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호-되기’와 「오감도-시제1호」

        신용목(SIN Yong-Mok)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8 No.-

        이상의 「오감도-시제1호」는 시어들의 기호적 특성과 그 출현 방식을 통해 시적 세계를 구조화하는데, 이는 데리다가 『그라마톨로지』에서 말한바 ‘상징의 기호-되기’를 통해 의미를 지속적으로 유예하면서 세계의 운동성을 연속적 과정으로 보여준다. 이때 ‘기호-되기’를 통해 이 시가 지향하고자 하는 세계는 현실과의 ‘상징적 관계’를 거부하는 과정을 통해 유추될 수 있다. 즉 「오감도-시제1호」는 현실 세계를 삭제하거나 배제하기보다는, 현실 세계와의 길항 관계 속에서 ‘기호-되기’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이 시는 ‘무서움’과 ‘다른 사정’들로 상징화된 현실의 상황을 지나 ‘기호-되기’의 본체인 시 자체를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오감도-시제1호」는 현실 세계와 끝없이 마찰할 수밖에 없는 불안한 내적 상태를 보여주면서, 현실의 의미를 통과한 지점에서 새롭게 구축될 기호의 세계를 추구한다. 그것은 마침내 ‘어떤 현실’의 상징적 폭력 속에 내던져진 ‘육체’라는 기호의 운명적 슬픔일 수 있다. Yi Sang’s 「Ogamdo – Poem No. 1」structuralizes the poetic world through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poetic words and the method of their appearance, which shows the mobility of the world as a continuous process while continuously suspending the meaning through ‘sign-becoming of a symbol’ as Derrida described in 『Grammatology』. At this time, the world this poem aims to pursue through ‘sign-becoming’ can be inferred through the process of rejecting a ‘symbolic relationship’ with reality. In other words, rather than deleting or excluding the real world, 「Ogamdo - Poem No. 1」performs the process of ‘sign-becoming’ in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the real world. With this methodology, it can be seen that this poem aims at the poem itself, the main body of ‘sign-becoming’ beyond the real situation symbolized by "fear" and "other circumstances". While showing an unstable inner state that has no choice but to constantly cause a conflict with the real world, 「Ogamdo - Poem No. 1」pursues a world of signs that will be newly constructed at the point of passing through the meaning of reality. It may be the fateful sorrow of the sign of "body", finally thrown into the symbolic violence of "a certain reality".

      • KCI등재

        식민지시대 시에 나타난 ‘얼굴’ 표상 연구

        신용목(Sin, Yong-Mok) 한국문학회 2019 韓國文學論叢 Vol.82 No.-

        이 논문은 식민지시대에 쓰여진 시들의 ‘얼굴’ 표상에 관한 연구이다. 얼굴은 ‘자아’라는 내면과 ‘세계’라는 외부의 접점을 형성한다는 측면에서 ‘표상적 실재성’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대상이고, 은유와 환유는 시적 대상이 출현하고 배치되는 양상이다. 이 논문은 얼굴 표상이 시 속에서 구조화되는 방식을 살핌으로써 식민지시대 시인들의 시적 인식의 한 측면을 조망하고자 한다. 세계와 자아에 대한 성찰과 고뇌를 이어가거나 당대 현실을 유이민적 과정으로 체험했던 정지용, 윤동주, 백석, 이용악의 시에 얼굴 표상이 많이 등장한다. 또한 언어 실험을 통해 세계의 분열의 징후들을 보여줬던 이상과 세계의 이상에 자아의 목표를 일치시켰던 임화의 시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반면, 현실 동인과 자아에 대한 질문을 뒤로 물린 채 관념적 세계와 미적 언어에 탐닉했던 청록파 시인 등에게는 ‘얼굴’ 표상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정지용과 이용악 시에서 ‘얼굴’ 표상은 세계와 관계하는 화자의 내적상태를 직접적으로 대리한다. 그들 시에서 얼굴은 세계와 자아의 만남에서 비롯된 주체의 외상 자체를 표상한다는 점에서 은유적 표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얼굴 표상이 내적 상태와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등장한다는 것으로도 설명 가능하다. 은유적으로 등장한 ‘얼굴’ 표상은 불우한 시간의 연속성 속에서 주체의 내력을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통시적’ 성격을 띤다. 이는 외적 폭력의 강도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윤동주와 백석 시의 경우 ‘얼굴’ 표상이 병렬적 배치를 통해 세계를 연쇄적 과정으로 지시한다는 점에서 환유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얼굴 표상이 주체의 외상을 주체 외부에 배치한다는 점에서 환유의 특징인 인접성을 띠고 있는 것이다. 즉 자신의 얼굴을 분리시켜 그 진의를 묻거나 얼굴 옆에 또 다른 얼굴을 배치함으로써 세계와 자아의 실체에 닿고자 한다. 환유적으로 등장한 ‘얼굴’은 화자의 사유나 인식을 일관되게 전개시켜 현실 또는 정념과의 유비적 연결망을 만들기보다는, 오히려 그 연결망을 저지하고 대상화시킴으로써 현실 또는 정념의 정체를 되묻는 역할을 한다. 환유적으로 등장한 얼굴 표상은 그 공시적 성격을 통해 외적 폭력이 가진 비극의 폭을 확장시킨다. 이상 시의 ‘얼굴’ 표상은 은유와 환유의 과정이 중첩되어 등장하고, 임화 시에서는 그 과정이 무화되어 나타난다. 이상의 시는 세계와 자아의 관계가 단일하게 포착되지 않기 때문이며, 임화의 시는 세계와 자아의 관계가 이미 결정된 상태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결합된 ‘동일성의 원리’와는 다르다. 그러나 이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결합된 ‘동일성의 원리’와는 다르다. 은유와 환유는 시어 출현 방식에 따라 시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상의 시의 ‘얼굴’ 표상은 구조적 맥락을 지움으로써 세계의 비결정성을 표상하고, 임화 시의 ‘얼굴’은 그 자체로 세계의 표상을 구조화한다. 그로써 이상의 시는 세계의 분열을 드러내고, 임화의 시는 단일한 세계를 지향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face’ representation of poems writt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Facial representations are the objects that show the representational “reality” in terms of forming the interface of inner ‘self’ and outer ‘world’, and metaphors and metonymy are the aspects in which the poetic objects appear and place. Therefore, this study is a study that reveals one aspect of the poetical perception of poets in the colonial period by examining the way facial expression is structured in the poem. Many face representations appeared in the poems of Ji Jung Yong, Yoon Dong Joo, Baek Seok, and Yong Aak who experienced the reflection of the world and the self and the reality of the time through the immigrant process. It also appeared frequently in Im Hwa s poems, which matched the goal of the self with the ideal of the world, and Lee sang s poem which showed the splitting of the world by the technique of self-targeting. On the other hand, “face” representations rarely appeared in the poets from Pure Green Color school who indulged in the ideological world and aesthetic language but rejected the questions about reality motif and egos. In the poems by Jung Ji-yong and Lee Yong-ak, the ‘face representation directly represents the inner state of the speaker who is related to the world. Shortly, it is metaphorical in that it represents the trauma itself originated from the meeting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This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facial expressions appear based on their internal state and similarities. At this time, the “face” representation by Jung Ji-yong and Lee Yong-ak is of a “diachronic” nature in that the subject s internal strength is positioned in a series of unhappy times. This plays a role to clearly reveal the intensity of external violence. In the poems by Yun Dong-ju and Baek-seok, ‘face’ has a metonymic nature in that it directs the world in the manner of chain process through parallel arrangement.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facial representation has a proximity in that the trauma of the subject is placed outside the subject. That is, it questions the true intention by separating own s face, or it intends to reach out to the whole world by placing another face next to the face. Face , which appeared in metonymy, plays a role of reclaiming the identity of reality or emotions by blocking the connection and objectifying it through objectification, rather than consistently developing the speaker s thoughts and perceptions to make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reality or emotion. This expands the tragedy of external violence through its public nature. In the poem by Lee Sang, the process of metaphors and metaphors is overlapped in face, and in the poem by Imhwa, the process becomes blurred and appeared.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is not captured in a single way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has already been determined in the poem by Imhwa. But this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s of homogeneity,” in which the original and auxiliary concepts are combined. Metaphors and metonymy are class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poetry depending on the way the words appeared. Thus, the “face” of the poem by Lee Sang represents the world s non-determinism by erasing the architectural context, and the “face” of the poem by Imhwa in itself constructs the world s representation.

      • KCI등재

        1990년대 한국 여성시의 탈범주화 과정 연구 ─나희덕, 김언희 시를 중심으로─

        신용목(Sin, Yong-mok)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5 No.-

        시의 계기들은 사회학적 과정으로 명료하게 해석되지 않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여성이라는 자기 정체성에 깊이 천착한 것이 자신들의 성 범주를 되려 강화한다는 비판이 일견 타당하다고 하더라도, 특정 범주에 대한 미학적 천착은 그 범주를 뚫고 나가곤 하는 것이다. 나희덕의 시는 모성성을 바탕으로 대지적 상상력과 초월성을 드러내는 기표로 이해되었지만, 시 속에 나타난 관계들이 포함관계를 드러낸다기보다는 외적 요인을 폭력성에 저항하는 근원적 연대의 감각을 드러낸다고 보아야 한다. 그의 첫 시집의 표제에도 등장하는 ‘뿌리’가 삼투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면, 그의 뒤섞임은 너와 나는 물론 삶과 죽음까지 서로의 농도를 교환한다. 끝없이 서로를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서만 존재한다는 점에서 존재의 규정성을 허물고 있는 것이다. 김언희의 시가 가진 과장된 이미지는 섹슈얼리티를 극단으로 몰고 가는 방법으로 이해되었다. 화자는 자기 자신의 육체를 사물화함으로써 감각적으로 실체화되지 않는 세계의 허망함을 폭로한다. 그럼에도 그의 시가 대결의 선명함을 잃지 않는 것은 그에 맞서는 개체를 물적 속성, 곧 사물의 구체성으로 바꿔놓고 있기 때문인데, 이는 투쟁의 전략이기도 하지만 한편 세계와 자신을 분리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Poetic opportunities include elements which are not clearly interpreted as sociological process. Although the criticism that delving into self-identity as woman rather strengthens their gender categories is appropriate at some aspect, aesthetic investigation to certain categories often breaks through them. The exaggerated images from Kim’s poems have been understood as a way of driving sexuality to the extreme. The speaker of Kim’s poems exposes vanity of a world that is not sensibly materialized, by objectifying its own body. Nevertheless, her poetry does not lose clarity of confrontation because it transforms the object against it into material properties, or the concreteness of objects, which is a strategy of the struggle but also a process of separating itself from the world. Na’s poems have been understood as a signifier of revealing the earth’s imagination and transcendence based on motherhood, but the relationships in the poems should be regarded as revelation of the sense of fundamental solidarity that resists violence rather than revelation of the inclusion relation. If the “root,” which also appears in the title of her first collection of poems, has an osmotic personality, its mix exchanges concentrations of each other, not only you and I, but also life and death. It is breaking down the definition of existence in that it exists only through the process of endlessly exchanging each other.

      • KCI등재

        ‘詩畫一如’와 ‘情景의 시학’ - 이미지즘과 정지용 시 읽기

        신용목(Sin, Yong-Mok)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3

        이 논문은 정지용 시를 ‘이미지즘’으로 분석한 연구를 중심으로 특정한 접근법이 간과한 것과 과잉된 것을 점검한다. 이는 시 분석이 내재적 요청과 외재적 요청을 동시에 가진다고 할 때, 내재와 외부를 연결하는 방법상의 오류들을 사례화하는 일이자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모색의 과정이다. 이미지를 통한 시 분석은, 대체로 감각적 수용 방식에 중심을 두는 것과 상상력을 매개로 환기되는 정서적 영역에 중심을 두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두 방법은 그 접근 방향만 다를 뿐 하나의 과정 속에서 이미지를 설명하고 있는데, 문제는 그 방법론이 시인의 시 세계를 부수적인 차원으로 설명하고 만다는 데 있다. 이미지즘적 요소가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시어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언어적 특성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설명될 필요가 있다. 그 ‘다름’이 ‘이미지의 병치’라는 방법적 자질이나, 주체와 대상이 합일되는 원리로 일반화되기 힘들다. ‘이미지’는 시 속에 드러나는 방식을 통해 전혀 다른 해석적 과정을 요청한다. 즉 수사학적 방법론과 주제론적 의미론을 통합적으로 사유할 근거가 필요하다. 이 둘은 논의 방식에 따라 서로 모순을 만들기도 하지만, 모순이 드러난다고 해서 시의 위의가 폄하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오히려 해석의 다양한 가능성을 통해 그 모순의 실체에 접근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onnivance and exaggerations of the approaching methods from papers mainly discussing the ‘Imagism’ of the poems by Jung Ji Yong. This examination is a process of overcoming and exemplifying the methodological errors while connecting the implicit and explicit requests, as poetry analysis has both implicit and explicit requests. The analysis of poetry based on image can be categorized into either putting emphasis on the sensual acceptance method or the emotional domain that is aroused by imagination as a means. However, both of these methods are explaining an image within a same singular process although the directions are different. The problem occurs as this approach explains all the other dimensions of a poetry in an ancillary manner. Although ‘imagism’ factors appear in a poem, linguistic features that could be judged by poetic words must need a different explanation. That ‘difference’ can not be generalized by either the methodological feature known as ‘juxtaposition of images’ or the principle of unity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Images’ requires a completely different process of analysis based on the ways of how it is revealed throughout a poem. There is a need for grounds for integrating rhetorical methodologies and thematic semantics. These two methods often create contradictions. Such contradictions do not devalue the meaning or status of poetry. Rather, it is better to reveal various meanings to interpret the poem. And through its various meanings, we must approach the reality of contradictions. The meaning of the poem will then be more revealed.

      • KCI등재

        1990년대 한국 여성시에 나타난 ‘액화’ 이미지 연구

        신용목(Sin, Yong-Mok)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4

        이 논문은 1990년대 한국 여성시에 나타난 ‘액화’ 이미지를 김언희, 신현림, 허수경 시에 자주 등장하는 ‘몸’의 표상을 중심으로 살폈다. 김언희의 시는 절단의 이미지를 통해 화학적 액화보다는 물리적 액화 과정을 보여주며 ‘몸’의 현장성을 ‘공포’에 대한 감각으로 대체한다면, 신현림의 시는 시간과 역사의 유구한 연속성을 자각하는 가운데, 액화된 ‘몸’을 세계와 분리시킴으로써 스스로를 보존하는 동시에 질적 변모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화학적 과정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허수경의 시는 ‘몸’과 ‘마음’의 대비를 통해 몸의 물리적 변화와 마음의 화학적 변모를 지속적으로 드러내며, 몸의 액화 양상을 마음의 액화 과정으로 설명한다. 이는 상실과 상처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을 숨기지 않는 가운데 상처와 상실로 몸을 구성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주체가 지닌 감각의 능력과 기능적 속성이 그러한바, 시적 대상과 인식의 운동성이 드러나는 ‘액화’ 과정은 고형화된 체계를 허물고, 그것을 대체하는 어떤 질서도 상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체’적 성격을 지닌다. 남성중심적 질서는 자기 바깥의 모든 세계를 자연으로 규정하며 비인격성을 부여해왔다. 액화 과정은 구조적 차원에서든 인식의 차원에서든 보편자로부터 개별자로의 이행을 가시화하는 것이며, 개별자가 가진 유체적 속성을 통해 세계의 규정성 속으로 사라진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더군다나 ‘몸’의 확정성이 세계의 확정성과 결부되어 있다면, 이러한 인식을 조건으로 삼는 가운데 몸의 액체적 속성을 발견하는 것은 당대 여성시가 견고한 시대적 폭력성에 맞서는 일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로 인해, 액화는 단순히 그 이미지만으로 완결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관장하는 주체와 그 이미지를 형성하는 객체의 성격까지 결정한다. 같은 맥락에서 주체의 감각이 시적 대상의 유동성을 감지하고 그 변화를 포착하는 것 역시 내적 운동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액화 이미지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억압을 내재화한 세계를 지속적으로 무너뜨린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 of “melting” in Korean women’s poetry in 1990s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body” in poems of Kim Eon-hee, Shin Hyun-rim and Huh Soo-kyung. Kim’s poem shows physical process of liquefaction through an image of cutting. From this, a place called ‘body’ is filled with a sense of ‘fear’. Shin’s poem perceives continuity of time and preserves itself by separating liquid ‘body’ from the outside world. By this means, it pursues qualitative transformation. This can be called a chemical process. Huh’s poem contrasts ‘body’ and ‘mind’ and constantly reveals physical changes in the body and chemical changes in the mind. Through this process, it explains liquefaction phase of the body by liquefaction process of the mind. It reaches out to the existential question of loss and wound, which is a way of realizing one’s body as a ‘wound’. This ‘liquefaction’ process, where a subject’s perception and mobility of a poetic object come out, destroys solidity of the world, but does not replace it with anything else. Therefore, it has a characteristic of ‘abject’. A male-dominated order defines all the outside world excluding itself as nature. Nature is impersonal. The liquefaction process is melting the world which has been structured as such. It is a process of deriving individuality from universality, and finding out one’s own self lost in the universal world. In other words, the liquefaction is not simply completed with the image, but determines the nature of a subject handling the image and an object captured by it. In the same context, a subject’s internal mobility causes that its sense detects liquidity of poetic object and captures such change. The liquefaction image continuously destroys the repressive world through these inter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