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의뢰표현의 일고찰 - 수수동사에서 파생된 의뢰형을 중심으로

        송혜선(Song, Hye?s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아시아문화연구 Vol.54 No.-

        수수동사구문에는 이익주체와 이익대상이 구문에 존재하고 있고 구문에 따라서는 이익물이 더해지거나 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와 같은 수수동사구문의 문의 내부구조에 이익주체와 이익대상이 존재하지 않고 화자가 청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 바뀌게 되면, 「의뢰」구문으로 이행가게된다. 본고에서는 수수동사에서 파생된 의뢰표현의 구조를 화자(話者)와 청자(聴者)사이의 대우(待遇)적인 면과 젠더의 측면에서 용례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의 수수동사에서 파생된 의뢰형은 화자의 젠더와 청자에 대한 대우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 「tekure」 「teokure」「tekudasai」「temoraitai」 형태는 의뢰형에서 청자에 대한 권유(완곡한 명령)의 의미까지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에 반해 한국어의 「아/어/여 받다」형은 문법적으로 수익태로 발달해 있지 않기 때문에 의뢰형으로서도 쓰이지 않으며 「아/어/여주다」 동사에서 파생된 형태가 의뢰형을 담당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어의 의뢰형은 일본어의 의뢰형과는 달리 화자의 젠더의 구별도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더욱이 한국어의 의뢰형은 아직 화자의 이익을 위해서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의뢰한다고 하는 의뢰의 본래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청자의 행동에 대한 권유의 의미까지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Giving and receiving verb phrases contain both the principal and the target of the benefitting act; depending on the phrase, the object of benefit may be added as well. When the principal and target of the benefitting act do not exist in a giving and receiving verb phrase, with the structure reflecting an impact by the speaker on the listener, the phrase takes on requesting characteristics. This may be because of the fact that most of the requesting modality in Japanese branch out of the giving and receiving verb, and because the requesting modality is deeply related to the benefits conferred on the speaker.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treatment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s well as the analysis of usage in terms of gende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questing expressions emanating from Japanese giving and receiving verbs display varying forms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speaker and the treatment for the listener. Among them, the tekure, teokure, tekudasai, temoraitai forms take on various forms from requesting to suggesting (indirect command).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a/-e/-ye patta」 forms are not grammatically developed as a benefitting voice; as such, they are also not used to express requesting. Forms branching out from 「-a/-e/-yechuta」 verbs play the role of requesting forms. Also the requesting expressions in Korean, unlike those in Japanese, do not distinguish the gender of the speaker. Moreover, the requesting expressions in Korean retain the original requesting function of requesting the listener to do something, and they do not suggest that the listener take a certain action.

      • KCI등재

        일본어교육현장에서의 수수표현 교육모델의 제시 - 영화대본의 수수표현을 중심으로

        송혜선(Song, Hye-s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6 No.-

        본고에서는 한국인 학습자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일본어의 수수표현을 일본영화나 일본애니메이션과 같은 시청각교재를 활용하여 일본어 문법교육의 하나의 샘플로서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대상으로 하는 작품은 「지금 만나러 갑니다」 「다만 널 사랑하고 있는 걸」 「마녀의 택배」 「하울의 움직이는 성」 등과 같은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일본영화 및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시청각매체를 활용한 일본어 문법교육의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수표현은 인간관계에서 사물이나 이익행위의 주고 받음을 나타내는 문법 카테고리이다. 그러므로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과 같은 시청각교재를 통하여 수수표현을 학습하는 방법은 지금까지의 정형화된 문법교육에서 탈피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을 흥미 있게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문법적인 측면에서는 「teyaru/teageru/tesasiageru」 「tekureru/tekudasaru」 「temorau/teitadaku」 동사의 수수표현으로서의 구문적인 특징을 영화대사를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그중에서도 일본어의 수익태 구문이 수동태적인 수익태 구문과 사역태적인 수익태 구문이 있다는 점을 영화의 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동안의 선행연구나 일본어 교육현장에서 수수동사구문의 수수표현으로서의 용법과 모달리티로서의 용법을 구분 짓지 않고 같은 표현으로 학습자들에게 제시하였던 문제점에 대하여 지적하였다. 즉 수수동사구문의 수수표현으로서의 구문과 모달리티 표현으로서의 구문은 다르다는 점을 설명하고 구문상의 특징을 학습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to present the simple expression of Japanese, which Korean learners find very difficult, as a sample of Japanese grammar education using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Japanese movies and Japanese animations. The give-and-take expression is a grammatical category that indicates the exchange of things or interests in human relationships, just like passive and active voice phrases. Therefore, it would be a very beneficial method to learn give and take expressions through scenes of human relationships such as movies or animations. Through this educational method, we tried to present a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more easily understand who is doing what kind of beneficial action to whom in human relationships through movie scenes, away from the method that has been made to memorize the expressions of give and take. In addition, in previous studies, the verbs “teyaru/teageru/tesasiageru”, “tekureru/tekudasaru” and “temorau/teitadaku” did not differentiate the meaning as the give-and-take expression and the meaning as the modality. To explain that expressions are different syntaxes, and to present syntactic features to learners, the theoretical basis was systematically presented.

      • KCI등재

        第三者のやりもらい構文の構造とボイス性

        송혜선 ( Song Hye-su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1

        ヲ格の動作對象を取らない動詞の構文がやりもらい構文になった時、元になる動詞構文に存在しなかった利益を受ける人が構文に登場したとき、本稿ではこのようなタイプの構文を第三者のやりもらい構文と名付けることにする。本稿ではどのようなタイプの動詞が第三者のやりもらい構文を構成し、どのようなボイス性を持っているかを考察することにする。第三者のやりもらい構文をなしている元になる動詞構文は元になる動詞構文に存在していない構文である。すなわち自動詞構文とヲ格およびニ格に物および出來事を取る他動詞構文、また動作對象であるヲ格とニ格に人を取る他動詞構文であっても動作對象と利益を受ける相手が異なる構文である。このような構文がやりもらい構文になったときに、元になる動詞構文に存在しなかった利益對象がやりもらい構文に新たに現れることになる。新たに現れる利益對象は「てやる/てくれる」構文では「ノタメニ」で現れ、「てもらう」構文ではガ格として現れることが分かる。また第三者のやりもらい構文のボイス性を考察した結果、第三者のやりもらい構文は元になる動詞構文にガ格を取り、新たな人物が加わる派生の構造を持っているので使役態と同じ構造を持っ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structural patterns and characteristic of voice of the sentence type ‘Dai-sansha (a new person)’s Yarimorai structure.’ When the base sentence has the o-case (o-kaku), this sentence type requires a new person (receiver) in the receiving and giving, Yarimorai, structure of the sentence. The base sentence of this type doesn’t have an object like ones with transitive verbs, ones with intransitive verbs whose objects are inanimate, or ones with transitive verbs with animate objects, which require benefit different from the giver (agent)’s benefi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giving voice will appear with ‘no tameni’ and receiving voice appears with ga-case (i.e. ga-kaku).

      • KCI등재

        동작 대상을 취하지 않는 동사의 수수성과 보이스성

        송혜선 ( Hye Sun So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5 No.1

        ヲ격의 동작대상을 취하지 않는 동사의 구문이 수수동사구문이 되었을 때 원래의 동사구문에 존재하지 않았던 이익을 받는 사람이 구문에 등장하게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타입의 구문을 제삼자의 야리모라이 구문이라고 하고 고찰하기로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어떠한 타입의 동사가 제삼자의 야리모라이구문을 구성하고 어떠한 보이스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하기로 하겠다. 제삼자의 야리모라이구문을 이루는 원래의 동사구문은 원래의 동사구문에 동작대상이 존재하지 않은 구문으로 즉 자동사구문이나 ヲ격이나 ニ격으로 사람이 아닌 사물이나 사건 등을 취하는 타동사구문, 그리고 동작대상인 ヲ격이나 ニ격으로 사람을 취하는 타동사구문이더라도 동작대상과 이익을 받는 상대가 다른구문과 같은 경우이다. 이와 같은 구문이 야리모라이구문이 되었을 때에는 원래의 동사구문에 존재하지 않았던 이익대상이 야리모라이구문에 새로이 나타나게 된다. 새로이 나타나는 이익대상은 「てやる/てくれる」구문에서는 「ノタメニ」로 나타나게 되고 「てもらう」 구문에서는 ガ격으로 나타나게 됨을 알 수가 있었다.또한 제삼자의 야리모라이구문의 보이스성을 고찰해 본 결과 제삼자의 야리모라이구문은 원래의 동사구문에 ガ격을 취하여 새로운 인물이 더해지는 파생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사역태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structural patterns and characteristic of voice of the sentence type ‘Dai-sansha (a new person)’s Yarimorai structure.’When the base sentence has the o-case (o-kaku), this sentence type requires a new person (receiver) in the receiving and giving, Yarimorai, structure of the sentence. The base sentence of this type doesn’t have an object like ones with transitive verbs, ones with intransitive verbs whose objects are inanimate, or ones with transitive verbs with animate objects, which require benefit different from the giver (agent)’s benefi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giving voice will appear with ‘no tameni’ and receiving voice appears with ga-case (i.e. ga-kaku).

      • KCI등재
      • KCI등재

        「temorau」구문의 보이스성과 모달리티성 -수동태 및 사역태와의 관계에서-

        송혜선 ( Hye Sun So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3 日語日文學硏究 Vol.87 No.1

        본 논문에서는 전항동사의 타입에 따라 「temotau」가 어떠한 구문을 이루고 있는지를 본 후 「temorau」구문이 수동태 및 사역태 구문과 어떤 관계를 이루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wo격의 동작대상과 ni격의 동작대상을 취하는 타동사에 「temorau」가 결합하였을 경우에는 「직접수익태」구문이 된다. 이 구문은 동작주체와 동작대상의 格이 교체하는 구조로 「직접수동태」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다. 두 번째 타입의 구문은 「소유주수익태」구문으로 no格의 동작대상의 wo格과 ni格의 소유물을 취하는 타동사에 「temorau」동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구문이다. 이 구문도 동작의 주체와 동작대상의 格이교체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소유주수동태」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다. 세 번째 타입의 구문은 「제삼자수익태」로 원래의 동사구문에 존재하지 않았던 인물이 「temorau」구문에 새로이 더해지는 구문이다. 자동사와 사람을 취하지 않는 타동사가 「temorau」와 결합하게 되면 이 타입의 구문이 된다. 이 구문은 원래의 동사 구문에 존재하지 않았던 인물이 새로 더해지는 구조이므로 사역태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temorau」구문의 문 내부구조에 이익주체와 이익대상이 존재하지 않고 화자가 청자에게 의뢰하는 구문이 되면 수수구문에서 모달리티구문으로 이행하게 된다.「temorau/teitadaku」에서 파생된 의뢰형은 화자의 gender의 차이와 청자에 대한 대우도의 차이에 따라「temoraeru?」「temoraenaika」「temoraemasuka」「temoraemasennka」「temoraitai」「teitadakeru?」「teitadakemasuka」「teitadakemasennka」등의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게 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Japanese “-te morau” phrase structure’s interaction with several types of verbs, investigating how each of these types relate to causative phrases by dividing each verb clause preceeding “-te morau.” There are three forms of phrase structures examined in this paper. The first form is a “direct benefactive structure.” This form appears when a transitive verb utilizes “-o” and “-ni” in a phrase connect to the “-te morau” structure. Just like direct passive structures, this form can reverse agent and patient cases. The second form is a “possessions’ benefactive structure.” This form appears when a transitive verb structure’s patient is one’s possession and “-o” or “-ni” are utilized to connect to the morau verb. Like the above form and direct passive structures, this form can reverse agent and patient cases. The third form is an “intermediate benefactive structure.” This form needs an extra subject (agent) added when it changes into a benefactive. Only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which appear with inanimate objects can assume this form. This form has the same structure as causative structures because it needs this extra subject (agent). The “-te morau” phrase structure can also be a “request structure” when it has no (benefactive) agents or patients and the structure is directed from a speaker to a listener.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quest structures which derive from the “-te morau/-te itadaku” form, such as “-te moraeru,” “-te moraenaika,” “-te moraemasuka,” “-te moraemasenka,” “-te moraitai,” “-te itadakeru,” “-te itadakemasuka,” and “-te itadekemasenka,” according to differences in gender or specific social attitudinal expressions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