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언론보도로 인한 초상권 침해에 대한 영상취재기자들의 인식 연구

        심미선 언론중재위원회 2022 미디어와 인격권 Vol.8 No.3

        본 연구는 방송사의 영상취재기자들이 언론보도로 인한 초상권 침해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초상권 침해와 관련된 사안을 얼마나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에 사용할 초상권 침해 사례들은 한국영상기자협회에서 발간한 <영상보도가이드라인>을 참고했다. <영상보도가이드라인>에 담긴 초상권 침해관련 사례들은 23개로 이를 유형별로 보면 ‘공개된 장소에서의 초상권 침해’, ‘집회 및 행사 장소에서의 초상권 침해’, ‘일반인의 초상권 침해’, ‘범죄자 및 유명인의 초상권 침해’, ‘재난 및 사고현장에서의 초상권 침해’ 등이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영상취재기자들은 초상권 침해보다는 언론표현의 자유 및 국민의 알권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 영상취재기자들은 초상권 침해관련 23개 사례 중에서 12-13 사례만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 초상권 침해에 대한 인식수준은 낮았다. 둘째, 초상권 침해 유형별 인지 수준을 살펴보면, 인지수준이 가장 높은 유형은 ‘재난 및 사고현장에서의 초상권 침해’, ‘공개된 장소에서의 초상권 침해’ 순이다. 반대로 인지수준이 가장 낮은 유형은 ‘일반인의 초상권 침해’, ‘범죄자 및 유명인의 초상권 침해’로 나타났다. 셋째, 영상취재기자 활동기간에 따라서도 초상권 침해 인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취재활동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10년 미만 기자들이 초상권 침해규정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었다. 넷째, 영상취재기자들은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어 편집상의 기술적 조치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인지하는데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반대로 초상권 침해가 명확한 사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떨어졌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영상취재기자들의 초상권 침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자아존중감과 미디어 이용간의 관계 연구

        심미선 언론중재위원회 2019 미디어와 인격권 Vol.5 No.2

        As new media increases, audiences are segmented and polarized. Therefor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alone cannot explain various media usage patterns, as other variables such as lifestyl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have also emerged as useful concepts. This study explored how self-esteem—the degree of belief in one’s own importance, value, and effect on their own life—is an individual variable related to television and other internet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al variables and self-esteem, it was observed that younger people and those living in large cities or small towns have higher self-esteem than those in Seoul or the capital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dia use showed that low self-esteem groups enjoy watching entertainment genres such as comedy, while high self-esteem groups enjoyed watching movies, sports, and information. For Internet activities, low self-esteem is correlated with high online participation and knowledge production in internet clubs/cafés, Internet bulletin boards/discussions,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NS). Particularly, age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influence these activities the most. 새로운 미디어의 증가로 수용자의 세분화 분극화가 심화되면서 인구사회학적 변인만으로는 다양한 미디어 이용패턴을 설명하기 어려워졌다. 인구사회학적 변인 외에 미디어 이용행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개념으로등장한 것이 라이프스타일, 자아효능감, 자아존중감 같은 개인차 변인이다. 이 연구는 개인차 변인으로써 자아존중감이 텔레비전을 비롯한 인터넷 이용행위와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탐색해 보았다.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이 중요하고 가치 있다고 믿는 정도로서 개인의 삶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기존의 연구결과이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2015년에실시된 미디어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보면, 나이가 어릴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나왔고, 또 서울/수도권보다는 지역 대도시나 지역 소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자아존중감이 더 높게 나왔다. 다음 자아존중감과 미디어 이용간의 관계를 보면, 우선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이 ‘코미디’, ‘쇼/오락’, ‘토크쇼’ 등의 오락 장르를 즐겨 시청하는 것으로 나왔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은 ‘영화’, ‘스포츠’, ‘인포테인먼트’ 장르를 즐겨 시청했다. 인터넷활동과 관련해서는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인터넷동호회/카페/클럽, 인터넷게시판/토론, 온라인 참여, 온라인 지식생산, SNS 활동을 더 활발하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런 인터넷 활동에는 연령과 자아존중감이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방송수용자의 프로그램 품질에 대한 이해와 평가 초점집단토론(FGD)을 이용한 프로그램 품질평가 차원의 재구성

        심미선,이준웅,김은미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2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audience members understand and evaluate the constructs of television program quality. Based on a critical overview of previous studies on program quality, this study raises two research questions: (1) What dimensions do the audience use to evaluate the program quality? (2) How do the audience evaluate the items used in measuring the program quality in Korea? Focus Group Discussio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qualitative dimensions of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television programs. Two major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wo dimension of quality evaluation were detected in the audience’s discourse on television programs: the cognitive-and-affective response dimension and the importance-and-expression evaluation dimension. Second, when asked in a normal setting, the audience members were not likely to discriminate the major constructs among the quality indices used in evaluation of television program quality. Especially the audience members displayed confusions in discriminating the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elements from the overall quality and the public service element.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utility of the dimensions of program quality in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a program quality ind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