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학적 개념을 도입한 Display 작품 연구 -Brand & Season`s Display를 중심으로-

        이지원(주저자) ( Ji Won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디자인을 전개함에 있어 <미학 오딧세이>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이를 작업에 도입하였다. 미학의 심층적인 고찰을 통해 브랜드 디스플레이와 접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려 한다. 본 연구 대상은 2014년 9월 - 12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과 <전시 디스플레이> 수업에서 진행된 결과물로서 그 이론적 배경과 과정을 서술하여 디스플레이를 융합적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대두된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적 시각을 제시하고, ‘감성’과 ‘창의성’을 디자인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차별화된 아이디어를 위한 발상법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세스와 방법을 통해 대중의 미의식 향상과 산업정책의 촉진을 지향하는 정보미디어로서의 디스플레이 디자인을 모색하고, 이의 개념과 역할을 확장하고자 한다. This study develops design based on <Aesthetics Odyssey> and invesgated a way to combine design with aesthetic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ompilation of the work from course products in the <Display & Exhibition Design> at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which was provided for 15weeks between September and December of 2014. This study aims to find new possibilities of display design, which is on the rise these days, to suggest more esthetic and rich space. Display design plays a role as media information and provides aesthetic sense to the public.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develop display design.

      • 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을 위한 방법 연구 -미학, 예술, 디자인의 융합을 토대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이채영(주저자) ( Chae Young Lee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미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를 예술과 디자인에 다각적으로 도입하여 전시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디자인영역에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미학적 이론을 근거한 미학 오딧세이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 중 1. 이율배반, 2. 사회적 관습, Code, 3. 공감각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각각Brand Display, Season Display, Media Exhibition에 도입하여 미학 개념을 실제 전시 디스플레이로 표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는 숙명여대 미술대학 전시 디스플레이 수업에서 진행된 프로젝트로 4명의 팀원이 15주간 미학을 바탕으로 3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수업의 진행은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허물고, 다각적으로 융합되어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과학기술, 마케팅 등 타분야와의 활발한 융복합과 다양한 멀티미디어와의 융복합 등의 연구를 통해 다채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verse design processes of a wide ranged exhibition display based on the theory of aesthetics by introducing it to art and design in various dimensions and to use them in an actual area of design. Among the themes that aesthetic theory-based Aesthetic Odyssey, the study was performed as a research on theories focusing on 1. Antinomy, 2. Social Customs, Code, and 3. Synesthesia. And then, the study had performed tasks to present the concept of aesthetics in an actual exhibition display by introducing above themes to Brand Display, Season Display and Media Exhibition respectively. The study included 3 projects on the basis of aesthetics for 15 weeks performed by 4 team members as the projects implemented in an exhibition project clas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These classes are conducted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design, with subsequent convergences among them in multi-faceted ways so as to explore a new possibilities of display design technology, and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diversified design methodology through active convergence/integration with other sectors such as scientific technology and marketing and through convergence/integration with various multi-media.

      • 공간이미지의 재해석을 통한 표현기법 연구 -본인 작품 "Rolling hill"을 중심으로-

        박경아(주저자) ( Kyung A Park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정승영(공동저자) ( Seung Young Ju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기초적인 표현기법들을 활용하여 공간을 이미지화하고 입체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방법의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의 재해석을 통한 표현기법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이동하는 공간의 동선에 따라 사진을 찍고 이를 동선의 변화와 그에 따른 감정의 기복 상태를 표현하는 꼴라쥬 작업을 통해 조형적으로 제시한다. 완성된 꼴라쥬는 일러스트로 다양하게 변환시키고 이를 도면으로 옮기고 모형으로 제작한다. 마지막으로 영상 작업으로 그 동안의 표현기법의 과정과 컨셉을 정리한다. 공간을 2D, 3D, 4D의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하는 것은 다양 한 표현방법의 연구와 숙련은 물론, 창조적 작업을 위한 Imagination과 사고의 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basic imaging techniques and three-dimensional space by utilizing a new way of thinking. Representation techniques are used to reinterpret space in a variety of projects. First, to go to space to take pictures of it along a path wire,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the circulation represent the state of feeling of the relief sculptural collages of the work presented. The illustrations of the finished collage are converted into a variety of moving models which are made into a drawing. Meanwhile, the last work is a video of the process of the different representation techniques and concepts in order. Space, 2D, 3D, 4D is expressed in a variety of representation techniques that rely on research, skill, and creative thinking in order to aid the expansion of the imagination.

      • 사진을 통해 재구성한 공간의 개념과 입체화 과정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하림(주저자) ( Ha Rim Park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정승영(공동저자) ( Seung Young Ju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시각, 제품, 공간, 의상 등의 다양한 디자인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총체적 시각과 방법의 모색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공간 디자인은 회화적 기법과 사진, 영상, 컴퓨터그래픽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응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공간의 재구성을 통한 표현기법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이동 하는 공간의 동선에 따라 사진을 찍고 이를 동선의 변화와 그에 따른 감정의 기복 상태를 표현하는 꼴라 쥬 작업을 통해 조형적으로 제시한다. 완성된 꼴라주는 일러스트로 다양하게 변환시키고 이를 도면으로 옮기고 모형으로 제작한다. 마지막으로 영상 작업으로 그동안의 표현기법의 과정과 컨셉을 정리한다.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작가의 주관을 반영하여 스토리를 부여함으로써 공간의 조형요소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공간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holistic view that takes into account the visual, product, space, and design aspects in the field. This paper discusses techniques that can change the character of the design of a space, with methods that include representation through pictorial photos, videos, computer graphics applications, in order to express a new paradigm of the design process. Space reconstruction can be projected through representation techniques. First, to go to a space and to take pictures of it that are transmitted along a copper wire, and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the circultion, then the state of feeling and the relief are presented through sculptural collages of the work. The illustration of the finished collage is converted into a variety of moving models that are made into a drawing. To design the space, formative elements of design methodology are presented to reflect the story of the artist`s subjectivity by reconstruction the space.

      • 공간 표현기법 연구 -이미지 가공과 재생산을 중심으로-

        민희연(주저자) ( Hee Yeoun Min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정승영(공동저자) ( Seung Young Ju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지각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이미지를 새롭게 재구성함으로써 이를 디자인으로 발전 시키는 단계적 프로세스를 개발한다. 일상의 공간과 시간적 요소를 한정하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주변의 감각적 요소를 추출한다. 감각이 주변에 존재하는 객관적인 자극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일상을 새롭게 관찰하고,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해 새로운 공간의 이미지로 제작함으로써 복합화된 표현 기법을 제안함과 동시에 지각적 요소를 시각화한다. 이러한 지각의 시각화 과정, 회화 및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표현기법의 융합을 통한 창조적 Ideation 방법을 모색한다.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process takes place to present newly reconstructed images of vevryday design and to develop a process which stepwise. Only the elements of the spatial and temporal daily, and extracts sensible elements around to get them over. An objective sensory stimulus is discussed around the visualization process by accepting the new daily observations, and a new composite image space is created to represent the proposed visualization, including the perceptual elements, through a variety of representation techniques. Ideation is gought with a variety of creative ways that fuse expression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visualization process, painting, and design techniques used in the field.

      • 미학을 접목한 전시디스플레이 작품 연구

        김우경(주저자) ( Woo Kyoung Kim ),유현진(주저자) ( Hyun Jin Yoo ),조은진(주저자) ( Eun Jin Cho ),서혜임(주저자) ( Hye Im Seo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홍순미(공동저자) ( Soon Mi Hong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전시 디스플레이 공간에 대한 디자인 작업에 미학 이론을 바탕으로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를 없애고 예술의 미학 개념을 가시적으로 구현하는 창의적인 프로세스를 개발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9월-12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전시 디스플레이 디자인>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을 정리한 것이다. 수업에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를없애고 미학을 중심으로 브랜드를 위한 스페이스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끝으로 예술의 미학적 가치를 전시 디스플레이 공간에 적용함으로써 다른 분야와의 융합 가능성과 심미성 그리고 미학의 개념을 반영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하였다. 향후 이러한 창의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경험함으로써 사회에서 바로 활용 및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며, 디자인 매뉴얼 개발에 있어서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cesses that implement the aesthetic concept of art visually eliminate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design work on the basis of aesthetic theory to design the exhibition display space.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5 weeks September to December 2014,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nvironmental Design <exhibition display design>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lesson took place in the class. The class was working on a project while exploring new design possibilities for space for brands focusing on eliminating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design aesthetics. Finally, the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a design process that reflects the concept of convergence possibilities and aesthetics, and aesthetics and other fields by applying the aesthetic value of art in the exhibition display space. Experiencing the future of these creative and design processes in society to be directly utilized and applied, in the design manual development and expected to be used as a base material.

      • 미학과 연계한 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김다영(주저자) ( Da Young Kim ),김소희(주저자) ( So Hee Kim ),김해든(주저자) ( Hae Duen Kim ),홍성은(주저자) ( Sung Eun Hong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미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이를 Art &Design에 접목하여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실제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미학적 토대로‘미학 오딧세이’에서 다루고 있는 테마 중‘1. 3차원의 허상, 2. 응축 미학, 3. 파괴된 캘리그램’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학 개념을 표현하는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발전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그 아이디어를 토대로 2D 이미지보드 작업을 진행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2D 이미지보드를 토대로 3D 형태의 최종 결과물 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본 논문은 전시디스플레이 수업 진행과정 동안 15주간 진행한것으로 4명의 팀원이 작업하였다. 본 고에서는 공간전시 디스플레이 결과물 도출을 위한 Ideation 및 이미지 보드, 전시디스플레이 작업 과정을 통해 미학과 Art & Design, 공간의 융합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향후 타 영역과의 활발한 융합 연구를 추진할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for deriving the designing process and application to the actual space, by combining Art & Design on the basis of the aesthetic research. The process for application to space is consisted of three steps. First, we conducted the study by focusing on the concepts of 1. Illusion of image, 2. Surrealism, and 3. Destroyed calligram, managing on aesthetics odyssey based on the aesthetic. We developed the ideas to be able to design the expressions of the aesthetics concepts. Second, we used 2D image board on the basis of the ideas. Thirdly, 3D works were made, which was based on 2D image board. This project aimed on finding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Art & Design & space,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ideation for space exhibition display and image board and exhibition display work. We also aimed to promote active fusion research with other areas in the future. This thesis is an output collected over 15 weeks of exhibition · display design class, working on the project in the groups of fo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