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융의 심리적 유형론에 따른 인도유아 보슬레의 점심시간 태도에 대한 이해

        송태규 ( Tae Gue So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연구논총 Vol.36 No.2

        본 연구는 인도 유아 보슬레가 유치원 점심시간에 나타내는 행동은 어떠한가에 대해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인도에서 국제 이주한 외국인 유아 보슬레이다. 자료 수집은 참여 관찰과 면담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전사, 코딩 분석한 자료를 융의 심리학적 유형으로 해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즐거운 마음으로 냠냠하는 양태(樣態), 시큰둥한 마음으로 거부하는 양태(樣態), 마음이 움직이는 대로 친구를 대하는 양태(樣態)로 세 개 주제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개인의 타고난 성향은 변하지 않지만 보슬레가 보여주는 태도는 배식 메뉴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고 상황에 따라 시시각각(時時刻刻) 다른 태도를 보였다. 특히, 한식만을 단체 급식에서 부정적인 행동을 자주 보였다. 이러한 태도가 내적이든, 외적이든 극단적으로 치우치게 되면 신체적 이상이나 신경쇠약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즐거운 식사를 하며 유치원 일과 적응과 균형적이고 효과적인 성격의 발달로 이어지도록 도와야 함을 시사해 준다. This research is a study of the behavior of an Indian child``s lunchtime experience at a Korean kindergarten. The study method was an examination of a series of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bout the experience. Observing the behavior of the Indian child l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ttitude and analyze Jung``s psychological attitude changes during the kindergarten lunch hours. We interviewed the child``s mother to learn about the child’s experience an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her family life. The examination suggests Jung``s psychological typology to understand the change of the Indian child’s attitude depending the food menu offered during her lunch hours as stated below The inner-state of the child like other ordinary individuals tends to be unchanged to any kinds of foods. However, the Indian child reacted differently to a variety of the menu items offered during the lunch hours. In particular, she showed a very negative attitude to the serving of only Korean foods. It implies that the child shows a significant attitude depending on the situation with which foods she is served for lunch. The child’s behavior deserves serious attention and psychological treatment to resolve the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facilitates kindergarten teacher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n enjoyable lunch menu and provides them with guidance for balancing their child education and food planning.

      • KCI등재

        유치원 교육과정의 관심 기반 채택 쓰기 모델에 기반한 교사의 실행

        송태규(Song, Tae-Gue)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국가 수준에서 개발된 유치원 교육과정이 실제 유치원 현장에서 어떻게 실행되었는지형태를 살피고자 관심 기반 채택 쓰기 모델에 기반한 쓰기를 선정하였다. 유치원 교육과정은 관심 기반채택 쓰기 모델에 기반한 내용과 실행이 조화되어야 교육과정의 방향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이행하는것이며 교사가 적용해야만 실질적인 개발의 의미가 있다. 연구 방법은 국가 수준에서 개발된 유치원 교육과정의 관심 기반 채택 쓰기 모델에 기반한 내용 도입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 총론, 해설집 등을 분석한 다음, 유치원 교육과정의 관심 기반 채택 쓰기 모델에 기반한 내용이 교사에 의해 실행되는 형태를 이해하기위해 취할 수 있는 형태를 문헌 분석, 개별 면담, 수업 관찰을 진행하였다. 진행된 내용은 체계적으로 설문지제작에 활용되었으며, 관심 기반 채택 쓰기 모델에 기반한 내용이 교실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설문지로실행형태를 검토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국가 수준에서 개발된 유치원 교육과정의 관심 기반 채택 쓰기 모델에기반한 내용이 실제로 실행되는 과정에서 교사의 판단 등에 따라 변형되었으며, 수용 불가능한 교수⋅학습방법을 더 많이 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쓰기 실행형태는 국가 수준에서 개발된유치원 교육과정의 관심 기반 채택 쓰기 모델에 기반한 내용에 대한 이해와 실천하기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제공할 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지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교사가 실행 상황에서 교수⋅학습 자료를 충실하게적용할 수 있도록 관심 기반 채택 쓰기 모델에 기반한 쓰기에 대한 별도 지침이 일부 필요하며, 쓰기 교육의교수⋅학습 자료 사용 방법은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rn-based adoption writing to examine how kindergarten teachers implemented curriculum which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level.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the analysis of General Guidelines and Explanatory Book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document analysi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class observations. The methods were intended to understand original intentions of introducing the concern-based adoption wri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he teachers’ actual practices of the writing in classroo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the concern-based adoption writing model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developed at the national level was often modifi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eachers’ judgment in their practices and they tended to implement in more varied and unacceptable ways in their classrooms. The writing practice in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for not only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concern-based adoption writing content of kindergarten curriculums at the national level, but also for suggesting the need for more detailed guidance. In order for teachers to appl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practical situations, separate guidelines on concern-based adoption writing are required. Moreover, an emphasis on methods of using such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writing education is crucial.

      • KCI등재

        유아교육 실천과정에 관한 연구

        송태규(Tae gue S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국가 차원에서 실천된 거시적인 관점의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누리과정의 문제를 도출하여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은 유아 교육기관의 운영, 관련법, 갈등, 기관의 평가, 유아 교육 과정, 재정지원정책에 관한 내용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해결과제는 유아교육과 보육 관련 법령과 역할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으로 단일이관하여 일원화 관리체제에서 운영하는 국가기관의 역할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국가기관과 유아 교육기관은 상호보완적인 평가를 통해 유아 교육기관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국가는 유아 교육기관의 운영 시간과 프로그램의 실태를 점검하고 누리과정 운영의 적정기준에 따라 국가가 관리하며 교사 자격에 관한 규정과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국가의 유아교육 정책은 장기적인 사전 계획, 충분한 조정, 채택, 시행이 요구되며 유아교육의 정책에 대한 심의 및 대책 위원회를 구성하고 역할을 강화하여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된 실천을 추진할 필요성이 제고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plan implied from the problems of the Nuri curriculum focused on the national education for preschoolers in the macroscopic viewpoint. The subject of this study analyzed on the operation of preschool institutions, relatives laws, conflicts, institutional evaluation, the curriculum of the infantile educations and financial aid policies. The main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e necessity of single departmental transfer with the efforts for enforcing the role of national institution that operates in the management structure for unification and for the integration between the relative laws and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First, the national institution and infantile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be operated in the effective way. Second, the government ha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program and the operating hours of the institutions in the adequate criteria of the operation of Nuri curriculum. Furthermore, the necessary policies that are suggested in this study are based on the long-term pre-planned, sufficient adjustments, adoption and the practices.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practice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rough enforcing the roles and organizing the relative committee for the policies for the infantil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과 관리 : 영어교육 활동의 실태 및 인식을 중심으로

        송태규(Tae Gue S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0 지방교육경영 Vol.23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있어서 영어교육 활동을 규명하고, 유치원 교육과정이 국가 수준의 공통 과정으로서 생애 초기의 공정한 출발이 되도록 교육과정의 운영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 원장을 대상으로 면담,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과 영어교육활동의 실태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은 시간, 내용, 방법 등에 있어서 설립 유형에 따라 분명하게 차이가 있었다. 사립 유치원은 분과화된 영어 교과 형식의 교육 활동과 종일반 돌봄과정을 정교사의 수업에 편성하여 운영하기도 한다. 유치원 교육과정이 국가 수준의 공통 과정으로서 생애 초기의 공정한 출발을 기대하려면 설립 유형에 상관없이 정규 교육과정 운영시간은 분과화된 교과 형식을 탈피한 정규수업을 정교사가 실행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어교육 활동은 분과화된 영어 교과 형식의 학습이 아니라 다양한 흥미 영역에서 주제와 연계된 놀이에 통합된 형식으로 유아 스스로 실천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의 활동은 영어교육이 아니라 다문화와 관련하여 의사소통 영역에서 수업의 주제와 통합적으로 내용에서 연계되어야 하며 유아 중심, 놀이 중심의 흥미 통합 자율 활동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사립 유치원은 정교사의 1일 4-5시간 교육과정 운영이 명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종일반 교사 재정부터 지원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사점은 모든 유아가 동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생애 초기의 공정한 출발을 보장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nglish education activities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o manage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so that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s a common process at the national level and is a fair start in the early life.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interview with teachers and directors of state-run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answering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clearly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establishment in terms of time, content, and method. Private kindergartens also organize formal education activities and general care courses in specialized English courses in regular teachers' classes. In conclusion, In order for the kindergarten curriculum to be a common course at the national level, to expect a fair start in the early stages of life, regardless of the type of establishment, the regular curriculum is expected to carry out regular classes that break away from the divided curriculum. English education activities should be improved to practice by children themselves in an integrated form to play related to themes in various areas of interest, rather than learning in a subdivided English curriculum. The activitie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in content with the subject of the lesson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not in English education, but in multiculturalism, and should be an autonomous activity that integrates interests centered on infants and play. In addition, private kindergartens should be supported from the end-of-day teacher's finances so that the full-time teacher can operate the curriculum 4-5 hours a day. Also, The implication is to request that all infants be guaranteed a fair start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homogeneous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치원 만 5세 교육과정의 읽기 쓰기 실행 현황 및 고찰

        송태규(Tae Gue S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1 지방교육경영 Vol.24 No.2

        본 연구는 유치원 만 5세 교육과정의 읽기 쓰기 실행이 취학 후에도 학습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유아 중심, 놀이 중심의 교육과정을 발달 수준과 적합하게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검토된 실행형태는 교육과정 운영 개선 자료 개발과 흥미와 관심이 반영되고 개별 특성에 적절한 실행이 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유치원 만 5세 교육과정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검토한 다음 내용 체계, 활동 유형 등을 분석한 다음, 만 5세 교사와 만 5세 유아를 면담, 관찰하였다. 자료 수집은 유치원의 만 5세 집중 관찰과 면담, 추가적인 부분 관찰, 면담 등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실행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실행은 초보적 읽기 쓰기, 문자 지도가 함께 이행되고 있다. 유치원 만 5세 국공립 교사는 유치원 만 5세 사립 교사보다 교수·학습 자료 사용 측면에서 만 5세 교육과정의 읽기 쓰기의 개발 의도를 실천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읽기 쓰기 실행은 교사마다 다른 교수·학습 방법으로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친숙한 것, 일상생활을 매개로 놀이처럼 자연스러운 읽기와 쓰기를 이행하는 반면, 흥미와 관심이 무시된 읽기와 쓰기도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의 교수·학습은 연령에 상관없이 내부의 흥미, 즐거움의 동기를 이용하여 지각, 언어 기초 발달 등의 조화로운 성장과 잠재능력의 발달을 도와야 한다. 따라서 만 5세 사립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발자가 의도한 바대로 유아의 자발적인 동기, 스스로 해봄, 유익함 스스로 알기, 자연스럽게 알기, 쓰기의 즐거움 느끼기 등을 적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만 5세 교육과정은 몰입 내용을 중심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성해야 하며, 초등학교 1학년 연계 교육은 강조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since reading and writing practice of the 5-year-old kindergarten curriculum affects learning even after enrollment, it is necessary to clearly grasp whether the toddler-centered and play-centered curriculum is organized and operated to suit the developmental level. The review form of implementation should reflect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nterests and interests, and suggest a direction for appropriate implementation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 was review mainly on literature related to the 5-year-old kindergarten curriculum, analyzed the content system and activity type, and then interviewed and observed a 5-year-old teacher and a 5-year-old child. For data collection, the method of action study was applied by responding to the intensive observation and interview, additional partial observations, and interview at the age of 5 in kindergarten.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basic literacy and text instruction are being implemented together. Kindergarten 5-year-old national and public teachers practice the intention of developing reading and writing in the 5-year-old curriculum in terms of us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n private 5-year-old kindergarten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literacy practice of the curriculum was guided by diffe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ach teacher. It was found that teachers performed natural reading and writing like play by means of familiar things and daily life, while reading and writing that ignores interest and interest were also performe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should support the harmonious growth of perception and basic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abilities, regardless of age, using internal interests and motives for enjoyment. Therefore, a 5-year-old private teacher should apply the children's voluntary motivation, self-improvement, self-knowledge, natural knowledge, and the enjoyment of writing, as intended by the developer i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Accordingly, the 5-year-old curriculum should form a close cooperation system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entering on the content of immersion, and the first-year elementary school-linked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족의 언어소통 능력과 유아 교육기관의 사회생활에 관한 연구

        송태규(Tae Gue S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1 지방교육경영 Vol.24 No.1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족의 언어소통 능력에 따른 유아 교육기관의 사회생활을 알아보고 다문화가정의 유아가 어떤 분야의 요소를 유아 교육기관 입학 전에 갖추어야 하는지 탐색한 다음, 긍정적인 사회생활을 위한 체계적인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B대학교에서 매주 A요일마다 다문화 강의를 수강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유아 교육기관의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상생활에서 모국어만 사용하는 어머니의 유아는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고 어머니 모국어로 의사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모국어와 한국어를 이중 사용하는 어머니의 유아는 한국어로 의사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소통을 위하여 한국어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와 유아가 어떤 언어의 재료를 수용했느냐에 따라 교육적인 환경에서 문법적인 언어소통과 개인의 사회적 관계는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모국어를 사용하는 어머니의 유아는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유아 교육기관에서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다문화가정의 유아가 교육기관에 적응하려면 만 3세 전부터 한국어 원음 듣기와 시·지각자료에 노출될 수 있는 사회 환경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특히 정보화 시대에 언어와 사회 발달 장애의 예방 차원에서 안정된 교육의 체계적 정착은 다문화가족의 만 3세 이하 자녀에게 한국어 원음 듣기 언어모델을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양식으로 제시하고 다문화 가족은 실천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basic data of a systematic plan for a positive social life by examining the social lif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language communication 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exploring what field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have before ente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rying to find a purpose for presen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ho are taking multicultural lectures every week A weekly at University B and taking car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infants of mothers who speak only their mother tongue in their daily life do not speak Korean but communicate in their mother tongue. Second, it was found that infants of mothers who use both their mother tongue and Korean in their daily life communicate in Korean. Third,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support was necessary for language communicati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grammatical language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social relations appear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what language materials were accepted by mothers and toddl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fants of mothers who speak their mother tongue have difficulties in social lif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ue to communication limitations. This implies that in order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dapt to educational institutions, a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listen to the original Korean sound and be exposed to visual and perceptual materials from before the age of 3 must be prepared. In particular, in the information age, in order to prevent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disorders, the systematic settlement of stable education should provide a language model for listening to the original Korean sound to children under the age of 3 in a multicultural family in a digital form and practice for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