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흡입화상 치료과정에서 생긴 공동성 폐 병변

        신현원 ( Hyun Won Shin ),김철홍 ( Cheol Hong Kim ),엄광석 ( Kwang Seok Eom ),박용범 ( Yong Bum Park ),장승훈 ( Seung Hun Jang ),김동규 ( Dong Gyu Kim ),이명구 ( Myung Goo Lee ),현인규 ( In Gyu Hyun ),정기석 ( Ki Suck Jung ),이일성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0 No.5

        Toxic gases and soot deposition as a consequence of smoke inhalation can cause direct injury to the upper and lower airways and even to the lung parenchyma. A delay in proper and prompt therapy can be detrimental to critically ill burn patients with an inhalation injury. Therefore, serial chest radiography is an important diagnostic tool for pulmonary complications during treatment. The radiographic findings of the chest include normal, consolidation, interstitial and alveolar infiltrates, peribronchial thickening, atelectasis, cardiogenic and non-cardiogenic pulmonary edema, and a pneumothorax as acute complications of smoke inhalation. In addition, bronchiectasis, bronchiolitis obliterans and pulmonary fibrosis can occur as late complications. We encountered a case of 44-year-old male who presented with acute lung injury after an inhalation injury. He required endotracheal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due to respiratory failure. He was managed successfully with conservative treatment. Later, a cavitary lesion of the left upper lobe was observed on the chest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which was complicated by massive hemoptysis during the follow-up. However, the cavitary lesion disappeared spontaneously without any clinical consequences. (Tuberc Respir Dis 2006; 60: 564-570)

      • KCI등재

        갑상선 질환의 병력이 없는 건강검진 수진자에서 연령별 혈청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의 정상 범위 및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유병률

        장혜원 ( Hye Won Jang ),이지인 ( Ji In Lee ),신현원 ( Hyun Won Shin ),김선욱 ( Sun Wook Kim ),민용기 ( Yong-ki Min ),이명식 ( Myung-shik Lee ),이문규 ( Moon-kyu Lee ),김광원 ( Kwang-won Kim ),정재훈 ( Jae Hoon Chung ) 대한갑상선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Vol.2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The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and mean serum TSH are known to increase with aging. The large study on the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and the TSH distribution in Korean has been very rare.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in Korea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of the TSH distribution with aging might account for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with aging. Materials and Methods: We measured serum TSH, total T3 and T4 in 27,173 subjects for general medical examination in 2005 and all of them were free of thyroid disease. The distribution of TSH with aging was analyzed. Results: The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was 10.1% and it increased with aging. Subclinical hypothyroidism was more common in women than in men. Mean, median and 97.5 tile of serum TSH were 2.03 mIU/L, 2.08 mIU/L and 7.03 mIU/L respectively. They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aging. Conclusion: Higher prevalence of sublincial hypothyroidism in the elderly might result from the shift of TSH toward higher concentration with aging.

      • KCI등재후보

        비만도에 따른 Adiponectin, Leptin, Ghrelin과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위험인자의 상호 연관성

        김종엽 ( Jong Yeop Kim ),신현원 ( Hyun Won Shin ),정인경 ( In Kyung Jeong ),조성휘 ( Seong Whi Cho ),민선정 ( Seon Jeong Min ),이성진 ( Seong Jin Lee ),박철영 ( Cheol Young Park ),오기원 ( Ki Won Oh ),홍은경 ( Eun Gyoung Hong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6

        목적 : 최근 지방세포가 다양한 물질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의 하나로 간주되면서 이들의 생체내 기능과 역할을 규명하는 것은 비만 및 이와 관련된 대사 질환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 등은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의 변화를 체질량지수 또는 내장지방량 정도에 따라 관찰하고, 심혈관 위험인자 및 인슐린 저항성과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 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내과적 질환이 없는 남녀 86명(남:여=36:50, 나이 21~71세, 체질량지수:18.0~39.5 kg/㎡)을 대상으로 키,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를 측정하고 공복 혈액에서 포도당, 인슐린, 인슐린 저항성(HOMA-IR),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유리지방산,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을 측정하였으며, 체지방 분포는 4번째와 5번째 요추 부위를 CT로 촬영한 후 총복부지방,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남녀 각각 체질량지수(BMI)가 25 kg/㎡ 이상인 비만 유무에 따라, 그리고 복강지방 면적이 100 ㎡ 이상이거나 내장지방 대 피하지방의 비가 0.4 이상인 내장지방 주요군으로 나누어 HOMA-IR, 혈중 당대사 및 지질대사, 공복 혈액내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을 비교하고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1) 체질량지수 25 kg/㎡를 기준으로 한 비만군에서 남자의 경우에서는 허리둘레, 총복부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복강내 내장지방 면적, HDL-C, 유리지방산, hsCRP, 렙틴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의 경우에서는 허리둘레, 허리둘레 대 엉덩이 둘레의 비, 체지방률, 총복부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복강내 내장지방 면적, hsCRP, 렙틴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2) 복강내 지방 면적을 기준으로 한 내장지방 주요군에서 남자의 경우, 체질량지수로 나눈 비만군보다 나이, 중성지방, 아디포넥틴, 그렐린에서 추가적인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여자에서는 체질량지수로 나누었을때 보다 나이, 허리둘레 대 엉덩이 둘레의 비, 체지방률, 공복 혈당, 공복인슐린, 아디포넥틴에서 추가적인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3)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과 비만, 인슐린저항성, 심혈관 위험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렙틴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대 엉덩이 둘레비, 총복부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 LDL-C, 공복 인슐린, HOMA-IR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디포넥틴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대 엉덩이 둘레비, 총복부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 HOMA-IR과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HDL-C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렐린은 허리둘레 대 엉덩이둘레비, 내장지방면적, 공복혈당, HOMA-IR과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HDL-C와는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렙틴과 그렐린과는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방 분포에 따라 피하지방 면적은 렙틴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내방지방면적은 렙틴과는 양의 상관관계, 아디포넥틴 및 그렐린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남녀 모두에서 체질량지수 보다 복부내장지방면적을 기준으로 구분 하였을 때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 및 심혈관 위험인자가 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 간의 연관성에 있어서는 렙틴과 그렐린이 서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사람 혈액에서는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Background : Adiponectin, letin and ghrelin are considered to take part in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dipokines and body mass index (BMI), regional adiposity,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uman. Methods : Eighty six (Male : Female = 36 : 50, Age = 21-71 year old, BMI : 18 - 39.5 kg/㎡) subjects without known medical proble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grouped based on BMI or visceral fat area (VFA) and gender. We measured lipid concentration, fasting glucose, fasting insulin,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high sensitivity CRP (hsCRP). Body fat distribution was determined by computed tomography. Fasting serum adiponectin, leptin, and ghrelin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 The group of BMI over 25 k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aist circumference (WC), total fat area (TFA), subcutaneous fat area (SFA), VFA, Triglyceride (TG), hsCRP and leptin. Visceral fat dominant (VFD) group (VFA≥100 ㎠ or VFA/SFA≥0.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BMI, WC, TFA, SFA, free fatty acid, HOMA-IR, hsCRP, adiponectin, leptin and ghrelin. Lept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waist hip ratio (WHR), TFA, VFA, SFA,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HOMA-IR and fasting insulin. Adiponecti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I, WHR, TFA, VFA, HOMA-IR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Ghrelin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HR, VFA, fasting glucose, HOMA-IR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HDL-C. And lepti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ghrelin. As regional adiposity, SF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and VF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iponectin and ghrelin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VFA had mor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lipid metabolism & adipokine secretion than BMI and leptin levels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ghrelin level.(Korean J Med 69:631-641, 2005)

      • SCOPUSKCI등재

        흡입화상 환자에서의 폐기능검사 소견

        김종엽 ( Jong Yeop Kim ),김철홍 ( Cheol Hong Kim ),신현원 ( Hyun Won Shin ),채영제 ( Young Je Chae ),최철영 ( Chul Young Choi ),신태림 ( Tae Rim Shin ),박용범 ( Yong Bum Park ),이재영 ( Jae Young Lee ),반준우 ( Joon Woo Bah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0 No.6

        연구배경: 흡입화상은 폐렴, 호흡부전 등의 폐합병증으로 인해 이환율 및 사망률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기 흡입에 의한 기도 손상이 폐기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빈약한 실정이다. 흡입화상으로 인한 폐기능 검사소견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8월부터 2005년 8월까지 기관지내시경검사에 의해 흡입 폐 손상이 확인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급성기 및 회복기에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초기 폐기능 검사에서 FVC, FEV1, FEV25-75% 및 PEF의 정상 추정치는 흡입화상에 대한 내시경적 중증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사망환자, 연기 흡입으로 뇌손상을 입은 환자 및 선행 만성 호흡기질환자는 제외하였다. 결과: 화상체표면적이 0-18%의 범위에 있는 총 37명(남 28, 여 9)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원 당시의 PaO2/FiO2 비는 286.4±129.6 ㎜Hg, COHb은 7.8±6.6%였으며, 기관내 삽관은 9예(24.3%), 기계호흡은 3예(8.1%)에서 이루어졌다. 초기 방사선 소견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18예(48.6%) 중 15예(83.3%)는 정상화되었으나 3예(16.7%)는 잔흔을 남기고 치유되었다. 초기 폐기능 검사에서 19예(51.4%)가 정상 소견이었다. 폐쇄성 장애가 9예(24.3%) 있었으며 이 중 4예(44.4%)는 기관지 확장제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제한성 장애도 9예(24.3%) 관찰되었다. DLco를 시행한 23예 중 4예(17.4%)만이 감소된 소견을 보여 주었다. 추적 폐기능 검사에서 초기에 이상 폐기능 소견을 보인 대부분이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폐쇄성 및 제한성 장애가 각각 1예(2.7%)씩 관찰되었다. DLco는 전부 정상화 되었다. 결론: 흡입화상 이후 생존한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 호흡기 증상이 안정된 상태에서 시행한 초기 폐기능 검사상 정상, 폐쇄성 및 제한성 장애로 나타나 특이적인 환기장애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초기에 이상소견을 보여주었다 하더라도 추적검사에서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관지확장제 양성을 보이는 일부 환자는 기관지 확장제 치료를 적극적으로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changes in the pulmonary function observed in burn patients with an inhalation injury are probably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airway inflammation, chest wall and muscular abnormalities, and scar formation. In addition, it appears that prolonged ventilatory support and an episode of pneumonia contribute to the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inhalation injury at the early and late post-burn periods. Methods: From August 1, 2002, to August 30, 2005, surviving burn patients who had an inhalation injury were enrolled prospectively. An inhalation injury was identified by bronchoscopy within 48hours after admission. Spirometry was performed at the early phase during admission and the recovery phase after discharge, and the changes in the pulmonary function were compared. Results: 37 patients (M=28, F=9) with a total burn surface area (% TBSA), ranging from 0 to 18%, were included. The initial PaO2/FiO2ratio and COHb were 286.4±129.6㎜Hg and 7.8±6.6%. Nine cases (24.3%) underwent endotracheal intubation and 3 cases (8.1%) underwent mechanical ventilation. The initial X-ray findings revealed abnormalities in, 18 cases (48.6%) with 15 (83.3%) of these being completely resolved. However, 3 (16.7%) of these had residual sequela. The initial pulmonary function test, showed an obstructive pattern in 9 (24.3%) with 4 (44.4%) of these showing a positive bronchodilator response, A restrictive pattern was also observed in 9 (24.3%) patients. A lower DLco was observed in only 4 (17.4%) patients of which 23 had undergone DLco. In the follow-up study, an obstructive and restrictive pattern was observed in only one (2.7%) case each. All the decreased DLco returned to mormal. Conclusions: Most surviving burn patients with an inhalation injury but with a small burn size showed initial derangements in the pulmonary function test that was restored to a normal lung function during the follow up period. (Tuberc Respir Dis 2006; 60: 653-66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