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의 ICT 관련 변인이 ICT 활용에 대한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남창우(Nam Chang Woo),신수영(Shin Su ye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ICT 활용 특성을 탐색하고, ICT 활용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PISA 2012 데이터 가운데 고등학교 1학년 472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학생의 ICT 관련 변인과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별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포함하여, 학생의 ICT 관련 변인으로 가정에서의 ICT 활용 가능성 및 용도별 ICT 활용 빈도(과제용 및 오락용), ICT 학업활용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성별에 따라 ICT 활용 목적에 차이를 보였는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오락용으로 컴퓨터를 활용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여학생보다 문제해결력도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가정 내 ICT 기기 보유 정도와 문제해결력에 상당한 격차가 있으나, 단순히 ICT 기기 보유가 많은 것 자체가 문제해결력의 유의미한 차이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용도별 ICT 활용 빈도의 경우, 오락용으로 자주 사용할수록 문제해결력은 낮았으며, 학업적으로 자주 사용할 경우에는 문제해결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CT us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udents' ICT use on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4728 10th grade students in Korean high schools using the PISA 2012 data sets. In addition, it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ICT-related variables and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is study, the students' ICT-related variables are composed of ICT availability at home, the frequencies of ICT use (ICT use at home for school-related tasks and ICT entertainment use), and their attitude towards ICT including their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SES) family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some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students' ICT use. Male students were more entertainment-oriented ICT users and female students were more task-oriented ICT users. In addition, the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 higher problem solving abilities than the female stud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SES differences in ICT availability at home and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CT availability at home i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CT entertainment use an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ies,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CT use at home for school-related tasks an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ies.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 활동 변인 탐색

        남창우(Nam Chang woo),신수영(Shin Su y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 활동 변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2010년~2014년까지 5개년의 에듀데이터(EduData Service System) 중에서 1316개 고등학교의 6349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학교배경특성, 조사시기별 학교교육 여건, 프로그램 운영 관련 변인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다층성장모형(MG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운영 관련 변인으로는 수준별 이동 수업 여부, 교과교실제 실시 여부, 방과후학교 학생참여 비율 등을 포함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이동수업의 경우,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에서 수준별 이동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교실제의 경우,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에서 교과교실제 운영이 해당 교과목의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의 경우,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에서 방과후학교 참여가 해당 교과목의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과 학교유형, 지역규모 등을 통제한 연구모형 분석에서 효과의 크기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of school instructional activities influencing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utilized 6349 high school students using ‘Edudata Service System (2010-2014)’ from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In addition, it employed Multi-level Growth Model (MGM)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school background, school conditions for instruction, educational program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variables of educational programs are composed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subject-oriented class system,’ and ‘after-school programs.’ The study focused on three subject areas of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interesting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all three subject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subject-oriented class system’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terms of all three subjec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terms of all three subjec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terms of all three subjects after controlling times, school types, and scale of area surrounding the schools.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실 체험에 담긴 문해교육의 의미 탐색

        권순정 ( Soon Jung Kwon ),신수영 ( Su Yeong Shi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0 교육인류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실 체험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의미를 재해석하여 문해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에 기초하여 9개월 동안의 현장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실의 일상을 관찰하고 결혼이주여성 그리고 교사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실에서의 연구자들의 체험에 대한 성찰과 함께 프레이리의 문해교육에 주목하며 그의 문헌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자들은 한국어 교실 체험을 통해 1) 결혼이주여성들의 ‘나’를 위한 학습과 이를 통한 정체성의 재구성; 2) 공동체 안에서 촉진되는 학습; 3) 교사들의 사랑과 관심에 기초한 연민과 의식화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주여성들의 혼자서기; 4) 글을 통한 세계에 대한 이해와 해방을 향한 희망의 의미들을 깨달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한국어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문해교육의 참 의미를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by reinterpreting the lived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doing so, researchers observed the daily liv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eachers; conducted interviews based on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flected upon our experiences in Korean language classes; and looked into the literature of Paulo Freire,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our research by focusing on literacy education. The research included 9-months of fieldwork. Through data analysis of the lived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classes, we were able to realize 1)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for `themselves` and that this relates to the meaning of reconstruction of identities; 2) the promotion of learning in a community; 3) compassion and the understanding of conscientization based on the love and care of teachers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lf-reliances; 4)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rough words and the hope of emancipation. From these explorations, we became to aware of not only a new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the tru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가정배경이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의 역할을 중심으로

        신수영,김경근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KELS)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의 직 업포부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일반화된 위계적 선형모형(HGLM)을 사용한 분석 결과, 중 학생의 직업포부 형성에는 성별, 학업성취, 교육포부, 학업효능감 등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변수들 외에 하위직 직업포부의 형성에는 부모 학력과 부모 의 교육적 관여가 핵심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반면, 상위직 직업포부는 가구소득과 부모의 기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직업포부에 대한 가 정배경의 강력한 영향력을 재확인할 수 있었지만, 교육포부, 학업효능감, 그리고 부모의 기 대나 교육적 관여와 같은 가족 내 사회자본 등을 통한 개입의 여지는 남아 있는 것으로 보 인다. 단, 이러한 요인들 역시 가정배경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는 못하기 때문에 계층 간 직업포부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모색할 때는 이 같은 한계가 적절히 감안될 필 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background and occupational aspiration, using representative data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2005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As a result of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s analysis, the authors found that student'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aspiration, and academic efficacy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occupational aspiration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o these variables, with those students having aspirations for a mid-level occupation as the reference group,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students when deciding a low-level occupation. In contrast, family income and parental expectation were found to be deciding factors for students who aspire for a high-level occup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background itself plays a major role in shaping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Meanwhile, there might remain some room for policy intervention through boosting educational aspiration, academic efficacy, and such social capital within family as parental expectation and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Since these factors are not free from family background, however, this limitation should be properly taken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policy alternatives to bridge occupational aspiration gaps between social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