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 3세 인공 와우 시술 아동과 보청기 착용 아동의 균형능력의 비교

        브라이언병 ( Brianbyung S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아동의 균형능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아동의 균형능력의 변화를 지켜보기 위해서 수술의 주 연령대인 2세를 기준으로 인공 와우 수술을 하지 않은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수술을 한 아동을 대상으로 균형능력의 기본자세를 유지 시 균형을 유지하는 정적균형을 비교하였다. 대상자는 2014년 1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경기도 소재의 S센터와 B센터에서 언어치료를 받고 있거나 상담을 다녀간 2, 3세의 인공 와우 수술아동과 보청기 착용한 아동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검사는 네 가지 감각조건에서 한발서기 평가를 실시하여 아동의 균형능력을 측정하였으며, 감각조건은 다음과 같다. 단단한 지지면에서 눈을 뜬 상태, 단단한 지지면에서 눈을 감은 상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눈을 뜬 상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눈을 감은 상태. 이 조건들에서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아동의 집단 간 균형능력의 차이, 연령에 따른 균형능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아동의 균형능력을 비교한 결과 조건과 상관없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균형능력의 비교에서는 3세 아동이 2세 아동에 비해 균형능력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 3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눈을 뜬 상태에서는 두 집단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3세가 균형 발달에 중요한 시기임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2세와 3세 사이에는 균형의 발달이 더욱 크게 나타나는 시기이므로 그 시기에 적절한 감각자극을 통해 균형능력 향상에 도움을 되리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anding bala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and children with Hearing Aid. The subjects were 20 children age 2 and 3 year old children who had Cochlear Implant and Hearing Aid and were randomly selected into two groups with 10 children each. The one leg standing test was used on four different conditions which were ridged surface with eyes open, ridged surface with eyes closed, movable surface with eyes open, and movable surface with eyes closed. The differences of balance and balance ability between ages were compared.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and Hearing Aid. Second, The 3 year old children showed increased the standing balance on all 4 conditions more than age 2 childre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condition 3. This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ce of balance development during age 2 to 3year old. Therefore, between age 2 to 3 year old the standing balance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using proper sensory input treatment.

      • KCI등재후보

        뇌성마비 아동의 앉기와 서기자세에서의 골반 주변근 활성 특성

        브라이언병,이지은 한국발달장애학회 2011 발달장애연구 Vol.1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scle activation in pelvic during sitting and standing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pends on their own unique physical characteristics. We analyzed the muscle activities in Gluteus Maximus, Biceps Femoris, Medial Hamstrings, and Gluteus Medius. The subjects were 9 cerebral palsy who were age between 7 to 10(average 7.8 year old). The EMG, Myotrace 400, was used to analyze the muscle activation. First, the child, who can not abulate, with spastic and anterior pelvic tilting showed the stability using the contracture in Medial Hamstrings and Biceps Femoris. The second spastic child showed there is differences between two lower extremities and shifting his weight to lower muscle activation side for the stability which makes unable to ambulate. The spastic child also was not able to abulate due to shifting his weight one side. Second, for the child, who was abe to ambulate, had symmetrical muscle activation in both sides. However, the child, who could ambulate, showed shifting his weight to right side, and there were 41.2 micro N and 29.8 micro N differences which was similar muscle activation in children with hemiparsis. From this study we could find out that the ambulation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pends on the muscle activation and asymmetrical muscle contraction. The ambulatory children show the asymmetrical muscle contraction even though they are the same type of cerebral palsy due to different body part involvements and different sitting postures. The cerebral palsy children need to be evaluated the muscle tone and muscle activation specifically in sitting and standing as the process to achieve the ambulation. 뇌성마비 아동의 독립적 정상보행은 아동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뇌성마비아동의 보행을 위한 재활의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서기는 가능하나 보행이 가능하지 않은 뇌성마비아동과, 보행이 가능한 뇌성마비아동에게 앉기와 서기 자세에서, 보행 시 골반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골반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주변 근육은 대둔근(Gluteus maximus)과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내측 슬괵근(Medial hamstring), 중둔근(Gluteus medius)으로써, 각각의 근육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고, 각 아동의 자세와 특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근 활성도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7~10세의 서기 이상이 가능한 뇌성마비아동 9명(평균 7.8세)으로 하였다. 근전도 Myotrace 400(Noraxon Inc. USA)을 이용하여 앉기와 서기자세에서 20초간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고, 근전도 신호처리와 저장은 MyoResesarch XP(Master Edition 1.0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호처리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의 가능 여부가 골반 주위 근육들의 근 활성의 높은 차이와 비대칭적인 근수축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보행이 가능한 뇌성마비 아동이라 할지라도 뇌성마비 유형에 따라 근 활성의 차이와 비대칭적인 근수축이 일어났다. 또한, 같은 뇌성마비 유형일지라도 아동의 마비 부위나 아동이 가지고 있는 자세의 특징에 따라, 근 활성의 차이와 비대칭적인 근수축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같은 유형의 뇌성마비 아동일지라도 정상보행을 위한 일반적 기능 움직임이나 행동에서 필요한 앉기와 서기자세 유지에서의 자세형태나, 이를 위한 근육들의 수축정도와 구축, 약화정도를 세분화 분석하여 평가함으로써, 보편화된 치료보다는 세분화된 치료가 이루어 질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ADHD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브라이언병(Song, Brian By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이 연구는 부모가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ADHD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을 알아보고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ADHD 진단을 받은 초등학교 1~3학년 아동 8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감각프로파일과 아동청소년행동척도는 조사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유형 행동에서는 움직임민감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과잉행동과 공격행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ADHD 아동의 과잉행동 점수가 낮을수록 과소반응/특정자극 찾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불안행동 점수가 낮을수록 움직임 민감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위축행동 점수가 낮을수록 움직임 민감성과 활력부족/허약함이 유의하게 높았다. 공격행동 점수가 낮을수록 촉감 민감성, 맛/냄새 민감성, 과소반응/특정 자극찾기, 청각여과, 시각/청각 민감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그러므로 ADHD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the problem behavior of ADHD children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87 students with ADHD who is in between first grade to third grad. Sensory profile and behavior scale was measured. The results were followings. The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ion sensitivity in low subtype behavior. Th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yperactivity and aggressive behavior. The third, the hyperactivity with low scores was significantly high finding the under reacting and specific stimulus. The tactile sensitivity, taste and smell sensitivity, reaction, finding specific stimulation, auditory filtering, visual/auditory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high with low aggressive behavior scores.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problem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

        운동형상학적 지표와 운동역학적 지표에 의한 뇌졸중환자의 동작관찰 보행특성 연구

        강권영, 브라이언병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2

        이 연구는 뇌졸중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동작관찰 보행훈련을 실시하여 운동형상학적 지표와 운동역학적 지표를 비교하여 의미를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일반 보행훈련군 10명과 동작관찰 보행훈련군 10명으로 무작위 추출하였다. 동작관찰 보행훈련군은 정상보행 비디오 영상을 시청하고 보행훈련을 실시하였고, 일반 보행훈련군은 비디오 영상 시청 없이 보행훈련을 실시하였다. 주 3회 6주간 진행하였고, 실험 전과 후에 평가 하였다. 그 결과 운동형상학적 지표에서 일반 보행훈련군은 디딤기에서 무릎관절의 밖굽이와 흔듦기에서 무릎관절의 굽힘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에 반해 동작관찰 보행훈련군은 디딤기의 골반 기울임, 가쪽기울임, 돌림, 엉덩관절 굽힘, 돌림, 무릎관절 돌림, 발목관절 등쪽굽힘, 안굽이, 돌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흔듦기에서 골반 기울임, 가쪽기울임, 돌림, 엉덩관절 굽힘, 벌림, 돌림, 무릎관절 굽힘, 밖굽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운동역학적 지표에서 동작관찰 보행훈련군에서는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의 모멘트와 작업률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일반 보행훈련군은 차이가 없었다(p>.05). 이상의 결과로 신경학적 손상을 가진 뇌졸중환자의 인지기능을 바탕으로 감각적 자극을 통한 운동학습이 뇌가소성을 촉진시켜 적절한 움직임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동작관찰 훈련은 손상된 뇌 영역의 활성화를 간접적으로 규명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후 연구에서는 동작관찰 훈련 프로그램의 수준과 과제수행의 다양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며, 훈련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erformed action observation gait training(AOGT) on gait for 20 stroke patients and examined resulting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The subjects were randomly grouped into a general gait training(GGT) group with 10 people and a AOGT group with 10 people. The AOGT group watched a video of normal walking before gait training and the GGT group started gait training without watching it. The training lasted for 6 weeks, 3 times a week and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were checked both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experiment. As a result, the GG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valgus of knee in the stance phase and the knee flexion in the swing phase(p<.05). The AOGT group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lvic tilt, pelvic lateral tilt, pelvic rotation, hip flexion, hip rotation, knee rotation, ankle dorsiflexion, ankle varus, and ankle rotation(p<.05) in the stance phase. Also th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vic tilt, pelvic lateral tilt, pelvic rotation, hip flexion, hip abduction, hip rotation, knee flexion and valgus(p<.05) in the swing phase. AOG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moment and power of hip joint, knee joint, ankle joint(p<.05) but, GGT not significant. The research experiment found that, based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neurological indisposition, motor learning through sensory stimulations facilitated brain plasticity and improved proper functions of motion and the AOGT indirectly identified stimulated brain activities. The researchers expect that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how to improve and diversify AOGT programs. More studies should continue for further training program generaliza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직업활동이 선천성 근육사경에 미치는 영향

        김기전(Ki-Jeon Kim),브라이언병(Brian Byung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근육사경과 산모의 직업적 활동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11년 4월까지 수원“C병원 재활의학과를 내원한 선천성 근육사경아동의 산모 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출산 평균연령은 30.09세,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많았으며, 초산이 82.0%로 나타났으며, 자연분만, 제왕절개, 흡입분만 순이었고, 분만 시 둔위여부는 20.2%로 나타났으며, 첫째 아동이 사경인 경우가 82.0%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대상자의 직업적 특성에서 직장생활을 한 산모가 59.6%이고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가 45.3%를 차지하였고, 직장생활을 임신 3기까지 한 산모가 75.5%로 나타났고, 주로 서서 일하는 자세보다 앉아서 일하는 자세로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7시간 이상이 54.7%로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8.75시간으로 나타났고, 셋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하위 25%이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 정도에선 관계갈등영역에서만 상위 50%이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적 업무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스트레스(100점 환산)와 직무스트레스의 직무요구, 관계갈등,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문화와 보상 부적절간에도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직업적 업무 중 하루 평균 근무시간과 평균 일주일 근무시간과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nd maternal work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89 outpatient pregnant women whose child presente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t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of “C” Hospital in Suwon within the period from 2006 to April 30, 2011.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mean age at the time of giving birth was 30.09years; the proportion of pregnant women with college education or higher was high; the proportion of first delivery was 82.0%; the most common way of delivery was natural childbirth, followed by Cesarean section and vacuum extraction; the proportion of breech delivery was 20.2%; and in 82.0% of the women, the first child ha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2) 59.6% of the women had a career; 45.3% had engaged in professional practice or had a related job; 75.5% had worked until the third trimester of their pregnancy; 54.7% had worked for seven hours or more in a seated position; and the mean number of working hours was 8.75 (3) The level of work-related stress was a low 25% or less, and in the subdivisions of work-related stress, only the level of strained relations belonged to the upper 50% or higher. (4)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rvey respondents’ job stress and job features, stress (full score: 100 point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demand, strained relations, inadequate reward, and workplace culture. Workplace also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inadequate reward. Mean daily working hour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n weekly working hours.

      • KCI등재
      • KCI등재

        경피신경전기자극의 빈도-강도가 만성 요통 환자의 요통장애지수와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박정호(Jung-Ho Park),브라이언병(Brian Byung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저빈도-저강도, 저빈도-고강도, 고빈도-저강도, 고빈도-고강도 네개의 치료조건으로 나누어 만성요통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각기 다른 주파수 빈도와 강도가 만성요통환자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평균연령 39.19(±12.96)세, 발병기간 8.57(±3.07)개월인 요통환자 32명이었다. 치료기간은 2주 횟수는 총 10회로 1일 1회 15분간 시행하였으며 치료부위는 통증이 가장 심한 요추주변 부위에 시행하였다. 치료 전·후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요통정도(요통장애지수)와 요추부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각 군간 윌콕슨, 맨-휘트니 검정을 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 .05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 군 모두 실험 후 요통장애지수와 요추부 유연성에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며, 저빈도군에서는 고강도가, 고빈도군에서는 고강도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고빈도-고강도가 요통장애지수와 요추부 유연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가장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frequency and intensity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on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The subjects were 32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verage age 39.19 (± 12.96)years. The duration of chronic low back pain was 8.57 (± 3.07)months. The treatments were given 15 minutes once a day five a week for two weeks. to low back. Lumbar range of motion(ROM) and Oswestry Disabilitv Index(ODI))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ENS application. Each group was compared using Wilcoxon Mann-Whitney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 High intensity group showed more effect in low frequency group. High intensity group showed more effect in high frequency group. Therefore, the high intensity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with high frequency for treating chronic low back pain.

      • KCI등재

        지지 면에 따른 양측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진영미(Jin, Young-Mi),브라이언병(Song, Brian-B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지 면에 따른 양측 상지 운동이 상지 기능의 개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2년 7월 5일부터 8월 1일 까지 이다.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20명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움직이는 지지 면 군(10명), 고정된 지지 면 군(10명)으로 실시하였다. 움직이는 지지 면 군은 발란스 볼에 앉아 양측 상지 운동을, 고정된 지지 면 군은 고정된 의자에 앉아 양측 상지 운동을 4주간 주5회 30분 적용하였다. 실험 전과 후에는 상지 기능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al Test: MFT)와 상지 운동 기능 평가(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 FMA)로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움직이는 지지 면 군과 고정된 지지 면 군의 각 실험 전, 후 상지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실험 전, 후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상지 기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움직이는 지지 면에서의 양측 상지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 of upper extremities exercises using two different supporting surface, mobile surface and fixed surface in sitting on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The study period was between July 5, 2012 and August 1 2012. The subjects were 20 subjects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 (1) mobile surface group, (2) fixed surface group. The mobile surface group performed bilateral upper extremities exercise sitting on balance disc, and the fixed surface group was provided fixed surface chair. Both groups performed 30 minutes 5 times per a week for 4weeks. The Manual Functional Test(MFT) and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FMA) was used to measure the differences of upper extremity functi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groups, mobile surface group and fixed surface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ncrease(p<.05) in upper extremity function. Second, the improvements of the hand function in mobile surfac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with the group with fixed surfa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bilateral hand exercise program on mobile surface is more effective than the fixed surface bilateral hand exercise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 KCI등재

        물리치료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김기전(Ki-Jeon Kim),브라이언병(Brian Byung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재활을 담당하는 물리치료사가 장애인에 대해 갖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지역 8곳을 선정하여 1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연령, 종교, 근무연수, 주변인 장애유무, 주변인 장애 유형 별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지각 정도는 사회적 거리감(5점만점 평균 3.47점)과 하위요인인 신체적 거리감(5점만점 평균 3.77점), 대인적 거리감(5점만점 평균 3.17점)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이 높을수록(p<.05), 근무연수가 많을수록(p<.05), 남성에게서 사회적 거리감이 더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성별에 있어서 남성이 대인적 거리감에서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접촉요인에서 장애인 친구 유무에 따른 신체적 거리감과 사회적 거리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5). 마지막으로, 치료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간의 상관관계에서 연령은 정적, 성별은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근무연수와 연령의 정적 상관, 성별과 종교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의 질과 기회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치료사를 대상으로 임상 초기부터 장애인 인식의 개선과 장애인과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distance that physical therapists in rehabilitation clinics hav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146 physical therapists at 8 sites in kyunggi provinces, investigated the social distance of the subjects by gender, age, religion, working years, circumstantial dis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ocial distance of the person with disability, the physical therapists showed relatively intimate perceived by the social distance and the sub-factors, physical distance and interpersonal distance. Second, they showed close social distance to the disabled when they had sex, age, working years, and showed close interpersonal distance to the disabled when they had male. Third, the subjects with disabled friends showed close physical and social distance to the disabilitie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ge of the physical therapist and the social distance to the disable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years of work and the age, sex. Based on these results, interactions with disabled person affect the positive cognition toward disabil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therapist to change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disabled person positively through improvement of the cognition of the disabled and direc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from the beginning of the clini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