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민정원사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 -경기도 시민정원사 중심으로-

        신재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Gardening is the aesthetic act and the conscious expression of humans about sense, thought, emotion, and opinion. Gardening is also one of the most practical life culture that positively relates to the nature. The nature is a place that closely connects to clothing, food and shelter. In Korea, as the garden culture spreads and nature-friendly activities among citizens increase, the local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a gardening expert training and a certification system for improving general citizens' expertise in gardening and for spreading the garden culture in life in order to be away from existing urban greening activities l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to encourage citizens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nd greening activities for improving expertise. Other local governments also follow the subjects an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for citizen gardeners in Gyeonggi-do and manage similar curriculums such as gardening education. Especially, Gyeonggi-do,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has operated a certification system for citizen gardeners since 2013 and trained 900 civil gardeners until 2019 based on 「Green Conservation Act of Gyeonggi-do. Other local governments are also operating similar courses to the curriculums for civil gardeners in Gyeonggi-do such as municipal gardening education. Korea Forest Service is operating various gardening education for from beginners to experts. A revision of 「Act on the Creation and Promotion of Arboretum and Garden」(abbreviation: Arboretum law) is an example of efforts. This study has three aims: 1) to analyze citizen gardeners' future roles, problems of curriculum, and the solutions for the problems to be improved, 2) to plan ways to strengthen civil gardeners' competency and expertise community gardening activities, and 3) to suggest ways for citizen gardeners to perform actively in the real situations. As for method, the survey on gardening awareness was conducted with citizen gardeners, attendees in a garden university, and non civil gardeners. The item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civil gardener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FGI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ublic officials in charge and experts of civil gardeners. The survey respondents accounted for 64.1% of women in citizen gardeners and 51.3% in their 60s. 56.0% of women accounted for the curriculum in garden universities. Among the non civil gardeners, 58.8% were men and 52.9% were in their 50s. For the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of civil gardeners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in charge were interviewed with following items: 1) certification period and recertification for civil gardeners 2) directions to improve volunteer time and performance recognition 3) application of public sectors, and 4) items for plans to utilize and support civil gardeners As a result of FGI experts in depth interviews, citizen gardeners' cerfitication period and recertification were proposed. The activities of civil gardeners were advised with interviews about volunteer hour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The improvement of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specific categorization of volunteer confirmation were suggested from the experts among current civil gardeners Specifically, for the suggestion of the ordinance amendment, regardless of the fixed periods of 4 years/ 2 years, re-certification could be possible by submitting the volunteer performance confirmation. To solve the problem about volunteer performance confirmation, the division of service and areas and the categorization of types of service are very urgent, which was also suggested with the amendment of ordinance. To activate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should be organized by conducting complete surveys of parks and green spaces located in urban areas, such as roof gardens, garden fairs, city parks, neighborhood parks, and children's parks. It is suggested that civil gardeners continuously manage those parks and green spaces for citizens to feel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in clean parks. As the civil gardeners in Gyeonggi-do are nominated for the target of Enforcement Rule of Gyeonggi-do Garden Culture Industry Ordinance Article 2 (the target of extended support in garden culture),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1) to expand service spaces, 2) to increase education for empowerment, 3) to revise direct costs, and 4) to develop further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because there were few studies to revitalize civil gardeners. Hence, a research with civil gardeners and non civil gardeners was administered in Gyeonggi-do. The survey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Gyeonggi-do institutionally and actively prioritizes civil gardeners, knows and understands the roles of civil gardeners better than other local governments. For the future revitalization of civil gardeners, the improvement of civil gardeners’recertification system, the activation of the public sectors, and the need for further education would be the prior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source to prepare the plan to revitalize civil gardeners when discussed with related organizations. 국내에서는 정원문화 확산과 일반시민들의 자연친화적 여가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시민들의 자발적 녹화 활동을 참여하기 위해 정원문화를 확산 시키고자 법률 및 조례를 개정하고 전문지식 함량 및 역량강화를 제고하고자 양성교육 및 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지 범위인 경기도는 「경기도 녹지보전조례」에 따라 2013년 시민정원사 인증 제도를 운영하였으며, 2019년 기준 900명의 시민정원사를 양성하였다. 또한, 기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경기도 시민정원사 교육과정에 따라 지자체 가드닝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산림청은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약칭: 수목원법)을 제정하는 등 취미적 가드닝 교육부터 전문가 교육과정까지 다양한 가드닝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정원사의 향후 역할과 운영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여 시민정원사의 적극적 참여 유도를 위한 방안, 시민정원사의 역량 및 전문성 강화, 지역사회 정원 활동 강화 방안을 마련하여 시민정원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정원가꾸기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민정원사, 가든대학,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정원사 제도적 개선방안을 위한 항목을 구성하였으며, 담당 공무원과 시민정원사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자는 시민정원사에서 여성이 64.1%, 60대 51.3%로 나타났으며, 가든대학 교육과정에서는 여성이 56.0%, 50대 52.0%, 일반인에서는 남성이 58.8%, 50대 52.9%로 확인되었다. 정원 가꾸기 관심정도는 높은 관심도에 따라 정원 가꾸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높은 잠재력을 확인하였으며, 경험여부를 통해 정원관련 교육이 지속적인 정원 가꾸기 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원 가꾸기를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공공공간의 확보가 필요 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 정보 등에 대한 부족함에 따라 참여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네트워크 조직을 통한 정보교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정원사의 제도관련 인식에서는 시민정원사 제도에 관하여 잘 알고 인지하고 있는 그룹은 시민정원사와 조경가든 대학과정의 일부 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응답자였으며,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응답자는 대부분 일반인으로 나타났다. 시민정원사의 인식 실태와 제도적 개선마련을 위해 심층적 결과를 얻고자 1)시민정원사 인증기간 및 재 인증, 2) 자원봉사시간 및 실적 인정 관련 개선방향, 3) 공공분야의 활용방안, 4) 시민정원사 활용 및 지원계획의 항목을 구성하여 전문적인 논의를 전문가와 관련 담당 공무원의 인터뷰를 통해 실시하였다. FGI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시민정원사 인증기간 및 재 인증과 자원봉사시간 및 자원봉사실적 인정 관련 인터뷰를 통해 시민정원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시민정원사 전문가를 통해 인증제도의 개선과 세부적 사항인 자원봉사활동 실적확인서의 유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균이상의 봉사활동을 하는 시민정원사들에게도 4년/ 2년 기간에 관계없이 자원봉사실적 확인서를 제출하면 재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조례개정안을 제시하였고, 자원봉사실적확인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봉사분야의 구분과 봉사의 유형분류가 매우 시급하며, 이 역시 법적 조례개정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분야 활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지자체내에 산재되어 있는 옥상정원, 공원, 정원 박람회장, 도시공원, 근린공원, 어린이 공원 등 도심권 내에 위치한 공원 녹지 등을 전수 조사 하여 정보를 구축하고 시민정원사가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여 시민들로 하여금 쾌적한 공원에서 삶의 질이 높아졌음을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경기도 정원문화산업 진흥 조례 시행규칙 제 2조 (정원문화 확산 지원의 대상)으로 경기도 시민정원사 등이 명시됨에 따라 봉사 공간 확충, 역량강화 교육 확대, 직접비에 대한 개정, 심화교육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민정원사 활성화를 위한 기존 연구가 미비함에 따라 시민정원사, 일반인 그룹을 대상으로 경기도를 공간적 범위로 연구를 수행한 바, 타 지방자치단체와 달리 시민정원사로써 제도적, 활동적으로 우선시 되어 보다 시민정원사의 역할을 잘 알고 이해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설문결과가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시민정원사의 활성화를 위해 우선시 되어야 할 사항으로 시민정원사 재 인증관련 제도의 개선, 공공분야의 활성화, 심화교육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며, 관련기관과 협의 시 시민정원사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동의단일염기서열 변이를 가진 B309 혈액형의 ABO 전이효소 발현에 관한 연구

        신재균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ABO 유전자의 단일염기서열변이는 ABO glycosyltransferase의 효소특성 및 생산량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어 다양한 ABO 혈액형을 만들게 된다. B3 표현형은 혼합시야응집을 보이는 B형 아형으로 11개의 변이형이 알려져 있다. 이중 synonymous SNP (sSNP)에 의한 B309 변이형이 최근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B309 변이가 B항원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B형을 보이는 B101과 B3 표현형을 보이는 변이형을 클로닝과 돌연변이유도를 통해 벡터에 삽입하고 O형 세포주인 HeLa 세포에 형질도입하여, sSNP로 인한 단백질의 발현, 면역혈액학적 항원성 변화를 형광단백 관찰 및 유세포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B309 변이형 세포주는 B101세포주에 비해 단백질 발현 및 항원 표현이 감소되었다. 결론: B309 변이형에서 보이는 255C>T sSNP가 실험적으로 ABO 전이효소의 발현감소와 이에 따른 B항원의 약화를 야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sSNP가 단백질 발현과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중심단어: ABO 전이효소, 단일염기서열변이, 유전형, 표현형

      • Surface Defects Evolution in Homoepitaxial GaAs(110) Growth

        신재균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volution of surface topology and underlying multiple twin defects in homoepitaxial GaAs(110) growths has been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layer thickness and growth temperature by mainly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an atomic force microscope. Single triangular-shaped surface defects appear at the layer thickness of 300 nm which is considered as a critical thickness upon the advent of underlying pyramidal defects of stacking faults and twins. With the increase of the layer thickness, the triangular-shaped defects further evolve into paired triangular defects of which individual apexes contact pointing in the [00-1] crystallographic direction on the surface. Additional increase of the layer thickness above 500 nm makes the surface defect shape further change to a dagger with four side edges parallel to <112> and <113> directions and the more entangled underlying multiple twins. It is also found that the rather higher growth temperature of 420℃ retards the evolution of the defects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surface defect density because of enhanced Ga migration. Higher temperatures above 420 ℃, however, lead to surface roughness due to the low As incorporation.

      • 精神療養施設 入所 調絃病患者에 있어 集團美術治療가 對人關係機能 및 對人關係變化에 미치는 效果

        신재균 圓光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interpersonal Functioning and Relationship of schizophrenic patients in the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and the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art therapy Methods: 30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200 schizophren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B mental health care facility located in J Eup and wanted to get the group art therapy. 15 of them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 group while the rest 15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To ensure the consistent effect and similarity in the results, the further test was conducted. So those who were over 40 years old but less than 60 years old and those who have no problem in communication and in art activities were selected thus making the number of subject patients for each group becoming 12. In addition, the subject pati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test 4 times or more were excluded from the final experiment group, making the number of patients for experiment becoming 10. The same number of patients was selected for the control group. Group art activities were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once every week with 60 ~ 80 minutes per activity, totaling 40 activities while no art activities were performed to the control group patients. To find ou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therapeutic factor scale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Relationship Change Scale,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homogeneity of the pretest score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used to compare two groups regarding the variation of Pre Test and Post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 function and relationship change in the experiment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hanges on subordinate factors such as satisfaction, communication, intimacy, and understanding but no significant changes in trust and sensitivity. Secondly, different therapeutic factor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different stage of treatment in the group art therapy. For examples, the therapeutic factors such as identifying oneself with other members, identifying oneself with therapists, instruction by therapist, learn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are the top factors in the beginning stage, while the factors such as altruism and identifying oneself with therapists, instruction by therapist, existential factor and inspiration of hope were the top factors in the middle stage and the factors such as identifying oneself with therapists, inspiration of hope, existential factor, altruism and instruction by therapist were the top factors at the later stage. Conclusions: It was found out that the group art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skill of schizophrenic patients in the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It is likely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regarded as one of rehabilitation program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schizophrenic patients in the future. 연구목적 : 정신요양 시설에 거주 중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기능 및 대인관계변화에 미치는 효과와 집단미술치료의 치유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J읍에 소재한 B 정신요양시설에서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조현병으로 진단되어 입소해 있는 200여명의 생활인 중 미술치료 희망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과 동질성 확보를 위해 연령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자,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자, 그리고 미술활동을 수행하기에 무리가 없는 자로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최종 확정 하였으나 최종적인 실험집단은 연구기간 중에 4회 이상 불 참석자를 제외하고 10명을 최종선정 하였다. 실험집단에 상응하는 환자 10명을 최종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60~80분씩 총 40회기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다.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인관계 기능척도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대인관계변화 척도 (Relationship Change Scale), 치유인자 설문지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점수들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변화량에 대한 집단 간 비교를 위해서는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기능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변화 척도의 하위영역 중 만족감, 의사소통, 친근감, 이해성 영역은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고, 개방성, 신뢰감과 민감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에서 치료에 도움을 받은 것으로 인식된 치유인자로 초기에 상위를 차지한 치유인자는 멤버와의 동일시, 치료자와의 동일시, 치료자의 지도, 대인관계 학습, 보편성이 상위권을 차지하였고, 중기에 상위를 차지한 치유인자는 이타주의, 치료자와의 동일시, 치료자의 지도, 실존적 인자, 희망의 고취였다. 그리고 말기에 상위를 차지한 치유인자는 치료자와의 동일시, 희망의 고취, 실존적 인자, 이타주의, 치료자의 지도였다. 연구 결론: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요양 시설에 거주중인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기능? 대인관계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향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조현병 환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유아들의 가족지각 특성연구 : 충청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취원중인 6세,7세반 중심으로

        신재균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동적가족화를 통하여 유아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보고 유아의 성별, 연령별,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가족지각의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충청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6세, 7세반 유아 674명을 대상으로 동적가족화를 그리게 하였고 분석은 빈도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유아의 전반적인 가족지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의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가족지각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유아들의 가족지각 특성은 아버지를 가족체계의 중심인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가정적인 아버지로 보기 보다는 사회적인 아버지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머니는 양육적이고 보호적이며 가정적인 어머니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유아 자신은 전통적인 가정 내의 위계질서를 인정하고 지키면서도 자아중심적인 사고가 강한, 대체적으로 안정되고 자연스러운 가족관계를 보였다. 2. 유아의 성별에 따라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가족지각의 차이에서 남아집단은 활동적이고 공격적 이었으며 가족 내 높은 긴장감을 보였다. 여아집단은 부모의 양육태도를 온정적이고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였다. 3. 유아의 연령에 따라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가족지각의 차이에서 7세 유아집단이 6세 유아집단보다 자아개념과 자기주장이 강하게 표현하여 사회화 되어가는 과정을 나타내었고, 부모와의 갈등을 표현하였다. 4.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라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가족지각에서는 어머니가 유아들과 지내는 양육의 시간보다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일에 대한 만족감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을 가지고 있는 어머니들이 자신의 일에 대한 보람과 긍지를 갖고 있으며 그것이 가족 내의 의사소통과 협동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점이 유아에게 긍정적인 부모상으로 비추어 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짐작할 수 있는 것은 남아집단 보다는 여아집단이, 7세 유아 집단 보다는 6세 유아 집단이,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유아집단이, 보다 가족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young children's family perception characteristics through kinetic family drawing and examine differences in family perception by young children's gender, age, and the presence of their mother's occupation. For this purpose, 674 young children from classes for six- or seven-year-old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Chungcheong Province were asked to make kinetic family drawing and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The following concrete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are young children's general family perception characteristics found in kinetic family drawing like?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family perception found in young children's kinetic family drawing by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young children's family perception characteristics found in kinetic family drawing, they perceived father to be a central character in the family system and considered him to be social father rather than domesticated one. They perceived mother to be child-rearing, protective, and domesticated one. Young children themselves accepted the traditional order of rank within home but showed generally stable and natural family relationship with strongly self-centered thoughts. 2. As for differences in family perception found in kinetic family drawing by young children's gender, boys were active and aggressive, showing high strain within home. Girls perceived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to be kindly and positive. 3. As for differences in family perception found in kinetic family drawing by young children's age, seven-year-olds showed a process of socialization with stronger expression of self-concept and self-assertion than six-year-olds and expressed conflicts with parents. 4. As for family perception found in kinetic family drawing by the presence of mother's occupatio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satisfaction with her work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amount of time for getting along with children. Mothers with occupation felt encouraged and proud of their work, which exerted positive effects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in family and caused children to get a positive image of par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girls who were six year old rather than seven and whose mother had occupation had a greater tendency to perceive family to be positive. Key words: Kinetic family drawing, family 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