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fects of Information Presentation Timing and Problems Sequencing for Novice Learners

        심현애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esentation timing of supportive information and sequencing of practice problems in complex cognitive task practice for novice learners. Assumptions about the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4C/ID model were applied as a rationale for the treatments that facilitate learners to manage their cognitive load, which occurs when novice learners practice complex cognitive tasks. Independent variables were presentation timing of supportive information and sequencing of practice problems. Supportive information was presented in two ways of before practice versus during practice. Problems were presented in two way with blocked versus random sequencing. Dependent variables were cognitive load, learning effectiveness and learning efficiency. The subjects were 135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he novice learner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y studied how to analyz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state the performance objectives during the first two weeks then practiced the learned during the second two weeks. Results were analyzed the effect on the cognitive load during practice and test, learning effectiveness of concept understanding and rule application, and learning efficiency of practice and performance.

      • KCI등재

        MZ세대 대학생들의 서비스러닝 프로그램 참여 효과 분석

        심현애,박선희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MZ 세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러닝의 운영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었다. 이를 위하여 한 학기 동안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9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에 지역사회 참여의식, 봉사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집단 창의성 인식에 대해 검사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모두 성실하게 응답한 학생은 74명이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지역사회 참여의식이 향상되었다. 하위요인별로는 사회적 책임감, 지역사회 문제 에 대한 개인의 영향, 지역사회와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의 세 가지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봉사활동 에 대한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의 두 가지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셋째, 집단 창의성 인식 전체는 변화가 없었으나 하위요인별로 상반된 양상이 나타났다. 창의적 문제해결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반면 확산적 사고능력은 사후 평균점수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는데, 그러한 결과를 가져온 이유에 대해서 참여시간의 부족이 거론되었다. 그밖에 추가적인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learning operation targeting MZ generatio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95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ervice learning program for one semester were tested on their sense of community participation, self-efficacy for volunteer work, and recognition of group creativit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re were 74 students who responded faithfully to both the pre-test and post-test, and the results of the paired-sample t-test conducted on them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ervice learning improved. Specif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all three subfactors: social responsibility, individual influence on community issues, and feeling connected to the community. Second,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improved. Both sub-factors of confidence in community volunteer work and self-regulation efficacy showed significant changes. Third, there was no change in the overall perception of group creativity, but conflicting patterns appeared for each subfactor.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eative problem solving.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ost-average mean score for divergent thinking ability was hi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lack of participation time was cited as the reason for such a result. Addition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를 위한 플립러닝 수업 개발 및 적용 효과: 말하기 관련 정서적 요인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심현애,김경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This study redesigned the Korean speaking classes 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s flipped learning classes and verified their effect on speaking-related emotional variables. In addition,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of what experiences are needed to improve speaking efficacy in Korean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the 'Creative speaking' subject for freshmen was redesigned to flipped learning class and operated for one semester. To analyze the effect of speech-related emotions,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on 26 foreign students’ pre-post scores of speech efficacy and anxiety. Also awareness of experiences needed to improve speech efficacy was surveyed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s the result, the speaking efficacy of students after flipped-learning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is means that flipped learning classes for the Korean speaking are effective for the positive emotions of foreign students speaking Korean. In addition, international students perceived that Korean speaking efficacy can be improved by practicing speaking in Korean, learning with Korean colleague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플립러닝으로 설계하여 적용하고, 말하기 관련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경험이 무엇인지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신입생 대상 ‘창의적 말하기’ 과목을 플립러닝으로 재설계하여 한 학기 동안 운영하였다. 말하기 관련 정서 요인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6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효능감, 말하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신체 증상, 그리고 청중 의식에 대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하고 그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플립러닝 후 학생들의 말하기 효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플립러닝이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높이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유학생들은 한국어로 말하기 연습을 하고, 한국인 동료와 같이 학습함으로써 한국어 말하기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위키를 활용한 예비 유아교사와 경력 학습자 간 협력학습의 효과

        심현애,김경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학생들이 기초학습능력, 직업기초능력, 현장중심 전공교육 적용능력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바탕으로 이런 능력들을 보완하는 교수 지원 방안을 알아보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진행되었다. 먼저 어른이나 유능한 또래의 스케폴딩을 통해 학습자의 잠재적 발달수준을 실제적 발달수준으로 이끌 수 있다는 Vygotsky의 이론에 착안하여 근접발달영역에 해당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 유능한 사람과의 상호작용과 지원을 통해 도전적인 과제 수행 기회 제공, 동료 학습자들의 과제수행 과정 및 결과 공유 기회 제공, 다양한 조건에서 학습의 과정 및 결과를 평가할 기회 제공이라는 전략들을 적용한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환경을 마련하였다. 이런 학습 환경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아동발달’ 교과목을 수강한 107명(초보 예비 유아교사 79명, 경력 학습자 28명)을 대상으로 위키 기반 협력학습을 실시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예비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에 대한 교사 신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즉, 협력학습을 통해 예비 유아교사들은 관찰을 통한 평가, 문식성을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의 사용, 통합교육 등과 같은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수 실제에 대한 신념을 더 확고하게 가질 수 있었다. 예비교사의 서면 인터뷰에서는 DAP 신념에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아동, 아동 학습 및 발달에 관한 관점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환경에 대해 예비 유아교사들은 지식을 공유하는 한편, 댓글을 달아 의사소통하고, 편집이 용이하며 심리적 부담을 줄여 주기에 효과적인 학습도구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양식의 협력선호도가 예비 유아교사와 경력 학습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즉, 위키 기반 협력적 학습 환경에서의 경험을 통해 학습자들은 동료와 함께 과제를 해결하고, 동료의 피드백을 받고, 조언이나 도움을 받아 학습하기를 더 좋아하게 되었다. The study was to design appropriate instructional methods so that cover the lack of demanding skills for the contemporary college students such as basic academy skills, basic job skills and skills to apply their major learning to the work place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thods. The authors hypothesized that the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between the novic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the expert learners who have some experiences on educating kids would be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This was based on Vygotsky's perspectives arguing that learners' potential ability within the ZPD can be enhanced into the real development level through scaffolding by competent adults or peers. Thereby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wiki was devised applying Vygotsky's instructional strategies. Empir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07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79 novice and 28 experienced learners) in order to examine effects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The result is as below: First, teachers' belief on DAP was remarkably improved for novic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group. More specifically, novice learners more solidified the belief on teaching practice appropriate to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e. evaluation though monitoring, various teaching strategies' use for literacy and appropriate integrative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the novic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wiki based learning environment as effective tools for sharing information with peers, actively communicating and giving comments. Third, collaborative preferential tendency on learning style was meaningfully increased in both novice and experienced learners' group. That is to say the learners become more like engaging task performing with peers, receiving feedback from peers and learning with others' advise and help after experiencing the collaborative learning on the wiki based environment. The results implicate that collaborative learning with experienced learners on the wiki based environment can be useful instructional support to raise the expertise for novice college students. The study conclud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플립러닝 참여 요인에 관한 연구

        심현애,김경연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1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flip learning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96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participation intention, perceived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rceived attitud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lip learning class.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ived attitude toward flip learning. Perceived ease of use and suitability of task technolog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for flip learning. Perceived usefulness, Cham Young-hyung class preference, and feeling of burden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erceived ease of flip learning clas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attitud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lip learning class. In addition, it can be inferred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suitability for task skills, participatory class preference, and burdensome factors can have an influence through indirect path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 예비 교사의 수업 설계 실습에서 반성 기능을 강화한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의 활용 효과

        심현애(Sim HyeonAe),김경연(Kim Kyung Yu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성 기능을 강화한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을 활용한 수업 후에 교수효능감, 수업설계 결과물, 성취목표인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자와 사용된 e-포트폴리오 환경이 학습에 유용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먼저 선행연구에서 반성 기능을 강화한 e-포트폴리오의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연구에 적합한 e-포트폴리오 환경을 개발하였다. 효과성 검증 실험을 위해 서울 소재 K대학교에서 “교육학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16명(여학생 12명, 남학생 4명)의 중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전략의 사용과 학습자 참여 등 두 가지 하위요인에 대한 사전과 사후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업설계와 관련된 단계별 실습 결과물은 e-포트폴리오의 동료피드백 활동 전과 후에 5단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e-포트폴리오 학습활동 경험 후 참여한 예비증등교사들은 수업설계 및 지도법과 관련된 학습목표 성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인식을 표현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은 개발된 e-포트폴리오 환경이 유용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 결과에 이어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its effectiveness and usability of the e-portfolio learning environment developed focusing on reflection to facilitate the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skills by implementing it in the real classroom environment for the pre-service teacher of secondary school. 16 pre-service teachers (12 females and 4 males) of K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four weeks’ summer lecture and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 to post te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was reported both sub-areas or us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ngaging for their learners’ participation. Second, learners’ products after received the peer review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five steps of practice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peer review. Third, the learners’ awareness of performance achievement in 14 items related with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methods were fairly high after engaging the practice using e-portfolio. Finally, the pre-service teachers revealed their awareness of usability with considerably high score in activity experiences in the e-portfolio and specific functions such as feedback/revision registration button and tag selection and fairly high score on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e-portfolio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유아컴퓨터 교육환경 조성에 관한 교사의 욕구 탐색

        심현애(Hyeon Ae Sim),이소희(So Hee Lee) 한국아동학회 1997 兒童學會誌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ewpoint of teachers on the desirability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subjects were 8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ho used computers in the classroom. Nondirective and open-ende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Five steps or stages of viewpoints were found: steel-teachers want to have computers in the classroom but have no particular purpose in mind; Step 2-teachers want the children to play with the computers as if it were a toy; Step 3-teachers want to use any programs that are in the computer; Step 4-teachers want to use the computer more purposefully for educational goals; Step 5-teachers want to unify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the multi-media syste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수업설계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심현애 ( Hyeon Ae Sim ),김경연 ( Kyung Yun Kim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효과성 연구의 일환으로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2년 1학기 S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티칭포트폴리오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n=42)과 대체과제를 수행한 통제집단(n=28)으로 나누어 7주간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속변인인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대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5개의 하위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은 MANOVA 분석을, 교수효능감은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 점수는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개별 하위구성요소별 효과에서는 수업설계의 이해, 수업목표의 진술, 수업활동의 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예비 유아교사 들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수업설계의 이해, 수업목표의 진술, 수업활동의 계획 영역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음을 의미한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후 교수효능감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예비 유아교사들의 교수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with teaching portfolio affect on their awar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efficacy. 7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for 7 weeks` experiment being di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42) with teaching portfolio tasks and the control group (n=28) with alternative tasks. Data on both dependent variables was collected with pre-test in order to confirm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and post test. MANOVA was used for the awar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consisted with 5 sub-factors and ANCOVA was used for teaching efficacy because of co-variation from the pre-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core on the awar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was especially significant in 3 out of 5 sub-factors, understanding instructional design, stating learning objectives and plann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ith teaching portfolio positively affected on their awar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especially enhanced the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instructional design, efficac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reflects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ith teaching portfolio influenced in improvement of their teaching efficacy. Mor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added in the study.

      •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 컴퓨터 MIDI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창작활동의 효과

        심현애(HyeonAe Sim),김경연(Kyung Yun Kim)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MIDI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창작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48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고 음악적 개념 이해와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분석하고, 간략한 서면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IDI 프로그램을 활용한 음악 창작활동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음악적 개념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에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데, 하위 요인인 교수결과에 대한 기대와 개인적 교수효능감 요인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MIDI 프로그램이 음악에 대해 이해, 음악실기 능력의 향상, 음악에 대한 내재적 동기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MIDI 활용이 학습도구로서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은 MIDI 프로그램을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음악활동, 자작곡 활용, 악기대용, 학습 자료를 제작하고 관리하는 도구 등으로 유아들의 음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예비유아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using computer MIDI program fo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The subjects were 48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attended in the course of computer. Pre and post scores of musical concept understanding and teaching efficacy on the music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Content analysis on the qualitative data such as reflective journal text were complementally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using computer MIDI program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and enhancing the teaching efficacy on the music. The usefulness of using MIDI program to the participants and their ideas for applying the program toward the future music instruction for young kids were categorized and counted depending on the each item.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additionally discuss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경로 분석

        심현애(Sim, Hyeon Ae),김경연(Kim, Kyung 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가설적인 모형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근무시간, 직장내 사회적지지, 근무환경, 보육효능감, 소진 등 다섯 가지 변인을 도출하고, 변인들간의 가설적인 경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가설 모형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K시의 보육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AMOS를 활용하여 경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했던 경로상의 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적합도 검사 결과 가설적 모형이 최종 연구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근무환경, 보육효능감, 소진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는 각각 유의미한 효과와 설명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근무환경과 보육효능감은 각각 사회적지지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은 근무시간과 보육효능감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사회적지지로부터는 보육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직무만족도는 근무시간으로부터 간접적인 영향만 있었던 반면 근무환경과 소진으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보육효능감으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소진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도 있었다.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줌과 동시에, 근무환경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보육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보육효능감과 소진을 차례로 매개로 한 간접효과 등 세 가지 간접경로를 통해서도 직무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각 경로에 대한 보다 구체적 인 결과와 논의점 그리고 보육교사 지원 정책에 주는 시사점과 연구 제언을 추가로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the childcare teachers’job satisfaction. Through the precedent literature review, five variables such as working hours, social support within the childcare center,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at affect to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 hypothetic path model among the variables was selected. Details of the hypothetic path model were as follows; Firstly,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would 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Secondly, working hours would in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burn-out. Thirdly, social support would 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as well as indirectly affect with the different three indirect paths mediated by childcare efficacy,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in order. 133 samples of the childcare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version 22 and the main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ll variable except the working hours was correl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and each pair-variable of the path which was set in the hypothetic model was also correlated each other. Secondly, the hypothetic path model was adopted as a final research path model satisfactorily fulfilling the all fitness indices. Thirdly and the last,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and related power value on each path toward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burn-out and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study presented a number of discussions of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on the related supporting policie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