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비주얼 리터러시로서의 미술: 자아를 찾아가는 미술여행 에서의 시각적 자기표현과 치유적 기능

        신현경(Hyunkyoung SHIN)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1

        본고는 “자아를 찾아가는 미술여행” 프로그램을 사회단체에서 20년 이상 진행하며 교사이자 연구자로서 보고 느낀 체험을 통하여 시각적 자기표현 중심의 미술에 대한 기능을 밝히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비주얼 리터러시의 증진에 있다. 이는 우뇌로 보고 느끼는 시각적 자기표현의 작업 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발달한다. 여기에서의 미술은 작업의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즐기는 마음놀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참여자들 각자의 외면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내면으로 들어가며 작업하다가 공유하며 마친다. 첫 단계는 미술과 친해지기로서 감상과 마음대로 놀기, 중간 단계는 자기치유, 그리고 셋째 단계는 소통으로서의 미술로서 협동작업과 그 때까지 작업한 전 과정을 ‘나의 그림일기’라는 책으로 만들어 전시를 한다. 참여자들은 전 과정을 통하여 드러나는 자신들 내면의 이미지를 보고 느끼면서 시각의 자기중심적 한계를 알아채고 ‘정말로 본다는 것’의 의미 체험하며, 서로 공감, 소통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 비주얼 리터러시로서의 미술은 자기표현이 풍부한 작업을 창조하여 창의적이고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었다. 이는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함께 자존감도 향상되는 과정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몸/물질과 마음/정신, 감성과 이성, 미와 영성의 합일 등을 체화하는 자기 치유적 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자의 체험은 미술이 특수한 재능이 아니라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으며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이러한 비주얼 리터러시로서의 미술의 기능은 미술교육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며 기초교과로서 역할을 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acknowledges the function of visual self-expression art through the program Art journey searching for self . The goal of this program is to promote visual literacy and its’ most effective way to develop is to focus on seeing and feeling with the right hemisphere of a brain. The art here is not the result but the working process. The program was configured to work step by step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t has three parts. The first stage is to appreciate the arts, and to play with arts materials freely. The middle stage is to heal the self through arts, and the third stage to work collaboratively, make a drawing diary with the images that participants made through the whole process and have an exhibition. They experienced self-healing,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y seeing and expressing their own inner feeling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In this program, the function of art as visual literacy embodies unity of body/substance, mind/spirit, and sensibility/reason, beauty/spirituality through seeing the self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participants created good results that is rich in self-expression. This is a process in which self-esteem is improved as well as self-confidence. The experience that researchers have conducted for more than 20 years in social organizations is that art is not a special talent, but everyone can learn it easily and more fun, and everyone can become an artist. This point has great implications in art education, and the need for art as visual literacy to serve as a basic subje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반구대 암각화의 고래 그림에 있어서 제례(祭禮)적 기능에 대한 고찰과 현대적 의의

        신현경 ( Hyunkyoung Sh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06 동양예술 Vol.11 No.-

        반구대 암각화는 원시미술로 분류되는 선사시대 그림으로 경남 언양 대곡리 바위에 새겨져 있다. 반구대 암각화의 발견 과정과 제작 연대, 제작 기법, 그리고 장소적 특성을 중심으로 암각화 왼편에 위치하고 있는 고래 그림을 시각적 인식으로 분석한 결과, 구석기 시대의 사실적 묘사와 유사한 양식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 고래 그림의 제작 연대가 구석기 시대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또한 이 그림이 고래 사냥을 위한 주술적 목적으로 제사장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시 말하면, 그림의 뛰어난 사실적 묘사를 가능하게 했던 원시인의 시각적 인식이 미술의 제례적 기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원시 미술의 제례적 기능에는 원시 사회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자연에 대한 인식과 원시적 신앙이 내재되어 있다. 그렇다면 원시 시대의 미술은 시각적 능력이 발달한 우뇌 중심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의 의도는 원시 미술의 시각적 인식력을 재해석함으로써 좌뇌 편중의 현대 교육에 의해서 잃어버린 미술의 제의적 기능을 되살려야 한다고 주장하려는 것이다. 우뇌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미술은 작업과정에서 드러나는 자기표현으로 자신을 객관화하면서 마음을 풀어내는 미술의 치유적 기능을 할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이러한 자기 표현으로서의 미술의 자기 치유적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우뇌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시각 교육이 필요하다. 우뇌로 보고 그리기는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본적인 권리를 회복하기 위하여 기초교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술의 이러한 치유적 기능은 전통적 교육에는 일정 부분 내재되어 있었으나 무비판적으로 진행된 서구적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사라져버렸다. 이를 되찾기 위하여 반구대 암각화의 제례적 기능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일이 중요하다. 더구나 이 그림은 우리나라 그림의 시원으로서 한국미의 특성인 자연미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반구대 암각화가 가지고 있는 이 같은 의미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와 연계하여 현대적 의의를 찾아보고 미술의 자기 치유적 기능을 현대의 삶과 예술에서 되찾아야 한다는 것이 본 고의 중심 주장이다. BanGuDae Rock Art is classified as a prehistoric rock painting and is engraved on a rock in Daegokri, Unyang, Kyoungam province. Through research on Bangudae rock art, its discovery, period of painting, painting techniques, geographic features, and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whale painting on the left of the paint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whale painting was similar to the realistic depiction of Paleolithic era. This signifies that the whale painting may have been painted as long ago as the Paleolithic era. This paper assumes that this whale painting was painted by the temple to pray for whale hunting.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primitives which made possible the exceptional realistic depiction was fostered by the ritual role of art. The primitive peoples` perception of nature and their primitive religions are inherent in the ritual role of primitive art. In that case, it can be stated that primitive art was based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n which has developed by visual ability.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visual perception of primitive ar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itual role of art that was lost due to the left brain based modern education should be revived. A right-brain-based art education has a positive perspective in that it allows the students to objectify themselves through self expression, and thus performs the relieving and healing role of art. In order to revive the self-healing role of art in self expression, a visual based education is needed to effectively developthe right brain. Seeing and drawing through the right brain should function as a fundamental curriculum to revive the basic right of human life. Although this healing role of art was partially inherent in traditional education, it disappeared during the unquestioned process of western modernization. To rediscover this role, it is important to visually understand the ritual role of the BanGuDae rock art. Moreover, it must be noted that this painting is the origin of Korean art and has the natural beauty and symbolism that characterize Korean beauty. The significance of BanGuDae rock art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discussion of postmodernism to search for a modern meaning, and the self-healing role of art should be rediscovered in modern life and ar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