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임교사 유도 프로그램의 교사 전문성 개발 전략에의 시사- 미국 캘리포니아 주 BTSA의 교훈

        신붕섭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시행하고 있는 ‘초임교사 지원과 사정(BTSA: Beginning Teacher Support and Assessment)’ 프로그램이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어떤 시사를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초임교사 유도 프로그램인 BTSA는 교직에 입문한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2년 동안 경력교사의 멘토링을 실시하여 전문적인 교사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공식적인 유도 전략이다. 이 과정에서 예비자격(provisional certificate)을 갖고 있는 초임교사들은, 주에서 학생의 학습에 초점을 두고 마련한 교직 표준(teaching standard)에 근거하여 직무 수행 능력을 평가 받는데, 그 결과에 따라 정규 전문교사 자격(professional certificate)을 받을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한편 교육구들이 초임교사 유도 프로그램(BTSA)을 계획하여 실천할 때, 주의 재정을 지원 받으려면 주에서 정한 기준을 충족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운영 결과 그 기준에 도달한 교육구만이 전문교사 자격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다.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이나 프로그램을 고안할 때, BTSA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를 받을 수 있다. 첫째, 학생의 학습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직무 수행 기준을 설정하되, 경력 단계별로 교사 직무 수행의 표준을 다르게 한다. 둘째, 초임교사들에게는 평가보다는 지원과 조력을 더 강조하고,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경력교사와 다른 관점과 기준으로 직무 수행을 사정한다. 셋째, 국가 차원에서 교육청과 학교에서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공식(구조)화하고,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마련한다. 넷째, 교사들이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협력적으로 전문성을 개발하는 환경과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천 과정을 통하여 반성적 능력을 신장하는데 초점을 둔다.

      • KCI등재

        초임기 기간제특수교사의 교직생활과 개선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신붕섭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eaching life and need perceived by non-tenure teachers at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regular schools. The Research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ere treated as equal teacher by school manager and tenure teachers. But they can’t assert their opinion in decision-making settings. And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y can’t practice integrated education and IEP(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r handicapped students owing to shortage of teacher culture and interest of the principal on special education. Lastly Non-tenure teachers report inequitable treatment in employment contraction.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 and tenure teachers must provide safe psychological environment to non-tenure teachers. Second, The principal ought to exercise leadership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IEP for handicapped students. Lastly Non-tenure teachers must be provided salary in vacation. 이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 임용된 기간제교사들이 자신들의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교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그리고 능력 개발과 기간제교사 제도의 개선을 위해 무엇을 요구하는지 알아보았다.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소재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기간제특수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질적 방법으로 수행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간제특수교사들은 자신들의 삶을 ‘교직 첫 출발’이자 ‘교사되기 위한 과정’으로 보는 동시에 현실에서 홀로서기를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기간제특수교사들은 학부모의 무리한 요구와 특수교육실무원들로부터 역할 침해를 겪고 있었으며,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기간제특수교사들은 통합교육과 개별화교육계획을 제대로 실천할 수 없는 학교문화, 교육여건을 애로사항으로 지적하였다. 셋째, 기간제특수교사들은 임용계약의 불공정성(방학 중 무보수, 교원성과급에서 학교성과급 제외, 임용기간 중 호봉승급 불가 등)을 지적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간제특수교사들의 성공적인 교직 첫 출발을 위해 초임교사 멘토링을 제공하거나 연수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이나 개별화교육계획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학교장이 리더십을 발휘하여 학교문화를 조성하여야 한다. 셋째, 기간제특수교사들에게도 방학 중 보수 지급, 임용기간 중 호봉승급, 교원성과급의 완전한 지급 등 정규교사와 동등한 인사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 KCI등재

        대학에서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플립드 러닝 설계 사례 연구

        신붕섭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3

        This study aim to design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 ‘Backward by Design(UbD)’ proposed by Wiggins & McTighe. To transform higher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College instructor and decision making authorities must concern student-based teaching for cultivating student’s core competency in recent times. In the meantimes, Flipped learning is the landmark for transforming college instructional change in many universities. But, Flipped learning instructors depend on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not a suitable model for innovative(student-based) teaching practice and competency education. Researcher designed this research for designing instructional strategy specific to flipped learning proposed by Talbert in 2016. He proposed that effective flipped learning environments require four ingredients: ① structure(backward design), ② rich resources, ③ engagement(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④ communication(such as assessment, formal evaluation, and human­human discourse). Especially, Talbert emphasized that flipped learning instructors must plan learning objectives and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fter development of structure(Identify desired results → Determine acceptable evidence → Plan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ion) In this study, Researcher named designing of the components(1~3 step) of Backward by Design as the base stage, and flipped learning planning(4 step) following to UbD as the implication stag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researcher recommend that college teachers concerned with flipped learning(F.L) planning based on the backward by design(UbD) must understand logical relation between F.L and UbD. 이 연구에서는 백워드 설계의 모형(절차)을 바탕으로 플립드 러닝을 설계하였다. 백워드 설계와 플립드 러닝은 교육과정과 수업을 통해 교육혁신을 추구하고, 피상적인 학습보다는 핵심지식의 응용 및 전이를 위한 ‘깊고 넓은(진정한) 학습’에 목표를 두는 공통점이 있다. 연구자는 교직이론 과목(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을 대상으로, 서로 관련된 세 개의 장을 하나의 대단원(3개 소단원-5차시)으로 재구성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먼저 초․중등학교의「교육과정 고시」를 참고하여 단원의 성취기준과 내용 체계를 고안한 다음에,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1단계)→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2단계)→학습 경험 계획하기(3단계)’의 백워드 설계의 절차를 따라 설계하였는데, 이를 플립드 러닝 설계를 위한 ‘토대 설계’라 이름 붙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4단계-플립드 러닝 설계’(실행 설계)를 소단원별로 수행하였다대학에서 교수자들이 백워드 설계의 절차와 기법에 기초하여 플립드 러닝을 설계하면 보다 전문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점에서 플립드 러닝을 실천(하고자)하는 교수자들은 백워드 설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신규교사 멘토링제의 운영 실제와 개선 방안 : 충청남도교육청의 사례

        신붕섭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신규교사 멘토링제’의 운영 실제를 이해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사례 도교육청에서는 ‘도교육청 주관-학교의 자율적 운영’의 형식으로 멘토링을 운영하였는데, 소규모 학교에 근무하는 신규교사들이 멘토의 기능을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멘티와 멘토들은 시간 부족을 가장 제한이 되는 조건으로 보았다. 멘토들은 신규교사 멘토링이 자신의 교직생활을 되돌아보고, 수업기술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고하였다.신규교사 멘토링이 발전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멘토링을 시행하되, 지역교육청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멘토 연수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할 필요가 있으며, 담임 배정이나 업무 분장의 과정에서 신규교사들을 배려하는 교직문화가 요구된다. 나아가, 학교 내에서 멘토링 결연방식을 다양화하고 학교간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것도 멘토링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

      • KCI등재

        교사자격과 연계한 표준 중심의 초임교사 멘토링사례와 시사-코네티컷 주의 교수 표준과 TEAM 프로그램

        신붕섭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3

        Connecticut's Teacher Education And Mentoring(TEAM) program as Beginning Teacher Induction is requirement for moving from Initial Educator Certificate to Provisional Educator Certificate. In Connecticut, Beginning Teachers must participate TEAM(former, BEST) program for two or three years. TEAM program is based on the teaching standard(what teacher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derived from student's learning standard. In concrete, TEAM program is a professional growth model aligned with five domains of Connecticut's Common Core of Teaching(CCT). Connecticut's Beginning Teachers must complete teaching portfolios and according to CCT to be Provisional Educator Certificate applicant from Initial Educator Certificate.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rom Connecticut's TEAM program, First, the academic assessment test for student and teache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mus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the national level's teaching standards. Second, the beginning teacher mentoring must be aligned with teacher certificate system, teacher's college program, and teacher appraisal system. Thirdly, teachers must implement constructive approach as reflection, journal writing activ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코네티컷 주는 미국에서도 표준 중심(standard-based)의 교사의 전문성 개발 정책을 일찍부터 실천하여왔다. 특히 학생의 학습 성취를 꼭짓점에 두고, 교사의 교수 표준(teaching standard)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한편, 이를 중심으로 교사양성대학의 프로그램 인증, 교사자격 체계, 상급 교사 취득 등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교수 정책의 패키지(package of teaching policy)를 실현하는 모델이 되어 왔다. 우선 최초교사자격(Initial Educator Certificate)에서 예비교사자격(Provisional Educator Certificate)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초임교사 지원과 훈련(BEST: Beginning Educator Support and Training) 프로그램을 필수 요건으로 하여 교사의 자격 기준과 질을 관리(지원, 사정)하는 절차를 마련하여 시행하여 왔다. 최근에는 1999년에 개발된 교수 표준인 공통 핵심 교수역량 체계(CCT: Common Core of Teaching)를 개정(확대, 심화)하고, 2009년에는 BEST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교사교육과 멘토링(TEAM: Teacher Education And Mentoring) 프로그램으로 법제화하였다. 코네티컷 주의 사례가 우리나라 교수정책의 개발과 실천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학습 표준(learning standard)을 정하여 교과학습 진단 평가를 시행하고, 교원능력개발평가 등 교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정책 시행에서도 교사는 무엇을 알아야 하고, 무엇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준거, 즉 교수 표준을 정해 실시한다. 둘째, 교원 정책은 학생들을 위한 교수 정책에 초점을 개발 시행하되, 교원(수)정책에 관련되는 제반 요소, 즉 교원양성기관 평가와 프로그램, 교사자격의 다단계화와 자격기준 설정, 초임교사 멘토링, 교사 평가 등을 유기적 종합적으로 연계,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계한다. 셋째,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구조나 활동체계를 체계적으로 만들어 운영하고, 그 과정에서 수업의 실제 상황을 중심으로 교사 중심의 전문성 개발 전략, 즉 저널 쓰기, 반성(reflection) 일지 쓰기 등 구성주의적 접근을 활용한다.

      • KCI등재

        신규교사 멘토링 경험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신붕섭 교육종합연구원 2012 교육종합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substantive theory to explain novice teachers' experiences on the beginning teacher mentoring in elementary school settings. The research participants reported that teachers need beginning teacher mentoring due to pre-service program irrelevance and inadequacy in preparing administrative skills and classroom management skills for teachers. However, the beginning teachers felt that the current beginning teacher mentoring programs didn't support the beginning teachers' school adapt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because of time inadequacy and school members unconcern on the mentoring. The beginning teachers believed that mentoring program would contribute the beginning teachers' school adapt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lassroom management skills and administrative skills, if school leaders develop mentoring procedures systematically and beginning teachers strive to obtain veteran teachers' services.

      • KCI등재

        신규교사 멘토링의 운영 실제와 개선 방안

        신붕섭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신규교사 멘토링제’의 운영 실제를 이해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사례 도교육청에서는 ‘도교육청 주관-학교의 자율적 운영’의 형식으로 멘토링을 운영하였는데, 소규모 학교에 근무하는 신규교사들이 멘토의 기능을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멘티와 멘토들은 시간 부족을 가장 제한이 되는 조건으로 보았다. 멘토들은 신규교사 멘토링이 자신의 교직생활을 되돌아보고, 수업기술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고하였다.신규교사 멘토링이 발전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멘토링을 시행하되, 지역교육청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멘토 연수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할 필요가 있으며, 담임 배정이나 업무 분장의 과정에서 신규교사들을 배려하는 교직문화가 요구된다. 나아가, 학교 내에서 멘토링 결연방식을 다양화하고 학교간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것도 멘토링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Practice and Improvement of New Teacher Mentoringin Elementary Schools: The Case of Chungcheongnam-Do Education Office

      • KCI등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선택확신 영향요인

        신붕섭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종합연구 Vol.11 No.4

        This study aims to compar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choice conviction of freshmenenrolled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chool years for graduation. The subjects are 318 freshmen in 2013 studying at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Education. The conclusion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support is common influencing factor that make freshmen convicttheir college choice in regardless of the years required graduation for completing acourse of study. Second, The factor related teaching quality in college life is affectingcollege choice conviction of freshmen entered in two-year department. Third, Theperception of education program quality in college choice stage affect conviction ofthree-year depar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