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심성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 쉴러의 관점

        심장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4

        Since Plato and Aristotle, two different perspectives have been suggested regarding how human can be morally educated: formation of habit and development of moral thinking. The difference of view about moral education is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on how morality is defined. Hence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can be answered by explaining the morality itself which has been the aim of diverse types of mo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paradox of moral education’, R. S. Peters indicates that the two perspectives of view about morality which are the basis of two moral educations are two aspects of morality, but he does not focus attention on the matter of what the morality itself is. Investigating the matter of Ideal of humanity in Aesthetic Education, Schiller finds that the Ideal of humanity indicates a harmonious state of sense and reason that are considered as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nature. And he suggests ‘aesthetic education’ as a way of realizing the harmony. The discussion in his book shows that the harmonious mind as ‘aesthetic state’ is the criteria as well as the source of the morality. In this regard, ‘aesthetic education’ that realizes the ‘aesthetic state’ of mind can be considered a moral education proper.

      • KCI등재

        덕 윤리학에서의 덕 개념과 교육

        심장후 ( Jang Hoo Sim ),노철현(교수) ( Cheol Hyeon Roh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48

        이 글의 목적은 현대 윤리학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덕 윤리학의 주장을 덕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그것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대체로 알려져 있듯이, 근대 이후 윤리학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칸트주의나 공리주의는 윤리학적 관심이 행위에 대한 정당화나 의무, 책임 문제에 한정되었으며, 그리하여 행위 수행의 당사자를 윤리학적 관심에서 배제시켰다. 덕 윤리학은 행위 자체가 아닌 행위자를 윤리학적 관심의 전면에 부각시키면서 종래 윤리학이 지닌 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한편으로, 덕을 ‘칭찬할 만한 인격 성향’으로 규정하고 있는 감성주의적 덕론에서는 종래 윤리학이 타인 배려 경향이 강한 인격성향만을 도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고 비판하면서, 자기 배려 경향의 인격 성향 또한 덕으로 간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감성주의적 덕론은 덕의 본질을 ‘직관’ 또는 ‘상식’에 의존하여 설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윤리학의 임의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난점을 지닌다. 맥킨타이어의 서사적 덕론은 덕의 본질을 역사적, 사회적 고찰을 바탕으로 규명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르면, 덕은 한 개인이 구체적인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살아갈때 드러나는 인격적 특성을 가리킨다. 덕은 사회적 전통이나 실천과 유리된 것이 아니며, 그 속에서 개인이 어떻게 살아가는가 하는 것과 불가분으로 연결되어 있다. 교육이 전통 또는 실천에로의 입문으로 규정될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서사적 덕론은 중요한 교육적 시사를 제공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guments of virtue ethics based on the concepts of virtue and their educational meanings. As is generally known, Kantian ethics and Utilitarianism that was representative of ethics since the Modern Age limited their ethical concerns to the act itself and excluded the agent from their concerns. So called virtue ethics accentuates the agent in ethics and tries to find solution to modern ethics``s problems. First of all, ethical sentimentalists who define virtues by ``admirable character traits`` treat not only ``other-regard traits`` but also ``self-regard traits`` as moral thing. However, they explain the nature of virtue by ``intuition`` or ``common sense``, and doesn``t find solution to objectivity of ethics. It seems that A. MacIntyre``s narrative concept of virtue tries to solve that problem by historical, 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virtue. He defines virtue by character traits which we have or can have when we live through playing a specific role in the particular society. Virtues don``t isolated from social traditions or practices and are closely connected with our living. Considering that education means pupil``s initiation into social traditions or practices, his concept of virtue is full of suggestions for education.

      • KCI등재

        플라톤 무시케 교육의 재고찰

        심장후(Jang-Hoo S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2

        플라톤 「국가론」에서 예술교육에 관한 논의는 주로 제 2권과 3권, 그리고 제 10권에서 다루어진다. 플라톤은 제 2권과 3권에서 무시케 교육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예술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반면, 제 10권에서는 예술의 본질에 관한 논의를 통하여 예술교육의 한계를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국가론」의 두 부분에 나타난 예술교육에 대한 관점 차이에 의하여 이른바 ‘불일치 문제’가 부각된다. 테이트(J. Tate)는 이 문제를 사물의 ‘형상’을 대상으로 하는 ‘좋은 모방’과 사물의 ‘외양’만을 대상으로 하는 ‘나쁜 모방’의 구분에 입각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의 해석은 플라톤의 실재론에 비추어 난점을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형상’은 초월적인 것이며, 이 점에서 좋은 모방은 현실의 예술가가 아니라, 그 자신도 초월적 존재라고 보아야 하는 철인 군주만이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상국가에서의 철인 군주의 지위가 현실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지위에 상응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제 10권의 논의는 교육의 이상적 지향점을 선명하게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러한 해석이 타당한 것이라면, 예술교육에 관한 논의를 다루는 각 부분들 사이의 불일치 문제는 애초에 성립하지 않는 가짜 문제일 뿐이며, 플라톤은 「국가론」에서 예술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적극 옹호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Discussions on art education in Plato’s Republic are dealt with mainly in the second book, third book, and tenth book. Plato argues necessity of art education by discussing the Musikē education in the second and third book, whereas reveals the disadvantage by debating on nature of art in the tenth book.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in two parts of Republic brings up the problem so-called ‘discordance’. J. Tate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good imitation’ which means activity imitating the ‘form’ and the ‘bad imitation’ which means activity imitating merely the ‘appearance’ of objects. His interpretation, however, is hard to be acceptable in the Plato’s viewpoint of realism. The ‘form’ is transcendental, so ‘good imitation’ is works not of artists who is living in real world but of philosopher king who is transcendental in himself. Considering status of teacher on education corresponds with status of philosopher king in ideal state, the discussions in tenth book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aiming at suggesting clearly the ideal point of educational activity. If this interpretation were valid, the problem originated in the discordance is only pseudo-problem, and we can conclude that Plato advocates completely the potentiality and necessity of art education in Republic.

      • 타액선 종양에 관한 임상적 고찰

        유장렬,심장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3 충남의대잡지 Vol.20 No.2

        We analyzed retrospectively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tumors who had admitte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7 to September, 1993. Our data obtained from 60 available subject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site of origin was the parotid gland(53%), and the most common histologic type of salivary gland tumors was pleomorphic adenoma(54%). The average incidence of malignancy was 20% in the parotid gland, 40% in submandibular gland and 58% in minor salivary gland. The most common histologic type of malignant tumors was mucoepidermoid carcinoma in the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and adenoid cystic carcinoma in minor salivary gland. The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rate in malignant tumors was 35% and distant metastasis rate was 15%.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