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수근 회화에서 일상적 재현에 관한 연구

        심인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박수근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자신만의 독자적인 회화영역을 구축한 탁월한 예술가였다. 어떠한 미술교육도 받지 못했지만 그는 어느 누구 보다도 한국적인 정서를 잘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우리나라에 서양화가 도입된지 약 80여 년이 되었다. 도입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그 중 가장 커다란 문제점은 식민지 상황 아래에서의 문화적 활동의 제약이었다. 이는 서양화라는 표현양식을 서구로부터 직접, 간접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일본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데서 비롯된 불가피한 결과였다. 이로 인해 국내의 많은 화가들은 그것에 대한 충분한 경험 없이 피상적으로 스타일만 모방하는 경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1930년대는 우리나라에서 서양화가 정착되고 나름대로의 진로를 모색하는 시기였다. 바로 이시기에 박수근은 조선미술전람회(朝鮮美術展覽會)을 통해 그의 작품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는 그가 독학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기 때문에 선전과 같은 공모전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서양화단에서는 몇몇 사조가 유행하고 있었는데 박수근은 이중에서 인상파적인 영향을 다소 받은 듯 하다. 그러나 비록 그가 형식과 재료적인 측면에서는 서구적인 영향을 받았다고는 하더라도 작품의 소재나 내용, 특히 색채나 기법면에서는 오히려 한국의 미적 전통을 독자적으로 잇고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박한 우리 이웃의 일상적인 모습을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여 서정적으로 표현하였다는 점과 박수근 회화에 흐르고 있는 서정성이 한국의 미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흔히 한국의 미적 정체성을 '자연의 미', '무기교의 기교', '곡선의 미'등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이런 기존의 형식적 개괄적 논의 외에 한국인의 정서가 용해되어 있고 삶 자체에 밀착되어 있는 미의 내용적 측면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서민들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 형성된다. 이런 서민들의 일상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는 조선 후기 풍속화를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또한 이런 노력은 놀랍게도 박수근의 회화 속에서 찾아낼 수 있다. 그의 회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동네여인, 노인, 아이들이다, 사람뿐만이 아니라 회화에 등장하는 모든 것이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평범한 것들이다. 이것은 그가 문인 취미의 화려한 귀족문화 보다는 서민의 일상성을 그의 회화에 적용했음을 의미한다. 또, 박수근 회화의 두드러진 특징인 평면화법은 고구려 고분벽화의 평면성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 산천의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화강암의 재질감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주된 색조로는 서민들의 일상적인 고달픔을 잘 나타내 주는 회색조와 한국인의 소박하고 담담한 농촌풍경을 잘 나타내 주는 갈색조의 색을 주로 사용하였다. 한국예술은 외래사조, 특히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그러한 외래사조의 유입을 일방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발전시키려 했다. 이러한 경향은 조선후기의 실경산수나 풍속화가 우리의 자연을 직접 주된 소재로 채택함으로써 독자적인 회화 양식을 개척한 것으로 작가로 하여금 자연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대신 '있는 그대로' 단순하게 표현하도록 이끌었다. 박수근의 경우 또한 외래 사조의 무비판적 수용속에서도 비록 서구적 표현 양식을 빌리기는 했지만 그가 담고자했던 작품의 주제 의식은 언제나 우리의 전통적 미의 구현이었다. 박수근은 많은 작품 속에서 전통적이며 향토적인 분위기를 표현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서정성을 있는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민족성이 담긴 창조적 예술세계를 만들어 냈다고 할 수 있다. Park Su-keun was the great artist who constructed his own realm of painting almost by hisself. Without any school education, he has been considered to command the Korean-originated color better than anyone else. It is about 80 years since Western painting was introduced to Korea. There were many troubles with the acceptance and assimilation of Western painting style. Of that troubles, the most serious is the colonial restrictions. It caused the undesirable condition that Western painting style was accepted involuntarily and indirectly by way of Japan. This condition led most artists to imitate the new style superficially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 of it. I'm 1930's the Western painting style began to settle and grow up in Korean painting. At this time Park Soo-keun made his devout through so called ' Jo- Jeon'- Josun Art Exibition. Because he started painting by himself without any regular schooling, such open public contest as Jo-Jeon might be the only way he could be appreciated. He may have been affected by the West in terms of form and instrument. But, in terms of internal spirit and content, including color and matiere, he rather followed Korean aesthetic tradition. So this treatise was b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Soo-keun Park and Korean traditonal beauty. It is often called that the Identity of Korean aesthestic beauty should be found in its emphasis on Beauty of Nature Artificialism of Non-artifice and Beauty of Curved Lines. These features are deeply concerned with Korean nature. Park Soo-keun applied these features representing Korean nature into his work and developed them in his own way. The character who appeared in his paintings were those who we could always see and were extremely common for example household wives old men and playing boys. It was not only characters that were common and ordinary in his paintings. There was no special thing in his works. This means that he tried to exclude the brilliant aristocratic culture and draw common life around us directly to the art without any decorations. The color that he used were mostly simple and non-primary colors. Personally he did not like showy and brilliant colors. He would mostly use dark gray or brown tone. Textures that appeared on his works gives tough, bumpy and coarse feelings. This texture reminds us of the texture of ancient Koguryeo tomb sculpture of that granite stones which are seen almost everywhere in Korea. Park Su-keun was the artist who made the creative art world which involved the character of people through his works represented Korean traditional and folkish atmosphere.

      • 1905-1912년 경남서부지역 사립학교의 설립과 운영

        심인경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1905 the modern schools in Korea had been rapidly expanded. There were efforts of political groups to bring out the expansions, but above all, efforts and sacrifices of the local residents formed its basis. However, since the schools which were established at that time could not get enough government subsidies, they had a lot of difficulties in its management and came to get merged with other schools. In the 1920s, as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ither authorized or supported them, the public modern schools could be expanded throughout the nation. There were four main tendencies at the school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in West Gyeong-Nam Province; the government initiative in Nam-Hae, the funding among the individuals and county family in Ha-Dong,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Ham-Yang, the abandonment of the school founding due to the people's oppsition in San-Cheong. All these four tendencies emerged in Jinju. Since 1905 the school establishments broadly went on at the regional level. Because the school founding was a legal countermeasure to the japanese supervision department's(Tong-Gam-Bu) nationalization policy regarding local public asset. The founders of the schools had various tendencies, for example, the National Salvation Movement, the Enlightment Movement, the Japanophile acitivities, a means of asset investment. Nevertheless they all advocated the social enlightment through education. During the process of the school establishments, a great deal of conflicts occurred. It was caused by some antagonisms as to new generation and old genration, the japanese-friendly and the anti-japanese and collisions among the county families. The Japanese Empire ignored and oppresed the schools which were established, managed and sustained by the local residents' efforts by the 1910s, began to authorize those private schools as public school and expanded the public education from the 1920s. Although we can find the local residents' effort about the school establishment and sustainment at the case of the Ham-Yang Elementary School, in most regions people's efforts about the school establishment had been very scarcely recorded. This dissertation reviews the reginal conflicts around the school establishments, the charcateristcs of its founders an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modern schools. 조선에서 근대학교는 1905년 이후에 급격히 확대되었다. 이러한 확장에는 각 정치세력의 노력도 있었으나 교육을 위한 지역주민의 노력과 희생이 그 밑거름이 되었다. 그러나 이때 설립된 학교들은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여 운영에 많은 어려움들이 있었고 통폐합되었다. 1920년대에 일본은 이 학교들을 인정하거나 지원하여 전국적으로 공립학교를 확대시킬 수 있었다. 경남 서부지역에서 학교 설립과 운영은 방식은 관 주도형의 남해, 개인 및 가문의 기부금이 중심이된 하동, 군 주민 전체가 참여한 함양, 주민의 반대로 학교설립이 어려웠던 산청, 이 네가지 경향이 모두 나타나는 진주 등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조선에서 학교의 설립은 1905년 이후 각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이것은 통감부의 지역 공유재산에 대한 국가 귀속 정책에 대한 합법적인 대응 방법이 학교설립이었기 때문이다. 학교설립자들의 성향은 구국운동, 계몽운동, 친일활동, 재산의 유지나 증식을 목적으로 한 경우로 나눠 볼 수 있으며 이들 모두 공식적으로 사회 계몽을 표방하였다. 학교의 설립과정에서 많은 분쟁들이 발생하였으며 이 분쟁들은 신식과 구식, 친일과 반일, 토착 가문들간의 충돌 등이 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일제는 1910년대까지 이러한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립, 운영, 유지되어온 학교들을 외면하거나 억압하였으며 1920년에 이르러 이 사립학교들을 공립학교로 인정하며 공교육을 확장하였다. 학교설립과 유지를 위한 주민들의 노력은 함양초등학교의 사례에서 볼 수 있으나 대다수의 지역에서 이와 관련된 주민들의 자발적인 노력들 중에 기록된 것은 극히 일부이다. 이 글은 학교 설립을 둘러싼 지역 내의 갈등, 학교의 설립주체의 성격 및 근대학교의 설립과정을 살펴보았다.

      • Nano-based polymeric biomaterials for tissue regenerative therapy : 조직재생치료를 위한 나노기반 고분자 생체재료

        심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issue engineering approach for functional tissue repair involves 3-dimensional scaffolds that provide the structural bases to adhered cells and synthesized matrix molecules. Ideally, a scaffolding candidate should mimic the structure and biological function of native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which provide mechanical support and regulate cellular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biocompatibility, biostability and effective regeneraion of 3-D scaffold was composition of synthetic and natural polymers and nanotechnology, respectively. The surface and bulky properties of the modified scaffold were characterized and their interactions and efficient at tissue r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e synergistic effect of nano-architecture and biomimetic materials on tissue regeneration was further studied.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developed scaffold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se studies.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First, a homogeneous composite fibrous scaffold of synthetic and natural polymers was developed to improve phys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Second, fabrication of the nanofibrous fabrics with chitosan was investigated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Third, the nanofibers were applied to three-dimensional applications. Forth, the effect of nanofibers on 2-D and 3-D matrices of chondrocytes were evaluated. Fifth, analog of natural ECM were achieved by collagen/PLLA nanofibers and chitosan microfibers scaffolds. The research presented in this dissertation is very significant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observations: 1) In order to improve the biocompatibility of scaffold, 3-dimensional fibrous scaffold with homogeneous composition of chitosan and PLLA was accomplished by wet spinning using co-solvent. The novel porous fibrous chitosan/PLGA hybrid matric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ynthetic and natual based scaffolds for tissue regeneration. 2) Chitosan membranes with continuous nanofibers were prepared by electrospinning for effective guided tissue regeneration as the barrier membranes. By regulating dielectric constant of HFIP/MC, chitosan can be dissolved and electrostatic spinning. Because of the inherently high aspect ratio and specific surface area, electrospun nanofibers are potentially useful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3) 3-D nano- and micro- composite fibrous scaffold were prepared as biomimetic exogenous artificial matrix by combined two techniques of highly porous microfibrous matrix and nanofibrous network architecture which the micro fibrous matrix served as a skeleton reinforcing the composite scaffold and the chitosan nanofibrous network facilitated cell seeding, cell distribution, and tissue formation. Chondrocytes response to nano-based architecture and in vivo applications of these scaffolds need further investigations. 4) To study the impact of nano topographical signals on chondrocytes behavi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On dense nanofibrous surfaces, cells migrated onto and preferentially attached to, and maintained spherical morphology, Rarely F-actin rearrangement and evidently type II collagen expression which means phenotype maintenance of chondrocytes. 5) The 3-D fibrillar network structure of collagen/PLLA provided mechanical and physical support and biological functions. In vitro chondrocytes culture suggests that cells in collagen/PLLA nano composites matrix preferentially attached and formed newly cartilaginous matrix. The cells in the nanofibers formed aggregated and were connect to each other. Also by adjusting the density of nanofiber sheets and thickness of microfiber sheets, physical stability and cytocompatibility were controlled. With the ability to control nano- and micro- architecture and composition, Synthetic analogues of natural extracellular matrices combine the advantages of architecture of the natural extracellular matrices and synthetic biodegradable polymers have the great potential to be tailored into ideal scaffold for tissue re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ies suggest the feasibility of nano-based polymeric biomaterials for tissue regenerative therapy. 조직재생기술을 이용하여 치료 수복된 새로운 조직이 정상적인 형태와 기능을 갖도록 하기위하여 삼차원 지지체와 세포를 이용한 조직공학 기술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삼차원 지지체는 부착세포와 새로 재생된 생체 조직의 구조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상적인 지지체는 생체 세포외기질의 구조적, 생리학적 모방체이며 이는 재생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생리활성을 부여하여 조직재생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료, 형태의 복합 기술과 나노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생체모방형 삼차원 지지체를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과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재생능 확대를 위한 최적의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생체재료의 표면 성질 및 물성과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나노 형태와 생체모방구조에 의한 조직재생능의 시너지 효과를 확립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삼차원지지체를 제조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크게 다섯개로 대분류 될 수 있다. 1) 혼합 공통용매를 이용하여 용액 방사법으로 균일한 키토산과 PLGA 혼합 섬유를 제조하여 지지체의 생체적합성 및 물성을 증진하였다. 이를 이용한 삼차원 섬유형 지지체는 조직재생능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안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는 천연고분자와 합성고분자의 균일한 혼합방법과 섬유형 지지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및 이용에 관한 starting point 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2) 두번째로는 조직재생유도술을 위한 키토산 나노 섬유를 전기방사법으로 제조하였다. 두 유기용매 hexafluoroisopropanol 과 methylene chloride의 극성과 휘발성을 조절하여 키토산의 용해 및 방사가 가능하였다. 높은 표면적과 공극률을 갖으며 세포 부착 표면에 삼차원 구조를 제공하여 세포의 부착 증식이 뛰어나며 조직 친화력이 뛰어난 지지체를 제공하였다. 3) 나노섬유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체가 갖는 공극 크기 조절의의 한계와 삼차원 구조를 형성하기엔 미약한 강도를 마이크로 섬유의 혼합으로 보강하여 물리적 안정성을 갖는 삼차원 구조지지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미리 제조된 마이크로 섬유위에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여 두층의 지지체를 제조하였으며 이 지지체를 적층하거나 마는 형태로서 적정 두께와 높이를 갖는 지지체가 형성되었다. 이 지지체는 세포가 내부까지 이동하여 자라기에 충분한 공극을 갖고있으며 나노 섬유로인하여 부착, 증식이 확연히 증가되어 뛰어난 조직재생능을 갖고있음이 확인 되었다. 또한 나노섬유로 인한 세포의 부착, 증식, 분화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여 나노표면이 조직 재생에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4) 생체모방구조를 재현하기 위하여 콜라겐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콜라겐에 의한 구조적 불안정과 가교과정의 세포독성을 해결하여 결정성을 갖는 합성고분자인 PLLA를 혼한 방사하여 나노섬유로 제조 이용하였으며, 콜라겐에 의한 세포활성 비교 및 물성 평가를 통하여 콜라겐 혼합 나노섬유의 적정 비율 및 안정적 형태를 확립하였다. 5) 조직 재생을 위한 생체모방 삼차구조를 갖는 콜라겐-PLLA 나노 섬유와 키토산 마이크로 섬유의 혼합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대부분의 세포가 초기에 나노섬유에 부착 집합되어 자라며 서로 영향을 주어 마이크로 섬유로 이동 여러겹의 구형을 유지하며 증식되어 일정기간후에는 연골 조직을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때 나노섬유의 밀도, 거리등이 조직 재생능에 영향을 주는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PLLA 나노섬유를 혼합한 지지체에서 가장 높은 효율의 조직 재생능을 확인 할 수있었으며 이는 나노 구조 및 생체모방 구성성분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삼차원지지체는 조직 재생을 위한 맞춤형 지지체로 응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조직 재생능 향상을 위한 나노구조를 기반으로 한 생체모방형 지지체의 새로운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 이의 응용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나노 생체재료의 물성, 조직친화력, 재생능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최적의 조건 확립 및 기능을 평가 하였으며 더불어 나노구조와 세포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메카니즘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노구조의 메카니즘 연구를 통하여 생리활성 고분자를 이용한 나노 생체재료는 뼈나 연골 조직재생 치료 효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현재 나노를 기반으로한 생체재료의 연구가 대부분 이차원 표면 처리에 머물러 있는 점에서 본 연구는 나노 섬유를 마이크로 섬유와 복합체를 제조하여 삼차원 지지체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조직 재생능 평가 연구를 통하여 본 고분자 생체재료가 조직공학용 재료로서 뛰어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Stochastic analysis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as climate change adaptation facility

        심인경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빗물이용시설 (Rainwater Harvesting System, RHS)은 도시 물 공급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저 영향 개발 기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확률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RHS의 물 공급을 위한 신뢰도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한 강우유출수 처리 효율을 정량화하기 위한 확률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aster Key Fokker-Planck 방정식 (Master Key Fokker-Planck Equation, MKFPE)을 사용하여 추계론적 상미분 방정식으로 구성된 지배방정식은 시설에 존재하는 물의 비율에 따른 확률밀도함수 (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 PDF)를 상태변수로 하는 결정론적 편미분 방정식으로 변환된다. 이를 통해 RHS의 다양한 성능을 분석하며, 매개변수에 따른 물 공급 신뢰도와 강우유출수 처리비 산정을 위한 공식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모형과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의 물 공급 신뢰도와 RHS가 기후변화의 악영향을 상쇄시켜 미래 강우유출수가 어느 정도 처리되는지를 시설의 제원과 강우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RHS의 성능평가, 최적 설계 및 기후변화 영향 분석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