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만 관련 SNP genotype-phenotype 정보기반의 맞춤 식단옴 추천

        신가희(Ga-Hee Shin),이상민(Sang-Min Lee),강병철(Byeong-Chul Kang),장대자(Dai-Ja Jang),권대영(Dae Young Kwon),김민정(Min-Jung Kim),김리랑(Ri-Rang Kim),김진희(Jin-Hee Kim),양혜정(Hye Jeong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전 세계적으로 비만인구의 증가로 인해 경제적 부담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육체적 활동의 감소 및 식이관리의 실패가 손꼽히고 있다. 영양성분 및 칼로리를 기반으로 한 맞춤 식단정보 제공 시스템과는 차별적으로 본 연구는 개인 맞춤형 기능성 식품을 추천하기 위해 비만 관련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정보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GW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분석을 수행하여 한국인 특이적인 비만 관련 SNP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여 유전적 정보를 입력하여 SNP genoype-phenoype 정보에 따른 맞춤 식단옴을 추천하였다. 또한 USDA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식품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식품 통합 Database를 구축하여 식단 추천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표현형 정보 BMI (Body Mass Index)는 정상 수치를 가지고 있으나, 비만 관련 SNP 정보를 가지고 있는 샘플은 유전적 비만 위험도를 나타내어 식이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확인하였으며, 관련 식품 정보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표현형에 따른 비만에 관한 정보와 유전형 정보가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표현형적 정보만을 이용한 비만 관리 식이 추천에는 한계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결과는 비만외 다른 성인병들에도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표현형-유전적 통합정보를 기반 한 맞춤식이 추천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Obesity extends the global economic burden and it causes that the failure of a reduc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diet management. In this work, nutritional information and personalized diet based on calorie supply system and is discriminatory utilized the obesity-related SNP information in order to recommend a personalized functional foods. This study performed a GWAS analysis for the excavation of a Korean-specific and obesity-related SNP, which utilizes genetic information were recommended by entering a personalized diet in accordance with the SNP genotype-phenotype information. In addition, we integrated Database with relation of nutrient for utilizing the USDA Food information and it was applied to recommend with Sickdanome. As a result, the obesity-related SNP information was confirmed in the sample which has the normal value BMI. In this study, we have recognized that the phenotype information related obesity, BMI is inconsistent with the SNP genotype information. This result is shown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personalized dietary SickdanOme recommendation based on the both pheotype-genotype information.

      • KCI등재

        지식은폐 행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가희 ( Shin Ga-hee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여성학연구 Vol.28 No.2

        인공지능, 로봇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4차 산업 혁명 시대는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고,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위협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조직으로 하여금 조직 내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조직 내 다양한 종업원들이 지닌 다양한 생각과 지식, 그리고 노하우 등은 오로지 그 조직만이 소유한 재산이 될 수 있으며, 많은 조직들은 종업원들이 자신이 가진지식과 노하우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그런 기대와는 달리 종업원들은 종종 자신이 가진 지식과 노하우를 의도적으로 숨기는 행위를 한다. 이런 행위는 곧 조직의 성과하락은 물론 숨기는 행위를 하는 개인의 창의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요소인 창의성을 중심으로 지식은폐 행동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지식은폐 행동이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마지막으로 지식은폐 행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식은폐 행동의 하위 행동 중 바보처럼 굴기 행동은 남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바보처럼 굴기 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이다. 또한 지식은폐 행동 중 얼버무리기 행동과 바보처럼 굴기 행동은 창의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지식은폐 행동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본 결과 지식은폐 행동 중 얼버무리기 행동 및 합리화된 은폐 행동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성별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방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얼버무리기 행동의 증가에 따른 종속변수인 창의성의 감소는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크게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합리화된 은폐 행동과 창의성의 관계에서는 합리화된 은폐 행동의 종속변수인 창의성의 감소효과가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여성과 남성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시켜, 여성만을 위한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할 수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and so for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a new opportunity for someone and a threat to someone else. This environmental chang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within an organization. The diverse ideas, knowledge, and know-how of various employees in an organization can only be owned by that organization, and many organizations want their employees to actively share their knowledge and know-how. But unlike that expectation, employees often act to hide their knowledge and know-how intentionally. This action may degrad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well as lower the creativity of the individual doing the hiding. Creativity can also be manifested through diversity. Many organizations try to express creativity through organizational divers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knowledge hiding behaviors differ according to gender, creativ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ow the knowledge hiding affects creativit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effect of gender on the creativity is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behaviors of the playing dumb behaviors in the subscale of knowledge hiding behaviors. In other words, women behave more like ‘playing dumb’ than me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behaviors and behaviors of the knowledge hiding behaviors were negatively related to creativity. Finally, Gender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hiding(evasive hiding/the rationalized hiding behavior) and creativity. But the direction turned out to be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decrease in creativity, a dependent variable resulting from an increase in evasive behavior, has been shown to be greater in males than females, and in rationalized hiding behavior, the reduction in creativity, compared to rationalized hiding behavior. This can be said to be a result of confirming once again that men and women are different,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women human resources.

      • KCI등재

        모형 배양조 형태에 따른 단세포 조류의 비증식속도

        곽중기(Jung Ki Kwak),김현주(Hyeon Ju Kim),이지현(Ji Hyun Lee),신가희(Ga Hee Shin),조만기(Man Gi Cho),한봉호(Bong Ho Han)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4

        In the aquaculture industry, a photobioreactor (Pbr) with high productivity is a prerequisite for mass production of Chlorella sp., a feeding fry for Rotifer(Brachinous plicatilis).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Chlorella sp., model Pbrs such as Cylinder type, Spherical surface type, Half-spherical surface type, Plate type, Raceway pond type and Water-wheel type Pbr with different values of surface area exposed to light/culture volume(S/V) were manufactured, and maximum specific growth rate(μ_(max)) and productivity of Chlorella vulgaris 211-11b at 25℃, pH 7.0 and 12,000 lux were compared each other. The μ_(max) and productivity were not proportional to S/V. Among the 6 model Pbrs, Half-spherical surface type Pbr showed the highest μ_(max) and productivity as 2.206(day^(-1)) and 0.247(gℓ^-1day^(-1)).

      • 박주가리(Metaplexis japonica Makino)의 캘러스유도와 조직별 gagaminine의 함량분석

        이대원,신가희 東國大學校 1999 東國論叢 Vol.38 No.-

        In order to produce antioxidantic gagaminine from the plant and cell culture of Metaplexis japonica Makino, induction rate of callus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was investigated and gagaminine from the various tissues and calli was analyzed using HPLC assay. when the callus from leaf tissue was used on MS medium, induction rate was highest (63.0%).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2,4-D for callus induction of leaf, stern and petiole were 2.0, 0.5 and 0.1 mg/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gaganinine in the plant was abundant in the tissue of stem, leaf, and root in order. However, the highest gagaminine content was found in the callus from petiole (0.276 mg/mL) and its content was 12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stem tissue (0.023 mg/mL) of the intact pl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gagaminine might be produced using the cell culture in vitro in Metaplexis japonica Makin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