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장교육의 새로운 틀을 만들어가는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이태수 원장

        심명주,Sim, Myeong-Ju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5 Social workers Vol.1 No.-

        사회복지 교육은 현장교육과 대학교육 두 가지를 말할 수 있다. 현재 대학교육에 비해 현장교육은 거의 방치상태에 있는 것이 사실인데, 이러한 상황에서 현장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틀을 만들고자 발 벗고 나선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이태수 교수. 지난 11월 1일 개원한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원장이기도 한 이교수는 또 한번의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현장교육의 장(국립사회복지연수원)에서 대학교육의 장(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으로, 그리고 그 양쪽의 경험을 가지고 다시 현장교육의 산실(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로 돌아와 사회복지 현장에서 가장 절실한 현장교육의 새로운 틀을 만드는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해 보게다는 이태수 원장을 만나보았다.

      • KCI우수등재

        서유구(徐有榘)의 향촌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구상

        심명주 한국조경학회 2022 韓國造景學會誌 Vol.50 No.2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Seo Yu-gu’s concept of rural home landscaping by reviewing the contents in Wonrim․ Ganso in Hyungbipochi. The origin of his concept of rural residential landscaping reflects the Joseon Fengshui perspective following Bokgeo Sayo. Keeping in mind the requirements for living environment based on the Joseon Fengshui perspective, Seo Yu-gu interpreted Jiangjiuyuanji and introduced the components of ideal living that he had obtained from it in ways applicable and suitable to rural homes in Joseon. Jiangjiuyuanji, which contains the natural elements such as mountains, water, fields, and trees, could have been well received by Joseon scholars. As Seo Yu-gu explained in Sangtaekji, it had all the components of Nakto. In sum, constructing the hedges with three layers to promote the safety of rural residents and protect the food sources, utilising water sources for rural homes in various ways, and creating a beautiful courtyard Seokgasan and ponds were Seo Yu-gu’s ways of reproducing the requirements for Nakto described in Jiangjiuyuanji such as a safe living environment surrounded by mountains resembling a lotus flower castle, a plentiful water source, and a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Bokgeo Sayo’. In other words, through the content of his writing Wonrim․Ganso, he was articulating his thoughts on how to realise the ideal living conditions described in Jiangjiuyuanji in ways applicable to rural homes in Joseon. In the extended context of Imwon gyeongje ji, such deliberation of Seo Yu-gu shows a glimpse of the goals and practices he pursued through it. The content of Wonrim․Ganso in Hyungbipochi truly manifests Seo Yu-gu’s approach to and understanding of Chinese literature. Moreover, his suggestions for application in rural Joseon villages verify the orientation and practical goals of Imwon gyeongje ji as he stated in the preface that ‘the book was written specially for Joseon’. 이 논문은『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제14지『이운지(怡雲志)』의 1권「형비포치(衡泌鋪置)」에 수록된 향촌의 주거 환경 조성에 관한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 구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임원경제’ 기획 실천을 위한 토대인 향촌의 주거 공간은 서유구가『임원경제지』를 통해 지향한 바를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서, 본고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원림․간소(園林․澗沼)> 는「형비포치」를 구성하는 네 부분 중 두 번째 주거환경 및 조경을 과 관련된 내용이다. 서유구는 <원림․간소(園林․澗沼)> 를 통해 당시 문인들 사이에 이상적 정원에 대한 영감을 준 정도로 이해되었던 명말 유민 황주성의「장취원기」를 조선적 풍수관에 입각해 해독하고, 장취원의 내용으로부터 배운 이상적 주거 환경 조건을 조선의 향촌 주거에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고에서 고찰한 서유구의 중국 문헌에 대한 접근 방식과 이를 통해 배운 내용을 조선에 적용하는 태도는『임원경제지』<예언(例言)>에서 천명한 ‘조선만을 위한 내용을 채록한다’라는『임원경제지』 저술의 목표를 보여주는 일례이자 서유구의 지향을 알아 볼 수 있는 중요성을 띠고 있다.

      • KCI등재후보

        고령 환자에서의 양성 돌발성 두위현훈의 임상적 특징

        심명주,정종우,임현우,강우석 대한평형의학회 201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10 No.4

        Background and Objectives: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is one of the most common peripheral vestibular disorders. It constitutes the most common vestibular disorder in the elderly with vertigo. Purpose of this study to asses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 of BPPV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80 patients above age 60 who were treated for BPPV. Collated data of the elderly BPPV patients in terms of involved canals, number of canalith repositioning procedures and their underlying disease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data of national health report in 2008that represented the general population. Results: Number of BPPV patients was increased along with age. Three hundred and eighty patients (44.9%) of 847 BPPV patients were over 60. Most commonly involved canal was posterior semicircular canal. Lateral semicircular canal was involved much more frequently (46.8%)compared with previous reports. Along the age, involvement of lateral semicircular canal, frequency of multiple canal involvement and cupulolithiasis increased. In patients older than 60, treatment response was worse than younger ages. More canalith reposition procedures were needed in the elderly than younger patients with BPPV. Between patients with BPPV and normal population, no difference was found in prevalence of co‐morbities, such as diabetes, cerebrovascular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other otologic disease, and psychiatric disease. Conclusion: We suggest that more careful diagnosis and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in BPPV of old age due to its complicated natures and lower treatment response.

      • KCI등재

        조선후기 새로운 생활 신앙 염원의 단면(斷面) —유⋅불⋅도 관련 민화를 중심으로—

        심명주,김취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This paper explores the aspiration of new life religion form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religious folk paintings (Minhua, 民畵). Several religious folk paintings, which are estimated to be producedin the mid of late 19th century, show combination of various religions contents like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s a starting point of that kinds religious folk paintings, this paper focused on the Xing Ming Gui Zhi (性命圭旨), is a sacred book of Ming Dynasty on the Taoism which integrates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book not only includes the popular discipline of training Nai Dan (內丹), but the paintings in the book had been copied as folk paintings in the late Choson. In order to discussing the influences of the book on the civilian’s religious conception, this research also examined the blurred religious boundariesamong the people. At the same time, examination of several folk paintings which indicate the dismantling phenomenon of various religions, shows the changes in the religious consciousness. The transformed religious conception began in the Scholar official society, which had been deepened into the aspirations of life faith at the civilian level. It is thought that the aspiration became a basis for the birth of late Choson’s New religions like Donghak (동학) and Jeongsan Gyo (증산교) which have features of unification of three religions, the acceptance of modern thought, civil movement. 본고는 유불도의 내용을 함께 담은 민화를 단초로 조선후기 민간에서 발생한 새로운 생활 신앙의 염원을 살펴보았다. 19세기 중⋅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종교와 관련된 몇 점의 민화 작품은 다른 성격의 다양한 종교적 내용이 하나의 작품 속에 어우러져 있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종교적 융합 도상의 된 작품으로 본고에서는 조선 중기 유입된 도교 내단서인 『성명규지』에 주목해 보았다. 명대에 저술된 내단서인 『성명규지』는 유⋅불⋅도 합일의 내용을 담고 있을 뿐 아니라 저서에 수록된 삽화들이 민화로 제작되어 전해지고 있어, 유불도 삼교가 융합된 민화 제작에 영향을 주었을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성명규지』의 민간 신앙에 대한 영향을 고찰함에 있어 본고에서는 『성명규지』 삽화의 민화 제작의 배경으로 조선후기 사회 일각에서 나타난 종교적 경계의식 해체의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이와 함께, 본고는 유불도 습합 현상을 보여주는 이인문의 <유불선도>와 민화 <삼불제석도>, <비승도>, <만법통일도>를 대상으로 조선후기 종교적 경계 의식의 변화를 고찰해 보았다. 도상 고찰의 결과, 조선후기 사대부 계층에서 시작된 종교적 경계의식의 해체는 민간차원에서 생활 신앙의 염원으로 심화되고, 이러한 새로운 생활 신앙의 염원이 유불도 합일, 근대 사유의 수용, 민중 운동의 성격을 지닌 동학과 증산교 탄생의 토양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 아름다운 사람-인천서구보건소 김영란 사회복지사

        심명주,Sim, Myeong-Ju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5 Social workers Vol.4 No.-

        사회복지사의 새로운 영역 진출이 많은 관심사가 되고 있는 요즘, 사회복지사라는 이름으로 당당히 도전을 위해 새로운 시작을 한 아름다운 사람이 있다. 인천서구보건소에 근무하는 김영란 사회복지사, 그녀는 국내 최초로 보건소 내에 배치된 사회복지사이다. 방문보건사업팀의 한 일원인 그녀는 모든 것이 새롭고,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은 길을 가면서 자신의 자리를 만들어가고 있다. 사회복지사라는 것을 삶으로 경험하고 있는 그녀, 오늘도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김영란 사회복지사를 만나보았다.

      • KCI등재

        『이운지(怡雲志)』 「절신상락(節辰賞樂)」에 관한 소고(小考)

        심명주 ( Shim Myungjoo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1 한국문화연구 Vol.41 No.-

        「절신상락(節辰賞樂)」은 『임원경제지 이운지』 제8권 말미에 수록되어 있는 세시에 따른 풍속과 놀이에 관한 저술로서, 조선후기 세시풍속 및 놀이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과 함께 서유구(徐有榘, 1764~1845)만의 독특한 관점과 지향이 반영된 저술 특색을 보여준다.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중반사이에 조선의 세시풍속과 관련하여 체계를 갖춘 저술들이 다수 출현하는데, 『경도잡지』, 『열양세시기』, 『동국세시기』가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3대 세시기로 알려져 있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유구의 「절신상락」은 그간 『임원경제지』의 방대한 내용 속에 묻혀 본격적인 세시풍속기로 거의 주목받지 못한 측면이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절신상락」이 조선후기 3대 세시기에 비견할 만한 세시풍속 자료로 중요성을 갖는다는 점을 밝히기 위해 두 가지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첫번째로 「절신상락」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 서유구가 3대 세시기의 내용을 모두 포괄하며 일 년의 세시풍속을 독자적인 관점에서 재구성한 점과, 세시 풍속과 놀이를 향촌의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방안에 대해 고민한 측면을 살펴보기로 한다. 두 번째로 「절신상락」이 한양을 중심으로 한 기존 세시풍속서의 고증을 위주로 한 서술을 뛰어넘어, 향촌 공동체 구성원들의 소통과 화합을 위한 놀이문화와 일상생활 지침서로서 저술되었다는 점을 살펴 서유구가 지향하는 향촌 생활 공동체의 면모를 이해해 보도록 한다. This essay discusses seasonal customs manuals in 「Jeolsin-Sangnak(節辰賞樂)」. described in ‘Yiwunji (怡雲志)’ of ImwonGyeongjeji (林園經濟志). The writing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reflects his unique perspective and orient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hree Major Almanacs(Sesigi)- Gyeongdojapji(京都雜志), Yeolyang-sesigi(列陽歲時記), and Dongguk-sesigi (東國歲時記) was published. Seo Yu-gu's 『Jeolsin Sangnak』, presumed to have been written around the same time, but has been hidden in the vast content of 『Imwon Gyeokji』 so that it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s a full-fledged seasonal customs manual. This paper debates two major topics in order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Jeolsin-Sangnak as a seasonal customs manual comparable to the Three Major Almanacs(Sesigi). First,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Jeolsin Sangnak」, Seo Yu-gu not only covers all the contents of the Three Major Almanacs(Sesigi), but with his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 of seasonal customs considers seasonal manuals’s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rural life. Second, this paper will discuss the fact that 「Jeolshin-Sangnak」 was written as a guide book for communication and harmony among members of rural communities, also going beyond the narratives which focused on the historical evidence of Hanyang oriented seasonal customs. Therefore, this paper has developed existing discussions about seasonal customs manual to examin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s of Seo Yu-gu’s ideal rural living community.

      • KCI등재

        『이운지(怡雲志)』의 농업공간에 관한 고찰

        심명주 ( Shim Myungjoo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9 한국문화연구 Vol.36 No.-

        본고는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이운지(怡雲志)』 권1 「형비포치(衡泌鋪置)」에 수록된 ‘농업 공간’에 관한 연구이다. ‘은자가 살아가는 집의 배치’라는 의미를 지니는 「형비포치」에는 향촌 거주와 관련된 다양한 접근과 구상이 수록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내용 중 ‘농업 공간’에 국한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논의에 앞서 제2장에서는 향촌 농업생산 공간의 전제라 할 수 있는 입지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어 보았다. 서유구는 상택지에서 ‘복거사요’에 관해 언급하며 생업 활동이 가능하고 지리적, 사회적, 심미적 환경 조건이 구비된 곳을 ‘낙토’라 부르고 있는데, 낙토의 조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지리적 조건과 함께 생계를 위한 농업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이라 밝히고 있다. 제3장의 농업 공간에 관한 제안에서는, 먼저 서유구가 구상했던 농업공간의 특색과 상세한 내용 및 함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서유구는 이운지의 농업공간에 ‘사(社)’라는 명칭을 부여하며, 이들이 향촌의 ‘자치적 공동체’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이들 공간에는 『임원경제지』에 집적된 서유구의 지식과 이상이 반영되어 있음도 살필 수 있다. 논농사를 위한 공간인 행포사는 지식과 노동력의 협력을 도모하여 운영하는 향촌의 공동 농업을 위한 ‘농업관제 센터’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포정’의 경우 새로운 농법을 실험해 보는 공간으로 구상되었다. ‘전어사’는 향촌의 대규모 목축어업을 위한 단지의 구상이며, ‘경솔지사’는 양잠과 길쌈이 한 공간 안에서 모두 이루어질 수 있는 ‘통합 공간’을 구성하여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한 구상도 살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이운지의 공간에 대한 연구는 사대부의 심미적 취향을 반영한 공간 혹은 공간이 가진 공공성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까지 진행된 바 있다. 본고에서 다룬 농업 공간에 관한 고찰의 중요성은 서유구가 공간 속에서 반영하고자 한 농업 개선과 관련된 구상과 이러한 구상이 반영된 공간의 구체적인 내용과 의미를 살펴본 점에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discusses agricultural spaces as described by Seo Yu-gu. The agricultural spaces described in ‘Yiwunji (怡雲志)’ of ImwonGyeongjeji (林園經濟志), Treatises on Management of Rural Life, consist of four different kinds: The first is the Hangposa (杏蒲社) which is a space for rice farming; the second is Pojeong (圃亭) for dry-field farming; the third is Jeoneosa (佃漁社), the space for livestock farming and fisheries; and lastly, Chungyeongryo (春鶊寮) and Chusolwa (秋蟀窩) for sericulture and weaving. These four types of space all contain the academic ideals of Seo Yu-gu, accumulated in ImwonGyeongjeji.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can be learned from the analysis of the spaces is that he made an attempt to create an agricultural community; he organized an autonomous community of a village to devise a plan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form of combined knowledge and labour. Second, it illustrates Seo Yu-gu ’s thoughts on agricultural management. It seems that he also considered selling the products outside the village beyond self-sufficiency by creating an integrated production space for a large-scale livestock fishing complex and sericulture enterpris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Seo Yu-gu was trying to test his new farming methods in these spaces. In Pojeong, Seo Yu-gu suggests the use of two farming methods together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dry-field farming. It is thought that, in this way, he tried to experiment with many agricultural ideas he studied, as well as to reflect his ideal through the space of Hyungbipochi (衡泌鋪置). Until now, studies on the space of Hyungbipochi have been limited to discussions of space that reflect the personal taste of the nobility or the public nature of the space. Therefore, this paper has developed existing discussions to examin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spaces and identified that the contents of Seo Yu-gu’s ideal agri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