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청장년층의 두피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정윤석 ( Yun Seok Jung ),송학진 ( Hak Jin Song ),김수미 ( Su Mi Kim ),박세철 ( Se Cheol Park ),최용근 ( Yong Keun Choi ),김형주 ( Hyung Joo Kim ) 한국미용학회 2012 한국미용학회지 Vol.18 No.6

        In this study,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scalp of Korean young adult and middle ages, and their distributions in the ag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16S and 18S rDNA sequence analysis, phylogenetic trees for isolated strains were also construct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eight different bacterial and fungal strains (Bacillus altitudinis, Malassezia furfur, Aspergillus brasiliensis, Penicillium cosmopolitanum, Cladosporium multigeniculatum, Staphylococcus epidermidis, Aspergillus sydowii, and Rhodotorula mucilaginos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scalps (homology: above 98%).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isolates through the ages were investigated, B. altitudinis and M. furfur were found as the most abundant strains in the scalps. Especially, the isolate identified as M. furfur was most widely found in both male and female teenage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icroorganisms distribution in human scalps would be influenced by the scalp conditions such as ages and scalp cleanliness.

      • KCI등재

        공공 흡연장에서의 흡연 중 침 뱉기가 흡연장 주변 바닥의 미생물 오염도 변화와 미생물 확산에 미치는 영향

        양성우(Sung Woo Yang),여승현(Seung Hyeon Reo),김승준(Seung Jun Kim),조정욱(Jeong Wook Jo),최용근(Yong-Keun Choi),송학진(Hak Jin Song),오경빈(Kyung Bin Oh),이주연(Ju Yeon Lee),정윤석(Yunseok Jung),김형주(Hyung Joo Kim)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1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흡연장에서 흡연 중 바닥에 직접 침을 뱉는 행위가 공중위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의 공중위생과 환경을 위해 흡연장에서의 세균 농도와 세균의 확산을 평가하였다. 방법 : 흡연 구역에서 침 뱉는 횟수와 침 뱉는 위치를 관찰자들이 시각적으로 측정하였다. 미생물 분석을 위해 거름종이(5 × 5 cm)를 일정한 시간 동안 흡연 구역의 바닥 표면에 부착하여 샘플을 채취하였다. 샘플을 채취한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ATP bioluminescence (RLU), Colony forming unit (CFU)를 측정하였다. 흡연장에서 침 뱉는 행위를 통한 미생물의 확산을 확인하기 위해 흡연장에서 침이 존재하는 거름종이를 선정하여 형광분말(0.01 g/㎠)을 거름종이에 도포하였다. 4시간 후에 흡연장 주변의 거름종이를 수거하여 거름종이의 형광량(RFU, Relative Fluorescence Unit)을 측정하였다. 결과 및 토의 : 흡연장 바닥의 침 뱉는 행위와 그에 따른 흡연장 바닥의 미생물 활성이 명확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시료를 채취한 A 구역의 경우, 점심시간에 가장 많은 침 뱉는 횟수(102 ± 16회)가 흡연통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이때 흡연을 하면서 침을 뱉는 흡연통 근처의 15개 구역에서 채취한 시료의 평균 RLU는 5,139 ± 1,267로 측정되었다. 또한 흡연장 주변 RLU 측정 시, 흡연통으로부터 11 m, 17 m 떨어진 곳에서 가장 낮은 값이 확인되었으며(1,329 ± 148 RLU, 1,204 ± 203 RLU), 이 장소는 흡연 및 침 뱉기가 발생하지 않은 곳으로 확인되었다. 시료를 채취한 B 구역의 경우는 저녁 시간에 가장 많은 침 뱉는 횟수(45 ± 6회)가 관찰되었다. B 구역의 흡연을 하면서 침을 뱉는 흡연통 근처 15개의 장소 RLU는 5,274 ± 1,297 RLU로 측정되었으며, 흡연통에서 11 m, 18 m 떨어진 곳에서 가장 낮은 RLU (1,181 ± 243 RLU, 1,148 ± 168 RLU)가 측정되었다. 이 구역 또한 흡연 및 침 또한 뱉지 않은 구역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침 뱉는 행위 및 바닥의 침이 흡연장 바닥의 미생물 오염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형광분말 확산 분석 결과는 흡연장 표면에서 침의 존재가 흡연장으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미생물의 확산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 : 침을 뱉는 행위는 흡연장에 있는 흡연자들과 비흡연자들이 미생물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공중위생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흡연 중 침 뱉기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과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itting behavior on microbial public health in smoking areas. Through this investigation, bacterial concentration and spread of bacteria from the smoking areas were evaluated for the prospective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Methods : The number of spitting and the spitting location in the smoking areas were measured visually by observers. For the microbial analysis, filter papers (5 × 5 cm) as sample collectors had been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moking areas for a given time. Using the collected filter paper, ATP bioluminescence measurement (RLU), colony forming unit (CFU) were measured. For the estimation of spitting behaviors in the smoking area on the spread microorganisms, saliva containing filters were selected from the areas, and fluorescent powder (0.01 g/㎠) was added to the papers. After 4 hours, the papers around the smoking areas were collected and the fluorescence activity was measured. Results and Discus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pitting behavior and the microbial activity in the smoking areas. In the case of sampling area A, the highest number of spitting was observed at the lunch hour (102 ± 16 times), and the RLU from the sample collected near the smoking area showed about 5,139 ± 1,267 RLU. When the RLU around the smoking area was measured, the lowest values were found at distance of 11 and 17 m from the cigarette bin (1,329 ± 148 and 1,204 ± 203 RLU), and it was confirmed that smoking and spitting did not occur at this sampling points. In the case of sampling area B, the highest number of spitting (45 ± 6 times) was observed at evening hour, and the RLU from the sample collected near the smoking area showed about 5,274 ± 1,297 RLU. The lowest value was in the sampling area B shown at 11 and 18 m (1,181 ± 243 RLU and 1,148 ± 168 RLU) from the cigarette bin,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smoking and spitting did not occur at this sampling poi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pitting during the smoking induced the increases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the public environment. The fluorescence powder diffu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aliva on the ground surface would enhance the spread of the microorganisms from the smoking area. Conclusions : Spitting in smoking areas can pose a high risk of microbial infection for smokers and non-smokers in smoking areas. Thus extensive and systematic attention related to the smoking manner must be paid to protect our public health.

      • KCI등재

        접촉 작동식 기기(승강기 버튼, 현금인출기, 스마트폰)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분리, 계수 및 동정

        김지은(Ji Eun Kim),이은빈(Eun Bin Lee),양윤정(Yun Jeong Yang),김우형(Woo Hyeong Kim),오정민(Jung Min Oh),임대용(Dae Yong Lim),박예닮(Ye Darm Park),최민석(Min Suk Choi),이채영(Chae Young Lee),안연수(Yeon Soo An),송학진(Hak Jin Song),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사람이 손끝으로 작동시키는 각종 접촉 작동식 기기의 접촉부에 존재하는 세균을 계수 및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 배양이 가능한 세균을 16S rRNA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각종 기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의 수와 종류를 확인하고 존재하는 세균의 다양성과 위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공공건물(10층 기준)의 승강기 버튼과 시중 은행의 현금인출기 표면 및 스마트폰 표면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세균의 수는 시료를 다단 희석한 후 LB agar에 도말하여 CFU (Colony Forming Unit)를 확인하였으며, 분리된 세균의 동정은 16S rRNA분석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많은 CFU가 확인된 시료는 별도의 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세균종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결과 및 토의: 채취된 시료의 분석 결과, 승강기 버튼에서 가장 높은 CFU가 확인되었다(평균 163±17 CFU/㎠). 또한 스마트폰 화면과 현금인출기 화면에서는 1 ㎠ 당, 각각 평균 66±13 CFU 및 6 ± 1 CFU가 검출되었다. 전체 시료 중 세균이 검출되지 않은 시료는 없었으며, 세 종류의 기기에서 모두 병원성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또한 DGGE 분석결과, 모든 기기의 시료에서 LB배지에서의 배양보다 많은 수의 미생물종이 확인되었다. 특히 현금인출기의 표면에서 측정된 CFU와 DGGE의 결과에서 많은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는 각각의 환경에 존재하는 세균종의 배양에 필요한 최적 환경이 다름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사람의 접촉이 잦은 기기의 표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이 존재함을 확인했으며, 이는 병원성 세균의 전달에 의한 감염에 사용자들이 노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면역력이 떨어지는 어린이, 임산부, 환자 및 노인의 경우, 각종 접촉 작동식 기기의 사용 전・후에는 충분한 위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isolate bacteria on the surface of elevator buttons, ATM screens, and smartphone surfaces. Through this process, bacterial diversity and presence of pathogens on the surface were evaluated for the prospective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Methods : Bacterial samples collected from elevator buttons, ATM screen surfaces, and smartphone surfaces were analyzed their CFUs using LB agar plates. Unique colonies in the plat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the 16S rRNA analysis. The diversity of the bacteria in the collected samples containing high number of CFU was monitored using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Results and Discussion : Among the instrument surfaces, the elevator buttons showed the highest CFU (average: 163±17 CFU/㎠). The samples from smartphone and ATM surfaces have 66±13 and 6 ± 1 CFU, respectively. The CFU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all collected samples had active bacterial species, and the 16S rRNA analysis indicated that pathogenic bacteria were existed on the surface on the buttons and screens. The DGGE analysis showed that higher diversity of bacterial species were found compare to the CFU analysis of the samples. This difference in the bacterial diversity is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in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of each bacterial species in the samples. Conclusions : The user interfaces of the elevators, ATMs, and smartphones contained high diversity of normal and pathogenic bacterial species. Thus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transfer of pathogenic bacteria in children, pregnant women, immunocompromised patients.

      • 한국의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기업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지역을 중심으로

        김상길,송학진 동의공업대학 2001 論文集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verview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identify some problems arising from those entries into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Southeast Asian Region including Vietnam and explore Korean companies' strategies to enter into those markets by means of FDI. Korean firms must consider linkages via FDI to be a strategic choice that enhances their competitiveness in a globalized market, rather than a profit-seeking motive aimed at extracting economic rent from a foreign market. Korean firms should build up firm-specific advantage based on core competence that have application in a variety of areas to provide a broad base for expansion, be widely leveraged and lower country risk.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in foreign markets, Korean companies take a prudent consideration of their strategy and structure, factor conditions, market conditions and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