 네트워크로 500여 개의 동영상을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이들 동영상 중 가장 많은 조회 수와 댓글을 가진 한 동영상의 6,800여 개 댓글을 수집하여 단어의 공출현 분석을 통해 의미연결망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94개의 동영상 노드와 273개의 고유 링크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네트워크의 밀도는 0.002, 평균 군집화 계수는 0.133로 낮게 나타났다. 여러 방법으로 네트워크 그래프를 시각화하고 군집화 분석을 한 결과, 댓글을 남기는 사람들의 경우 많은 동영상에 댓글을 남기기보다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부 동영상에 주로 댓글을 남김을 볼 수 있었고, 동영상을 게시한 사람들과 동영상을 시청하며 댓글을 남기는 사람들이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댓글은 동영상이 보여주는 멋진 hack 아이디어에 놀라움이나 찬사를 표현하거나 관련 질문을 하거나 비슷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등의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주로 정서적 지지를 하거나 정보 교환적임을 볼 수 있었다. 한 영상을 두고 일어나는 이와 같은 댓글 소통은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 간에 암묵적인 커뮤니티가 형성되도록 하고 창의적 소비가 확산되는 데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사람들은 돈이 어떤 변화를 가져온다고 생각하는가?: 나와 타인의 차이

        안서원,박수애,김범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at kinds of changes people thought would occur if they earned lots of money. Self-other differences in their thoughts and relationships to money attitude were examined as well. In pilot study,we asked what kinds of changes would occur and selected 24 items based on the responses. In main study, we asked to rate 24 items on 7 change attributes. Among the 7 change attributes, the degree of change attribute was used to do factor analysis of 24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regards to the change of self, five factors such as external factor, future, breadth of mi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onation were extracted. With regards to the change of others, internal factor was added to the five factors. Regarding the 7 change attributes, the values were mostly above 4 point that was the mid point, which implies that people thought that the change caused by money was big, continuous, positive, having a great ripple effect, fundamental, but controllable. The seven change attributes were also factor analyzed and the two extracted factors were change of quality and quantity. There were self-other differences both in the evaluations of the seven change attributes and the two factor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factors and money attitude demonstrated that the more positive money attitudes were, the more change was expected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people believed many good changes would occur due to money and the changes occurring to self were especially positiv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돈을 많이 벌면 어떤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았고, 변화에 대한 인식에서 나와 타인의 차이가 있는지, 돈에 대한 태도와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함께 조사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돈을 벌면 어떤 측면에서 변화가 생긴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여 24개 항목을 도출하였고, 본 조사에서는 24개 항목에 대해 변화가 어떤 양상인지 7개의 변화 속성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변화 속성 중 변화의 정도에 따라 24개 항목을 요인분석한 결과, 나의 변화에 대해서는 외적요인, 미래, 여유, 대인관계, 기부의 5개 요인이 나타났고, 타인의 변화에 대해서는 외적요인, 내적요인, 여유, 미래, 대인관계, 기부의 6개 요인이 나타났다. 7개 변화 속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변화 요인에 대해 척도의 중간값인 4점 이상의 값이 보고되어 사람들이 이러한 요인들에 있어서의 변화가 크고, 지속적이며, 긍정적이고, 영향범위가 크고, 근본적인 변화지만 자신이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개 변화 특성을 요인분석한 결과 변화의 질과 양의 두 차원이 도출되었다. 변화 속성에 대한 평가와 요인분석에서 모두 나와 타인의 차이가 나타났다. 변화 속성 요인과 돈 윤리척도와의 관계를 보면, 돈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돈으로 인한 변화의 양이나 질도 크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람들이 돈으로 인해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날 것이고 자신에게는 그러한 변화가 더 긍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