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전재활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 조사

        신중일(Joong-Il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운전재활에 대한 현황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차후 운전 재활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부산, 경남 지역의 작업치료사 8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운전재활에 대한 현황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운전재활에 대한 강의 및 교육은 대부분 받지 않았으며 운전재활을 실시하지 않는 치료사가 62명으로 더 많았다. 학생들 및 임상에 있는 작업치료사들에게 대부분 운전재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운전재활과 운전재활 전문가에 대해서 대부분의 작업치료사들이 알고 있었으며 학회 및 세미나와 보수교육을 통해서 알게 된 경우가 많았다. 학생에게 운전재활 교육이 필요하며 임상에서는 운전재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운전재활은 환자의 작업수행에 도움이 되며 일상생활활동 영역에 가장 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환자의 재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basic materials for the driving rehabilitation, by analyzing the presence and needs of the driving rehabilitation, which is recognized by the Occupational therapist. This study analyzed 83 survey questionnaires given to occupational therapist in Busan and Kyoung-nam. Most Occupational therapists does not receive lecture and education of driving rehabilitation, 62 Occupational therapist does not driving rehabilitation intervention. Most Occupational therapist mentioned driving rehabilitation needs. Driving rehabilitation influence on rehabilitation of clients and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fe.

      • KCI등재

        저학령기 아동의 감각통합 기능과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

        신중일 (Shin, Joong-Il),최영건 (Choi, Yung-Gun),장우혁 (Jang, Woo-Heuk),김경미 (Kim, Kyeong-Mi)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8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6 No.1

        서론 : 본 연구의 목적은 COMPS를 사용하여 저 학령기 아동의 감각통합 기능 수준을 제시하고 감각통합 기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는 2005년 12월 19일부터 20일까지 김해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56개 초등학교 중에서 무작위로 J초등학교와 S초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저학년 중 학업성취도를 위한 지필고사를 실시하지 않는 1과 3학년을 제외한 2학년 중에서 무작위로 반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으로 남아가 34명, 여아가 35명으로 총 69명이었다. 평가도구는 감각통합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COMPS와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국어, 수학 지필고사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10.0을 사용하였으며 t-검정과 F-검정 그리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저 학령기 아동의 COMPS 점수와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나 산점도 그래프로 볼 때, 전완교환반복운동, 비대칭성 경반사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배와위 굴곡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체, 국어, 수학과목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군과 낮은 군 사이에서 COMPS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국어과목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높은 군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군보다 환산점수 총점과 변환환산점수가 높았으며, 하위항목에서도 COMPS 점수가 높았다. 수학과목에서는 배와위 굴곡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군이 학업성취도가 높은 군보다 COMPS 점수가 높았다. 일반적 특성 중 나이에 따른 COMPS 점수의 차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슬로모션과 배와위 굴곡위 두 개 항목을 제외하고는 나이가 많을수록 COMPS 점수가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본 연구에서 감각통합기능과 학업성취도의 상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산점도 그래프 상에서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제시된 저 학령기 아동에 대한 COMPS 점수는 일반 아동의 감각통합 문제를 판별하여 학습과 관련된 문제의 조기판별 및 조기치료를 통해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ference to functional level of sensory integration of in the low-grads school age, based on the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s (COMPS) and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the function of sensory integr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 : Two schools (“J” and “S”) have been selected indiscriminately among 5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imhae-si, GyeongNam and then one class from each school was voluntarily chosen among all second-grade classes of the school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in those two classes was 69 (34 boys and 35 girls). Subjects had no developmental problem and no history of referral regarding neurological conditions. Three skilled researchers administrated the COMPS together, and each researcher executed two sub-items of the COMPS. As resul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 data of midterm- and final-exam in the spring semester were collected. The scores of ‘Korean language’ and ‘Math’, common examination subjects in both schools,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Results : Sta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MPS Weighted Scores and any academic achievements. In a dispersion graphic analysis, however, the total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negative-correlation with the area of ‘Rapid Forearm Rotation’ and significant positive-correlation with the area of ‘Supine Flexion’. In terms of the Math achievement, there are significant negative-correlation with rapid forearm rotation and 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and significant positive-correlation with the area of ‘Supine Flexion’. Students with higher score of the Korean language showed a tendency to get higher Weighted Score and Minus Adjustment Score, and those with lower score of the Math showed a tendency to get higher COMPS scores in all area except the area of ‘Supine Flexion’.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S scores depend on the ag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s student older, all COMPS scores, except those in the area of ‘Slow Motion’ and ‘Supine Flexion, were higher. Conclusions : There is somehow reliabl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lthoug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und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from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initiate developing a normative-reference to screen earlier and more alertly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s for school-age children.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rying to find out more reliable matter regarding low grade- schooler’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의 연하장애 유무와 양상

        신중일(Shin, Joong-Il),감경윤(Kam, Kyung-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에서 연하장애의 유무와 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 다.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P 재활의학병원을 내원한 뇌졸중 환자들 중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병식이 없다고 응답한 11명의 환자(남자 4명, 여자 7명)들을 최종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 조사, 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 검사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neuro- 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뇌졸중 환자들 중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다고 응답한 환자들은 모두 연하장애를 동반하 였다. 동반되는 연하장애의 양상으로는 구강기의 문제들과 인두기의 삼킴반사 지연이 있으며 인지적 특성에 있어서는 NCSE 항목 중 구성력, 기억력, 유사성이 다른 항목들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와 NCSE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남력과 판단력이 삼킴반사 지연과 언어이해가 구강 내 식괴의 잔여정도와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이 연하장애를 가질 확률이 높다. 따라서 연하장애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작업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뇌졸중 환자들에게 조기에 연하장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esence of dysphagia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symptoms in cerebrovascular accident(CVA) patients without awareness of dysphagia.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given to CVA patients who had visited P rehabilitation medical center in Busan. Eleven patients (4 males and 7 females) who answered no awareness of dysphasia were given to VFSS, functional dysphasia scale, and NCS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12.0. All of subjects without awareness of dysphasia showed characteristics of dysphasia symptoms. Prominent dysfunctions were problems in oral phase and delay of swallowing reflex in pharyngeal phase. For the aspect of cognition, they showed lower score in construction, memory, and similarity than other NCSE items.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ientation, judgment and delay of swallowing reflex. Verbal comprehension and residual materials in oral cavity showed closed correlation. CVA patients without awareness had dysphagia with high probability. The early evaluation of dysphagia should be performed in CVA patients in order to prevent complications due to CVA,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therapy.

      • KCI등재

        노인 운전자의 인지장애 경험 여부와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신중일(Shin, Joong-Il),박수희(Park, Soo-He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3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한국 노인 운전자의 인지장애 경험 여부에 따른 안전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정책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가 매년 실시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은 IBM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지역사회건강조사의 표본은 복합표본 설계 하에 추출되었으므로, 층화변수, 집락변수, 가중치를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를 기준으로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빈도분석 하였으며 인지 문제에 따른 안전의식은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노인운전자의 인지장애 경험 여부에 따른 안전의식의 차이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인지장애를 경험한 노인운전자 집단에서 안전벨트 착용, 음주운전 여부, 스쿨존 과속여부 항목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은 안전의식을 보였다. 노인 오토바이 운전자의 경우 인지장애를 경험한 집단에서 안전벨트 착용과 관련 된 안전의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음주운전 여부와 관련 된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인지장애의 경험여부는 안전의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노인운전자의 증가로 인한 교통사고 및 사회적 문제에 대한 감소와 예방을 위해 인지기능과 안전의식의 관련성을 비롯한 안전의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과 안전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afe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cognitive impairment of elderly Korean driv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y directions for the reduction and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of elderly drivers, which are constantly increasing. Methods : This study targets the elderly over 65 who participated in the annual community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IBM SPSS/WIN 24.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Since the sample of the community health survey was extracted under the complex sample design, it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stratification variable, colony variable, and weight. For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in frequency based on p<.05, and safe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cognitive problems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safe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cognitive impairment of elderly drivers, the group of elderly drivers who experienced cognitive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safety consciousness in the items of wearing seat belts,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whether speeding in the school zone. In the case of elderly motorcyclis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consciousness related to wearing seat belts in the group who experienced cognitive impair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s related to whether or not to drive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ffects safety consciousnes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drivers in the future, factors that can affect safety awareness,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afety awareness, and policy directions that can improve safety awareness are discussed. Research will be needed.

      • KCI등재
      • 노인환자들의 재활치료 후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연구

        신중일 ( Joong Il Shin ),박수정 ( Su Jong Park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2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활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고 있는 노인환자들의재활치료 후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참여 정도를 파악하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조사대상은 Y병원에서 발병 이후 6개월이 경과한 환자 중 외래진료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환자로 하였다. 선별 검사로 MMSE를 실시하여 19점 이하인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여 총 35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IADL평가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ADL평가는 The Lawt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Scale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은 복약, 전화사용, 가계 관리 등의 순이었다. 식사준비, 가계관리, 세탁은 평가 프로토콜에 의해 남자의 결과는 제외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은 전화사용, 외출 시 이동, 식사준비 등의 순이었다. 상대적으로 쇼핑, 가계관리, 세탁은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현재 재활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고 있는 노인환자들이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로 많이 참여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환자들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을 통해 노인환자에게 필요한 적절한 중재가 제공되고 환자의 요구를 반영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participation of elderly outpatients and provid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evaluation tool. Method: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August 1st to August 30th, 2010. Subjects were thirty-five elderly outpatients 6 month after onset. Screening tools used were the MMSE and Evaluation tool, as well as the Lawt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Scale. Survi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Result: Handling medication, using the telephone, and handling finances were valuable in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Using the telephone, using transportation, and preparing food were valuable in frequency of the importance.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outpatients from rehabilitation hospital regarde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important. But they did not participate regularly. In future studies,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provide an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develop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evaluation tools that reflect client needs.

      • KCI등재

        작업치료분야 인공지능 적용에 대한 체계적 고찰

        신중일(Joong-Il Shin),조미림(Mi-Lim Cho)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작업치료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적용되는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분야에서 인공지능 적용의 현황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인공지능의 활용과 연구의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8년부터 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의 국내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한국학술정보(KISS),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누리미디어(DBpia)를 사용하였다. 검색결과 총 67편의 논문 중에서 배제 기준에 해당하는 57편을 제외하고 총 10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선정된 10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무작위 실험연구는 3편(30.0%), 비무작위 두 집단 실험연구는 1편(10.0%), 설문연구가 5편(50.0%), 질적연구가 1편(10.0)이었다. 전체 연구들 중 로봇 관련 연구가 7편으로 전체 연구의 70%를 차지하였으며 디지털치료제, 인지재활, 측정기술이 각 1편 씩이었다. 결론 현재 작업치료분야에서는 로봇과 전산화인지재활시스템을 중심으로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었으나 인공지능에 대한 실제적인 적용이 이루어지는 연구는 많이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딥러닝이나 머신러닝을 활용한 실제적인 인공지능의 치료적 적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체계적인 연구 설계를 바탕으로 하는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In this stud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this, we aim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in occupational therapy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future utilization and research direc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field. Methods : This study targeted domestic literature from January 2018 to October 2023. The databases utilized for literature search included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KISS),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and the Nurimedia (DBpia). Out of a total of 67 papers obtained from the search results, 57 papers were excluded based on exclusion criteria, and a final selection of 10 papers was made Results : The analysis of the selected 10 papers i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3 (30.0%) randomized experimental studies, 1 (10.0%) non-randomized two-group experimental study, 5 (50.0%) survey studies, and 1 (10.0%) qualitative study. Out of all the studies, robot-related research accounted for 7 (70%) of the total, while digital therapeutic interventions,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measurement technologies each constituted 1 paper Conclusion : Although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applied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particularly centered around robots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s,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studies focusing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conducting studies that explore the therapeutic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deep learning or machine learning. It is crucial to conduct high-quality research with a systematic research design to ensure the practical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 서울지역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 및 물리치료 현황조사

        신중일 ( Joong Il Shin ),양영애 ( You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0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있는 주간보호시설의 작업치료와 물리치료의 현황을 비교해 봄으로써 주간 보호시설의 작업치료 현황을 제시하고자하며 차후 주간보호시설 작업치료의 제도적 장치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 25개 구에 소재하고 있는 82개의 노인주간보호시설로 5월 18일부터 22일까지 작업치료와 물리치료 현황에 대해 전화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간보호시설이 복지관 부설기관인 경우 주간보호시설뿐만 아니라 복지관 소속의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도 포함하였으며, 작업치료와 물리치료 프로그램은 주간보호시설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작업치료, 물리치료라고 정확하게 명시한 경우에만 인정하였다. 작업치료실과 물리치료실 개설에서는 작업치료실과 물리치료실이라고 명시하고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인정하였다. 응답한 내용은 기호화 과정을 거친 후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물리치료사는 36개(43.9%) 시설에 46명(56.1%)이 근무하고 있으며, 작업치료사는 3개(3.7%) 시설에 3명(3.7%)이 근무하고 있다. 물리치료실은 53개 시설에서 개설되어 64.6%였으며 작업치료실은 10개 시설에서 개설되어 12.2%를 나타내었다. 물리치료프로그램은 72개 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체의 87.8%였으며 작업치료프로그램은 49개 시설에서 제공하여 59.8%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현재 주간보호시설에서 작업치료가 물리치료에 비교하여 치료실 개설과 치료사 고용에 있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주간보호시설 인력배치기준에서 작업치료실 개설과 작업치료사 고용 및 역할에 대한 제도적 근거가 필요하다. 또한 주간보호시설에서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알리기 위한 자구적인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that present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in day care center for elderly by comparing the present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on seoul.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policies and system in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18th to May 22nd, 2009. Subjects were eighty-two day care center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by telephone survey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 1) Although physical therapy room was established in 36 centers of 82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occupational therapy room was established in the 3 among 82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2) Physical therapists are employed 46 people, but occupational therapists are employed only 3 people. 3) Physical therapy program service provide in 53 place of 82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but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service enforces in 49 place of 82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1) Employ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establishment of therapy room was lower than that of physical therapy. 2) They have need of system basis for occupational therapist employment and occupational therapy room so that these problems would be improved on placement human resource standards in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3) We consider that day care center makes on effect to announce them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