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간 성화 문제에 관한 시론 : 조선시대 공인된 유교의 성현들을 통해서 본 성스러운 인간

        심형준 ( Hyoung June Shim )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2009 宗敎學硏究 Vol.28 No.-

        Nothing is more general thing than human beings used for concreting the world. Various sacred humans also have been made in Joseon Dynasty. I have meant to investigate the 18 sages worshipped in The State Temple of Confucius in Joseon(Munmyo, 文廟) as an example of this general imagination in this essay. Actually I have mentioned only some representative sages of the 18 sages: Choi Chi-won(崔致遠), An Hyang(安珦), Jeong Mong-ju (鄭夢周), Jo Gwang-jo (趙光祖). Yi Hwang(李滉), The processes of sellections of sages, who should be worshipped in the Temple of Confucius. accomplished with political background is fundamentally the work neo-Confucianist had intended to establish genealogically the orthodoxy of School of Zhu Xi(朱子學/道學) in Joseon Dynasty. The select processes were not different from the work which a group to secure the political power had symbolically justified his power. It was explicitly revealed in this example that the imagination expressed in these processes was truly political. It might be comparable to western saint canonization after which had been institutionalized. Therefore it might be naturally thought a kind of `saint worship.` But if we conform to this concept, we will collide against the wall this example reveals a completely political character. If we consider the fact the early version of saint worship was more popular. it is more persuasive. The concept of `hero worship,` though it is little wider concept, is proper. As it is studied with a hero worship, we will meet the familiar issue metamorphosis of religious imagination into political one. Examining this issue I have meant to understand as a whole the mechanism of human sacralization reproduced in Joseon Dynasty. We are reconfirm the legitimism of School of Zhu Xi in Joseon Dynasty. Also, we reaffirm the general character emphasizing intelligence and virtue in select processes of sages. By this investigation I will sense exchangeable in the state that intellectual, political, religious dimensions were amorphous. Lastly, this examination, as limited one in classes, demands subsequent studies in the larger context which shoud depict Joseon people`s `the map for sacred human.

      • KCI등재

        한국 기독교 민속신앙론은 어떻게 가능한가?: 인지종교학의 관점이 말해주는 것

        심형준 ( Shim Hyoung Jun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3 No.33

        이 글의 목표는 기독교민속신앙을 토착화의 틀로 바라보는 문제와 인지종교학 표준모델로 볼 때 이것을 어떻게 다르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한국 기독교 민속 혹은 기독교 토착화를 논하는 기존의 연구는 세계종교 패러다임에 입각해서 ‘민속종교’, ‘민속신앙’, ‘민간신앙’, ‘혼합주의’, ‘샤머니즘’, ‘한국적 기독교’ 등등으로 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세계종교와 대비되는 민속종교 혹은 민간신앙은 하나의 ‘단일한 실체’로 상정되었고, 종종 샤머니즘 혹은 미신과 비슷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민속 혹은 민간신앙으로 규정되는 신행은 과거부터 해당 지역에 전래되어 온 것으로 그 민족 혹은 국가의 ‘고유한 특성’(배타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특정 지역에서 고유한 것으로 여겨지는 믿음과 실천은 다른 지역에서 비슷한 패턴으로 쉽게 발견되곤 한다. 한국 개신교 새벽기도 사례를 통해서 이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신행에서 다소 간의 차이가 확인되지만, 그것은 ‘본질적인 차이’가 아니다. 이러한 특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틀로 필자는 인지표준모델에 입각한 기독교민속신앙론을 제시한다. 그리고 기독교민속신앙론은 한국의 특수성이 아니라 인류 차원의 일반성에 입각한 ‘한국적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viewing Christian folk beliefs as a framework of indigenization, and how it can be explained differently in view of the standard model in the 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Christian folklore or Christian indigenization was based on the World Religions Paradigm, and they would try to explain it in terms such as ‘folk religion’, ‘folk belief’, ‘folk faith’, ‘syncretism’, ‘shamanism’, ‘Christianity peculiar to Korea’, etc. A folk religion or folk faith contrasted with World Religion was supposed to be a ‘single entity’ and often understood to be similar to shamanism or superstition. And it is believed that the beliefs and practices defined as folk faith or folklore have been passed from the past, and have the ‘inherent characteristic’ (exclusive one) of the nation or state. However, beliefs and practices, which are perceived to be unique in certain areas, are often found in similar patterns in other areas. It can be confirmed simply through the example of Korean early morning prayer. There is some discrepancy in such practices, but it is not an ‘essential difference’. As a framework to explain these characteristics, I propose Christian Folk Belief Theory based on the cognitive standard model. And Christian Folk Belief Theory can explain the substance of ‘Korean difference’ based on the generality of mankind rather than the specificity of Korea.

      • KCI등재

        밀양 송전탑 사건을 둘러싼 정당성 담론의 전개

        심형준(Shim, Hyoung-June),김시연(Kim, Si-yeo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2 No.-

        밀양 송전탑 사건은 다양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전력수급문제, 재산권 문제, 국가폭력과 시민 저항 문제, 핵발전 문제, 대단위 송전 문제, ‘송주법’ 문제, 공공정책 갈등 문제, 탈핵 문제, 마을 공동체 해체 문제 등이 이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 최근 밀양 송전탑 건설 반대 운동을 주도하는 세력은 송전탑 무력화의 일환으로 탈핵 운동에 매진하였다. 그래서 밀양 송전탑 건설 반대 운동에 관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밀양은 ‘탈 핵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이 사건은 본래 그렇게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사건이 전국적 이슈로 받아들여진 계기는 이치우 어르신 분신 사건이었다. 그 시기 밀양은 강정과 함께 무도하고 불합리한 국가 공권력의 폭력적 집행 사례로 주목되었다. 이제 신고리 5, 6 호기 건설이 재개되면서 밀양 송전탑 사건과 탈핵 이슈와의 관련성은 다시 환기될 기회를 얻기 어렵게 되었다. 그렇다면 밀양 송전탑 사건은 한국 사람들에게 어떻게 기억될 수 있을까? 이 질문의 답을 찾아보기 위해서 송전탑 건설을 둘러싼, 주로 찬반 진영의 정당성 담론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투쟁적 상황의 사실이 정당성 담론에 기반한 ‘진실한 이야기’로 규정될 수 있고, 그래서 비식별적 정의(正義) (定義될 수 없는 正義)의 모습으로 갈등하게 되 면서 여러 사실이 존재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사실들’이 정당성 구성을 위한 가치판단의 산물이기 때문에 그것은 구성적 특성을 갖는다. The Mir-yang transmission tower conflict has various implications. Issues of power supply and demand, property rights, national violence and civil resistance, nuclear power generation, massive power transmission, anti-nuclearism, the demolition of village communities, etc. are all linked to this case. The forces that led the movement against the construction of the Mir-yang transmission tower recently launched an anti-nuclear campaign as part of the power tower disabling movement. Therefore, Mir-yang is accepted as a symbol of “No Nuke” among the people involved in the movement against the construction of the Mir-yang transmission tower. However, the Mir-yang conflict did not initially receive so much attention. It was only accepted as a nationwide issue after Lee, Chiu’s self-immolation. At that time, Mir-yang was noticed as an instance of the violent execution of national powers, along with Gang-jeong. With the resump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Shin Gory nuclear power plants No. 5 and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r-yang case and the anti-nuclear issue has become less noticeable. How, then, will Koreans remember the Mir-yang case? To answer this question, we will examine the changes in the legitimacy discourses of the main pros and cons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of the transmission tower. Through this, we confirm that the facts of the conflictive situation can be defined as a “true story” based on the legitimacy discourse. Therefore there are various facts that conflict with one another, making it an indistinguishable justice.

      • KCI등재

        역사적 인물의 상징화와 신격화 : 맥아더에 관한 두 개의 기억

        심형준 ( Shim Hyoung Jun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맥아더는 한국 사회에서 그다지 논쟁적인 영웅이 아니었다. 그의 나라 미국에서는 그렇지 않다. 그의 이름을 딴 무기가 존재하지 않을 정도이다. 한국 사회에서 맥아더의 논쟁적 성격이 주목된 것은 2000년대 이후의 일이다. 이전에도 몇몇 지식인과 몇몇 언론은 그 문제를 조명했지만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는 못했다. 맥아더의 상징적 가치를 재평가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미국에 대한 관점이 달라져야 했고, 맥아더의 부정적 측면을 알리는 미디어가 존재해야 했다. 한국 사회에서 최근 몇 년 사이에 벌어진 역사 전쟁에서 핵심적 위상을 차지하지는 못했지만 상당히 중요한 인물로 다뤄지긴 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맥아더는 지배층의 데마고기가 대중적 믿음과 어떻게 쉽게 결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더욱이 이 인물이 무속세계의 신이 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인물신의 생성 과정을 거의 동시대적으로 살펴 볼 수 있게 해 주는 사례다. 이 글에서 필자는 맥아더에 관한 두 기억의 갈등에 주목하면서 사회-정치적 상징이 어떻게 종교적 상징으로 변형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Just 20 years ago, Douglas MacArthur was not a controversial hero in Korean society. Whereas his controversial character after the Korean war has never faded away in his own country, United States of America until now. For instance, it is common events to give names to the weaponry after a war hero`s name. But as far as I searched, they never gave MacArthur`s own name onto any weaponry, like “Sherman Tank.” However, the unusual controversy on MacArthur has been submerged again around the 2000s in Korean society. Before this happening, some intellectuals and news media had made some issues on him, which did rarely draw attentions among the people. Certain conditions are to be met in order to revaluate him and his symbolic value in Korean society. Most of all, people`s perceptions on U.S has to be changed, and secondly, news media`s articulation on him should be directed to emphasize his negative aspect. Through recent war involvements of Korea MacArthur was not appeared as an important figure to contribute to building Korea sound and prosperous, but recognizable at least. He is re-appeared as the object of demagoguery among the ruling class. Moreover, he became a typical example to be enhanced to be enshrined as the human god with the help of the ruling class demagoguery and the people`s hero-admiring sentiments. Even he is enshrined as a god in Musok(巫俗), a native religious form. He is evidently showing the process of transforming a personage from a war hero to a local god in Korean society by way of political cause and people`s perceptions. I focused on the conflict memories of MacArthur, a war hero, and analysed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a socio-political symbol into a religious symbol.

      • 아편(마약)과 종교: 아편의 비유, 그 이면을 찾아서

        심형준 ( Hyoung June Shim )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2013 宗敎學硏究 Vol.31 No.-

        Marx`s critique on religion through the opium metaphor has a dialectical character. Religion makes people have false consciousness and provides them a shelter from their suffering in life. We can find this character in today`s symbolic meanings of opium. It is also same in the sacred. This article is an analogy. Religion and opium is not the same thing. They always are only lik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not great. The gap between religion and opium may be narrowed. They c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Because they have some joint parts. First, we can find one in social level of religion. Second. the internal experience for transcendence is another discoverable one. It is not only in symbolic meanings. but also in realistic meanings. On these things in this article. I try to think about another aspect of the Marx`s metaphor which has a different implication on the secularization discourse.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situation that some people prefer saying themselves spiritual to saying religious. We need some special conditions to hold true Marx`s opium metaphor. The pressure made by irregularities in religion and society is the driving force to substantiate this analogy between religion and opium. Those who desire to escape from the absurd of religion and society. those who would not gladly to be deceived by past fantasies. could make ``opium`` their travel companion to leave from this side to that side. It is difficult to imagine that there is nobody who has to leave from here to there.

      • KCI등재

        특집논문 : 섹슈얼리티의 성스러움: 금기 너머의 더럽고 위험한 성스러움과정상(正常) 섹슈얼리티

        심형준 ( Hyoung June Shim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3 No.23

        이 글은 섹슈얼리티의 성스러움, 특히 그것의 부정적 측면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섹슈얼리티의 성스러움은 종교학에서 익숙한 주제이다. 그렇지만 그 관심이 성스러움의 긍정적 측면에 머물러 있다. ``위험``이나 ``더러움``으로 불리는 부정적 성스러움은 성스러움 의 양가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성스러움의 위상학이 이해된다면 그양가성 문제는 풀리게 될 것이다. 에밀 뒤르켐은 성스러움의 양가성이, 긍정적 성스러움 (순수)과 부정적 성스러움(불순)이 서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설명 했다. 그는 변형의 기준으로 집단의 감정 상태를 제시했다. 이 글은 그의 의견을 따라서 섹슈얼리티 차원에서 성스러움의 변형 문제에 주목한다. 남성적 섹슈얼리티에서 조형적 섹슈얼리티(앤소니 기든스)로 변화하면서 성에 관한 과거의 환상은 깨지게 되었다. 성에 관한 과거의 환상이라는 성스러운 멍에는 사라지고 성과 사랑에 관한 새로운 담론이 구축되고 있다. 그러한 이행은 다양하고 복잡한 합리적 이해, 제도화 그리고 도덕의 변화를 수반한다. 이러한 이행과정에서 성스러움의 변화 메커니즘이 주목된다. This article has focused on the issue of the sacred of sexuality, especially its negative aspect. The sacred of sexuality has been a familiar issue in the study of religion. But the interest has been limited to its positive aspect. The negative sacred called ‘the danger’ or ‘the dirty’ has to be given attention to understand the ambivalence of the sacred. The ambivalence gets solved if the topology of the sacred can be understood. E. Durkheim explained that this ambivalence is caused by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s between the positive sacred (the pure) and negative one (the impure). He claimed that the criterion for transformation is the emotional state of the group. According to his opinion, I pay attention to the matter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acred in sexuality. The transition from the masculine sexuality to plastic sexuality (Anthony Giddens) is the deconstruction of the past fantasy about sex. The sacred yoke of the past fantasy on sex has disappeared, a new discourse on sex and love is constructed. Such transition is accompanied by the diverse and intricate processes of rational understandings, institutionalizations, and even changes in the morals. In this transition, I give attention to the mechanism of transformation of the sacred.

      • KCI등재

        강릉단오제 主神 교체 문제에 관한 고찰

        심형준(Shim, Hyoung June)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3 No.-

        강릉단오제의 주신은 현재 범일국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허균의 ?大嶺山神讚?(1603)의 기록을 보면 강릉단오제 주신이 김유신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17세기 초에서 20세기 사이에 어떤 계기를 통해서 주신이 바뀌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어떤 이유에서 그리고 언제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18세기 교체론을 주장한 기존의 학자들의 설은 1차 자료에 등장하는 ‘國師’라는 표현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해당 자료의 표현이 정확한 신명이 아니라는 점 때문에 18세기 교체론의 확실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 1차 자료를 살펴본다면 19세기까지 주신 교체론을 뒷받침할 만한 명확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그런데 19세기말과 20세기 초에 걸쳐서 의례가 중단되었다는 다수의 기록이 확인된다. 이 시기는 집단의 기억에 의존한 의례 계승의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럴 때 언어적 기억이 익숙한 형태로 해석될 개연성이 높아지고 ‘국사 성황신’이라는 조어가 가능해졌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바로 망각에 의한 기억 변조가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아키바 타카시秋葉隆가 남긴 강릉단오제에 관한 기록을 보면 주신에 대한 관심도 크지 않고 범일국사와 관련된 설화도 단오제 주신과 관련성이 있던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서 20세기 초, 망각에 의한 기억 변조 상황과 인류학적 조사의 영향으로 고조된 의례의 주신에 대한 관심이 맞물리면서 강릉단오제 주신이 비로소 범일국사로 규정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20세기에 이루어진 우리의 전통 창출의 한 사례이기도 하였다. Bumil Guksa is known as the main god in Gangneung-Dano festival. But “Daegwansanshinchan(大嶺山神讚)” written by Heo Gyun shows that Kim, Yu Shin (金庾信) was the main god in 1603 in Gangneung-Dano festival.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the main god was replaced from some causes between 17th century and20th century. Questions like why and when this change did occur can arise. The theories of scholars who argued the replacement in 18th C. are based on the expression ‘Guksa(國師)’. But the expression is not exactly same name of the present main god, so it is not the indisputable grounds for the theories of the replacement in 18th century. From the 1st materials, the definitive foundations of the theories are not founduntil 19th century. By the way, a number of records of which the ritual was stopped during the late 19th C. and early 20th C. are confirmed. This period can be the timeof ritual inheritance dependent on collective memories. At a time like this, it seems thatverbal memories are interpreted as familiar forms, and that a coined word ‘Guksaseonghwanshin(國師城隍神)’ can be made. There seem to be occured memory modulation by oblivescence. Moreover, according to the record on the festival left by Akiba Takashi(秋葉 隆), he didn’t have attention to the main god of the ritual, the folk tale on Bumil Guksa recorded by Akiba was not either related to the god. For these reasons, I guess that the main god of the festival was fixed by Bumil Guksa while memory modulation by oblivescence and interest in the main god of ritual by effect of anthropological investigation in the early 20th C. were related each other. This is also an instance of the invention of our tradi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