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척지에서 요소 및 유안비료 시용이 총체보리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신재순(Jae Soon Shin),김원호(Won Ho Kim),이승헌(Seung Heon Lee),임영철(Young Chul L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6 No.1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fresh yield and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treated with Urea (200 kg/ha, T2) and ammonium sulfate fertilizer as 200 kg/ha (T3), 300 kg/ha (T4) and 400 kg/ha (T5) at the Dae-Ho reclaimed tideland, Korea from 2003 to 2005. Salt contents of soil in the ammonium sulfate plots (T3, T4, T5) were lower than those of T2. The fresh yields of ammonium sulfate plots (T3, T4, T5) were higher than those of T2 as 62% (p>0.05), 41% (p>0.05) and 23% (p<0.05), respectively. The dry matter yield of T3, T4 and T5 (ammonium sulf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at 5,080 kg/ha, 4,667 kg/ha, 4,040 kg/ha, respectively.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 tends to have a similar result. Crude protein (CP) content was highest in T3 and CP trends to decrease as the level of ammonium sulfate was increase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were high in T3 and T4. The sodium content of T3 and T4 were lower than T2. Based on the study, it was more desirable to use ammonium sulfate (200 kg N/ha) rather than Urea as fertilizer on reclaimed land in terms of forage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 KCI등재

        중부지역 논에서 월년생 두과 사료작물의 생육특성 및 수량 비교

        신재순(Jae Soon Shin),김원호(Won Ho Kim),윤세형(Sei Hyung Yoon),임영철(Young Cheol Lim),임근발(Keun Bal Lim),서성(Sung Se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8 No.1

        본 시험은 우선 논에서 여름철 사료작물과 연계할 수 있는 겨울철 재배에 적합한 월년생 두과작물로 이듬해의 개화를 통한 경관효과와 수량이 우수한 초종의 선발을 목적으로 충남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벼재배 농가포장에서 2006년 9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행되었다. 월년생 두과 사료작물로서 Hairy vetch (Vicia villsa), Crimsom clover (Trifolium incarnatum), Berseem clover (Trifolium alexandrinum), Persian clover (Trifolium resupinatum), Balansa clover (Trifolium michelianum), Sweet clover (Melilotus officinalis) 및 Forage pea (Pisum sativum) 각 1 품종을 공시하였다. 파종 45일후 출현율은 Crimsom clover, Hairy vetch, Forage pea 및 Berseem clover가 90%이상으로 높았으며 월동율은 Hairy vetch와 Crimsom clover가 각각 98%와 95%로 가장 높았다. 경관과 관계되는 개화율은 수확시(5월 10일)에 Crimson clover가 100%로 조사되었다. 생초수량과 건물수량은 Crimson clover가 각각 72,556 ㎏/㏊과 16,062 ㎏/㏊으로 가장 높았다. 조단백질 수량은 Hairy vetch가 2,929 ㎏/㏊으로 가장 높았지만 Crimson clover (2,169 ㎏/㏊)와는 차이가 없었다(p<0.05). TDN 수량은 Crimson clover가 9,007 ㎏/㏊으로 가장 높았지만 Hairy vetch (7,366 ㎏/㏊)와는 차이가 없었다 (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월동율, 수량 그리고 경관 등을 고려할 때 Crimson clover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지만 추후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lowering condition and productivity of introduced annual legumes at paddy field of Seonghwan (Cheonan, Chungnam, Korea) from September 2006 to May 2007. Annual legumes used in this study were hairy vetch (Vicia villsa, Rosa),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Contea), berseem clover (Trifolium alexandrinum, Alexandria), persian clover (Trifolium resupinatum, Prolific), balansa clover (Trifolium michelianum, Paradona), sweet clover (Melilotus officinalis, Yellow) and forage pea (Pisum sativum, Austrian). Emergency rate after seeding were 90% or more in crimson clover, hairy vetch, forage pea and berseem clover. Wintering of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were excellent as 98% and 95%, respectively. Flowering rate of harvesting date (May 10) was 100% in crimson clover, 98% in balansa clover, 5% in persian clover and others were not flowering. Fresh and dry matter yield of crimson clover were highest as 72,556 ㎏/㏊ and 16,062 ㎏/㏊, respectively. Crude protein yield of hairy vetch was highest as 2,929 ㎏/㏊ but not significant with crimson clover (2,169 ㎏/㏊). TDN yield of crimson clover was highest as 9,007 ㎏/㏊ but not significant with hairy vetch (7,366 ㎏/㏊).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crimson clover would be recommendable for autumn-sowing annual legume at paddy field of Central Provinces.

      • KCI등재

        배수불량 논에서 암거배수처리가 동ㆍ하계 사료작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신재순(Jae Soon Shin),전종길(Jong Gil Jeon),이상봉(Sang Bong Lee),김원호(Won Ho Kim),윤세형(Sei Hyung Yoon),이종경(Joung Kyong Lee),김종근(Jong Guen Kim),정민웅(Min Woong Jung),서성(Sung Seo),임영철(Young Cheol L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8 No.4

        본 시험은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 사료작물재배를 위해 암거배수 간격을 3m, 5m 그리고 7m로 처리하고 여름 사료작물로는 옥수수와 수수×수수 교잡종, 겨울 사료작물로는 청보리를 조합하여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 수수×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 등 2개의 작부체계에 대한 재배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2006년 3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행되었다. 배수간격별 출현율과 출수 시는 차이가 없었다. 출현율은 옥수수가 90%, 수수×수수 교잡종이 91%, 청보리가 92%로 조사되었다. 옥수수의 출수시는 7윌 26일, 수수×수수 교잡종은 7월 21일 그리고 청보리는 4월 27일이었다. 배수처리간격별 건물 수량의 경우, 3m간격 (24,389 ㎏/㏊)>5m간격 (23,543 ㎏/㏊)>7m간격 (21,527 ㎏/㏊) 순으로 높았는데 3m간격과 5m간격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작부체계간에는 수수×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22,000 ㎏/㏊)이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19,684 ㎏/㏊)보다 높았다(P<0.05). 배수간격별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3m간격 (2,365 ㎏/㏊, 15,394 ㎏/㏊)>5m간격 (2,255 ㎏/㏊, 14,513 ㎏/㏊)>7m간격 (1,884 ㎏/㏊, 13,747 ㎏/㏊) 순으로 높았다. 작부체계별 조단백질과 TDN 수량은 수수×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2,165 ㎏/㏊, 13,582 ㎏/㏊)이 옥수수와 청보리 조합(1,576 ㎏/㏊, 12,482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배수불량 논을 활용하여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작부체계는 수수×수수 교잡종과 청보리 조합으로 배수간격은 5m간격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productivity of silage com and barley cropping, forage sorghum and barley cropping in accordance with Drainage Culvert Spacing at poorly drained paddy field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at Seonghwan in Korea, March 2006 to May 2007. The emergency and flowering date were no different among treatments. Emergency rate and flowering date were 90% and July 26 in silage com, 91% and July 21 in forage sorghum, 92% and April 27 in barley, respectively. Dry matter yield was high in line with 3 m drainage culvert spacing (24,389 ㎏/㏊)>5m (23,543 ㎏/㏊)>7m (21,527 ㎏/㏊)>0m (14,132 ㎏/㏊). In cropping systems, dry matter yield of forage sorghum and barley (22,111 ㎏/㏊) was higher than silage com and barley (19,684 ㎏/㏊). Crude protein and TDN yield were high in line with 3m (2,365 and 15,394 ㎏/㏊)>5m (2,255 and 14,513 ㎏/㏊)>7m (1,884 and 13,747 ㎏/㏊)>0m (995 and 8,682 ㎏/㏊). In cropping systems, crude protein and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yield of forage sorghum and barley cropping system (2,165 and 13,582 ㎏/㏊) was higher than silage com and barley cropping system (1,576 ㎏/㏊ and 12,482 ㎏/㏊), respectively. Consequently proper drainage culvert Spacing at poorly drained paddy field was 5m with forage sorghum and barley cropping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간척지 재배에 적합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선발연구

        신재순(Jae Soon Shin),김원호(Won Ho Kim),윤세형(Sei Hyung Yoon),서성(Sung Seo)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2

        본 시험은 1984년에 방조제가 완공된 충남당진군에 위치한 대호간척지(37° N, 126.4° E)의 한국농촌공사 시험연구포장에서 2004년 3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여름작물에서 출현율은 수수×수단그라스 파종구에서 23% ~ 30%로 매우 낮았다. 겨울작물에서는 총체 벼 재배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월동율은 총체 벼 재배 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파종구가 가장 높았으며, 수수×수단그라스 재배후 총체보리 파종구가 가장 낮았다. 하작물과 동작물을 연계한 작부체계에서 ha당 생초 및 건물수량은 총체 벼+이탈리안 라이그라스(50,807㎏, 15,065㎏) 작부체계가 가장 수량이 높았으며, 수수×수단그라스+총체보리(17,247㎏, 5,209㎏)으로 가장 낮았다. ha당 조단백질 생산량은 총체 벼+총체보리 작부체계가 가장 높았다. TDN 생산량에서는 총체 벼+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작부체계가 가장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optimum forage cropping system at the Dae-Ho reclaimed tideland, Korea from March, 2004 to October, 2006. Emergency rate of summer crop such as sorghum × sudangrass was low (23%~30%). Winter crop such as Italian ryegrass after continually cultivating wholecrop rice were highest (91%). Wintering rate of Italian ryegrass after continually cultivating wholecrop rice was highest and lowest in wholecrop barley after continually cultivating sorghum×sudangrass. In cropping system, fresh and dry matter yield of annually wholecrop rice+Italian ryegrass (50,807㎏, 15,065㎏) were highest and lowest in annaually sorghum×sudangrass+wholecrop barley (17,2471㎏, 5,209㎏),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간척지에서 사료용 피 품종들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신재순(Jae Soon Shin),김원호(Won Ho Kim),이승헌(Seung Heon Lee),신하용(Ha Yong Shi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6 No.4

        본 시험은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제주재래 등 총 6품종을 공시하여 피 품종 간의 생초 및 건물수량과 사료가치 등을 조사 분석하여 간척지에서 최적 사료용 피 품종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에 소재한 대호간척지에서 1년간 수행하였다. 출현율은 겸용인 Summer green 품종이 95.0%로 가장 높았다. 생초 및 건물수량은 Summer green 품종이 각각 21,444㎏/ha와 5,296.5㎏/ha으로 가장 높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Shirohie (18.22%) 품종이 가장 높았다. TDN 함량은 Siberian 품종이 가장 높았으며 Panorama 품종이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간척지 토양에서 사료용 피 재배 시 출현률, 생초 및 건물생산성 그리고 사료가치 등을 종합하여 고려할 때 겸용인 Summer green 품종이 가장 우수하였다. To select the forage millet variety suitable for cultivation in the reclaimed tideland, forage yield and feed value were compared for six millet cultivars grown at the Dae-Ho reclaimed tideland, Korea, from March to October in 2004. The emergency rate of summer green was 95.0% which was more than those of any other vatieties. Fresh and dry matter yield of summer green were 21,444 and 5,296 ㎏/ha that were more than those of any other vatietie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the highest in Shirohie variety as 18.22%.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content was the highest in Siberian variety and the lowest in Panorama variety. Considering the emergency rate,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Summer green was the most suitable variety in reclaimed tidelands.

      • SCOPUSKCI등재

        ETBE ( Ethyl Tert - Butyl Ether ) 합성에 대한 헤테로폴리산 촉매의 특성

        박남국,신재순,서성규,임영택,김재승 ( Nam Cook Park,Jae Soon Shin,Seong Gyu Seo,Yeoung Taek Lim,Jae Seung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4 공업화학 Vol.5 No.1

        가솔린 옥탄가 향상제인 ETBE(ethyl tert-butyl ether) 합성반응의 촉매활성과 촉매의 산특성에 대한 상관성 및 반응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pyridine의 흡착량과 TBA전화율은 좋은 상관성을 보였지만, NH_3의 흡착량과 TBA전화율은 전이금속과 complex를 형성하는 NH_3의 흡착특성 때문에, 전이금속의 경우는 선형적인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담지촉매의 경우, 담지량에 따른 촉매활성과 생성물 분포는 반응물인 TBA 또는 iso-butene의 흡착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Reaction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acidic property and catalytic activity of heteropoly acid catalyst on ETBE synthesis as a gasoline octane enhancer were investigated. The amount of pyridine adsorbed on heteropoly acid catalyst and catalytic activity in the synthesis of ETBE showed a good correlation. But, ammonia failed to show such a correlation because of the complex formation of ammonia adsorbed and transition metal ions. In the case of supported catalyst, catalytic activity and product distribution were mainly affected by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BA or iso-bute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