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7·18세기 新田開墾의 확대와 經營形態

        宋讚燮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85 韓國史論 Vol.12 No.-

        머리말 一. 新田開墾의 확대 1. 신전개간의 배경 2. 堰畓·坰畓의 개간 二. 개간주체와 노동력 동원 1. 개간의 주체 2. 개간에 동원된 노동력 三. 개간지의 경영형태 1. 堰畓·坰畓의 소유구조 2. 堰畓·坰畓의 경영실태 맺음말

      • KCI등재

        1862년 농민항쟁기 조관 출신들의 활동과 정부의 대책 -김인섭, 이명윤, 장응표, 고제환 등을 중심으로-

        송찬섭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69 No.-

        In 1862, with the outbreak of the “peasant uprising,” starting with Danseong and Jinju, one of the things that the government made sense of was the participation of influential figures.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objective criteria for punishment or anti-punishment, but it is possible that a family with an old office or a former bureaucrat may be included here. There must be a large number of people from the villages, but I am very curious about their position in the peasant uprising. From the standpoint of planning a protest, if you actively use a renowned consortium in the village, you can reinforce the argument and it will greatly help to gather the participants. However, it is unlikely that the actual logic will be used to persuade them to participate. The activities of renowned artists such as Jogwan Kim In-seop, Lee Myung-yoon, Jang Eung-pyo, and Ko Je-hwan, who were involved in the 1862 uprising, were examined and what they claimed was. Although they did not hold offices for a long time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y had a considerable reputation in the village as a native of Jogwan. For this reason, as seen in the cases of Lee Myung-yoon and Jang Eung-pyo, they were refraining from participating in expressing opinions of local residents such as Hyanghoe. They were identified as the lead of the uprising by the government after protests in each town. They were generally pointed out by the dispatched officials rather than the auditor's report. It seems that there is also a view of the province from the center. In particular, it seems that there is a boundary for the Gyeongsang-do region. When discussing the influence of a person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re will be a number of conditions, such as academic, family, government office, and relationship network. The government office is one of them, but the importance seems to be very high. In 1862, there must have been more cases in which Jo Kwan participated in the war for government. In particular,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laces where Anhaeoksa(按覈使), Seonmusa(宣撫使), and Amhaengeosa(暗行御史) were not dispatched were relatively unexposed. 1862년 단성, 진주를 시작으로 ‘농민항쟁’이 발발하면서 정부에서 촉각을 내세운 것 중 하나가 주도인물을 파악하는 일이었다. 그 가운데 지방의 명망가들도 참여하였는데, 이들의 객관적 기준을 정하기가 어려울 수 있지만 누대 관직을 지닌 집안이거나 조관 출신은 여기에 포함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고을마다 조관 출신은 상당수가 있을텐데 이들이 농민항쟁에 어떤 입장인지는 매우 중요하다. 시위를 계획하는 입장에서는 고을에서 명망이 있는 조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주장을 강화할 수 있고, 참여자를 결집시키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실제 어떤 논리로 이들을 설득시켜 참여시킬 것인지는 쉽지 않을 듯하다. 이 글에서는 1862년 항쟁에 연루되었던 조관 출신 김인섭, 이명윤, 장응표, 고제환 등은 어떤 활동을 보였으며 이들의 주장은 어떠했나 살펴보았다. 이들은 중앙에서 관직을 오랫동안 하지는 못했지만 조관 출신으로서 고을에서 상당한 명망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이명윤, 장응표의 사례에서 보듯이 향회 등 지방민의 의견표출에는 가급적 참여를 자제하고 있었다. 이들은 각 고을에서 시위가 벌어진 뒤 정부에 의해 항쟁의 주모자로 파악되었다. 이들은 대체로 감사의 장계보고보다도 중앙파견관리들로부터 지적받았다. 여기에는 중앙에서 지방을 바라보는 시각도 들어있는 듯하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 대한 경계가 들어있지 않을까 한다. 전통사회의 한 인물의 영향력을 거론할 때 학문, 가문, 관직, 관계망 등 여러 조건이 있을텐데 관직은 그 가운데 하나지만 중요성은 매우 컸던 듯하다. 1862년 조관 출신이 대관투쟁에 참여한 사례는 더 있었으리라 본다. 특히 안핵사, 선무사, 암행어사가 파견되지 않은 곳은 상대적으로 노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 이 시기 다른 지역의 조관출신이라든가, 나아가 그들 외에도 실질적으로 영향력이 컸던 명망가들의 동향을 살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1862년 농민항쟁 과정의 공론의 형성 : 향회와 민회를 중심으로

        송찬섭 역사학연구소 2023 역사연구 Vol.0 No.47

        1862년 농민항쟁이라는 적극적인 저항이 계속 표출되는 데에는 사회경제적 원인이 있겠지만 이를 계기로 여론을 모아 집단적인 행동으로 끌고 나가는 인물과 조직이 필요했을 것이다. 이를 규명하려면 향회, 민회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부세운영에 있어서 수령이 일방적으로 책정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면서 향회에서 논의하여 결정하였다. 이는 향촌사회와 더불어 향회의 변화를 가져왔다. 면.이임 등 실무자들을 참여시키고, 나아가서는 조관, 사족들에게도 참여를 권 하여 그들의 권위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일시적으로 수령과 이서층이 자신 의 힘과 회유를 통해 그들이 제시한 부세 운영을 수용하도록 강제하면서 그들의 권한이 확대될 수도 있었다. 이제는 읍민들의 의사가 반영되어야 수취를 원만하게 할 수 있었고 부세에 대한 정보를 민간에서 얻을 수 있는 계기도 되었다. 향회에서는 반드시 수령의 의사를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반대할 수 있었으며, 면 리 실무자들도 수취상의 부담을 느끼게 되고 사족, 조관들도 자신들도 납부자로서 저항을 할 수 있었다. 향회는 이제 공론의 장으로서 서로간의 의견이 첨예하게 맞서는 공간일 수 있었다. 한편 수령이 힘을 이용하여 향회를 일방적으로 이끌게 되면 불만의 세력들이 곧바로 별도로 공론의 장을 구성하였다. 이 또한 향회의 반대 세력이 중심일수 도 있고, 별도로 일부 세력이 앞장서서 읍민들을 끌어들일 수도 있었다. 관에서 열린 향회에 대해 곧바로 반발하면서 공론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반관적인 향회라고 규정하였다. 양반 장두를 내세워 감영의 의송을 목표로 하기도 하지만 곧장 관가로 뛰어들어 공격하는 모습은 1862년 시점과도 관련이 있다. 진주는 이회, 면회 등을 거치면서 도회까지 진행되는 과정을 가장 잘 보여준 다. 이 점은 기존 향회와는 논의구조가 다르다는 점이 나타나고 실제 읍회, 도회, 또는 민회라는 이름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향회와는 별도의 조직으로 규정하 였다. 개령에서도 면이임을 적극 활용하였지만 모의 주도자가 있어서 끌고 나갔으며, 이들이 민회까지 개최하여 읍치를 공격하였다. 1862년에는 여러 고을에 서 이런 형태의 항쟁이 전개되었다. 읍회, 도회, 민회는 각각 명확하게 어떤 개념인지 분명하지는 않다. 각기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겠지만 편의적으로는 ‘민’이라는 주체의 성장이라는 측면과 맞추어 민회가 가장 적절한 용어가 아닐까 한다. 민회는 고을을 대표하거나 항상적인 조직은 아니지만 1862년 폭발적인 농민항쟁을 이끌어낸 변화에 대해 적극 의미를 부여하기에 좋을 듯하다. 또한 그 뒤로도 비상한 여건에 놓였을 때 비상한 방식으로 ‘공론의 장’을 형성하여 저항해 나가는 일은 한층 쉬워졌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862년 농민항쟁기 수령의 수습활동과 삼정책-개령현감 李鍾祥의 사례-

        송찬섭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71 No.-

        What were the local governors’ role during the Peasant Struggle in the year 1862? They were a cause of the Peasant Struggle in a way, because the Peasant Struggle started with a disorder of the three policies(三政) and the officers’ harsh exploit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 few local governors who made an effort to redress the disorder of the three policies. Especially, the officer who replaced in the struggle area as a local governor is very interesting. Lee Jong-sang was from Gyeongju. He came of a good family, and had high level of academic, good personal connections. He made good use of these resources to do a role as a local governor during the Peasant Struggle. He would settle the public sentiment as the officer of Gaeryeng, and made a recommendation to the Government and Royal Secret Commissioner(暗行御史) to remedy the disorder of the three policies. He showed an enthusiastic attitude in a social problem. Gaeryeng became stable apace by the virtue of his effort, so he received a favorable evaluation by Inspection Commissioner(宣撫使). Meanwhile, many of persons close to Lee Jong-sang suggested new three policies to Government. It was a product of social network in that time. Lee Jong-sang made a social intercourse with the officers in Gyeongju, and he made some proposals for national policy to the central bureaucracies. It means he had various channel for political and social communication. In this sense, he w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Peasant Struggle although he couldn’t solve the social problems. Like this, we can find the cases as a collective intelligence to solve the problems in Korea history. These activities mean not individual capability but Korean society’s capability to resolve a social conflict in 19C. 이 글은 1862년 농민항쟁이 삼남일대에서 일어났을때 고을을 직접 통치하는 수령들의 수습활동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농민항쟁이 대부분 삼정의 구조적 폐단과 수령, 이서들의 수탈적 운영에서 비롯되었으니 수령들이 항쟁 발발의 원인인 경우도 적지 않을 것이다. 반면 삼정 폐단이 심화되는 것을 우려하여 이를 해결하려고 노력했던 수령도 있을 수 있다. 특히 항쟁지역에 교체되어 들어간 수령은 어떤 자격으로 어떤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였을까 생각해 볼만하다. 19세기를 살아온 경주출신 이종상은 두드러진 인물은 아니지만 가문의 배경이 있고, 학문적으로도 상당한 수준이며, 관료들이나 학자들간의 교유관계도 어느 정도 갖추었다. 이를 충분히 활용하여 1862년 농민항쟁이라는 큰 사건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농민항쟁이 발발한 현장인 개령현감으로서 수습해 나갔고, 그리고 국왕에 대한 삼정책과 암행어사에게 삼정폐단에 대한 건의를 하였으며, 경상감사 등에게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농민항쟁과 같은 당시 사회문제에 적극적인 인물로 주목할 수 있다. 이같은 노력의 결과 개령은 짧은 기간 내 고을이 안정되었고, 이종상은 선무사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이종상과 교유했던 인물 가운데 상당수가 삼정책을 제출했다는 점도 이채롭다. 사회적 교유망을 통해 당시 사회의 심각한 문제를 함께 논의했던 결과가 아닐까 한다. 평소에도 그는 경상감사와 경주부윤으로 내려온 여러 인물들과도 적극적으로 교유하였으며, 또한 중앙관료에게도 여러 차례 의견을 제시하여 중앙과 지방 사족 사이에 다양한 의견 통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이종상은 직접 농민항쟁에 직접 관련된 인물 못지않게 항쟁의 한 가운데서 활동했던 인물로 볼 수도 있다. 비록 농민들의 바람을 해결하지는 못했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교유망을 통해 수습에 적극 노력했던 것이다. 이처럼 사회전체의 갈등 속에서 큰 사건이 일어났을 때 다양한 곳에서 다양하게 지혜를 모으고 활동한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개인 차원이 아니라 사회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당시 우리 사회의 역량과도 통할 것이다.

      • KCI등재

        1862년 농민항쟁기 암행어사의 파견과 성과

        송찬섭 역사학연구소 2020 역사연구 Vol.- No.38

        In 1862, when the peasant struggles, which originated from Jinju(晉州), spread to the Samnam(三南) area, the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special officials such as Anhaeksa(按覈使), Seonmusa(宣撫使), and Secret Royal Inspectors(暗行御史) for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to admonish the people and to correct corrup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the Secret Royal Inspectors, who were dispatched at peacetime as well. Whereas Anhaeksa and Seonmusa were mostly the mainstay of the officials, most of the Secret Royal Inspectors were young and competent officials who ha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within 3-4 years. They were promising and talented vassals, who were close to the king and mainly worked at Samsa(三司). As many as 10 Secret Royal Inspectors were sent to the Samnam area and visited 35 provinces, where the peasant uprisings concentrated, so they witnessed the realities. They worked much more in various fields than usual. Generally Secret Royal Inspectors were responsible for monitoring the local governors(守令), but this time they were tasked with investigating the cause of uprising and took the roles of Anhaeksa and Seonmusa occasionally. In order to work multiply, their activities seemed to be exposed more than usual. Sometimes they gave information to local governors in advance, and received measures against the three tax system(三政) from local governors. Also they heard appeals from the villagers about local corruption. They carried out many activities such as inspecting the local account and corruption, investigating the cause and circumstance of the peasant struggles, and seeking solution for the three tax system. They wrote letters to the king, which were Seogye(書契) reporting about the inspection of the local governors and Byoldan(別 單) about local issues. These documents help us to find out the overall state of the whole country, for that they contained not only specific local situations but also differences among provinces. In 1862, when a national crisis caused by peasant uprising in the Samnam area, the dispatch of the Secret Royal Inspectors played a certain role in correcting the three tax system and eradicating corruption of local governments. The central government tried to strengthen the Secret Royal Inspector system because it seemed that the system was the best way to obtain information on realities of local people and misdeeds of the local governors. 1862년 농민항쟁이 삼남 일대로 퍼져나가자 중앙에서는 조사와 처벌, 효유와 폐단의 이정을 위해 안핵사, 선무사, 암행어사 등 가장 많은 관리를 파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 가운데 평시에도 자주 파견하였던 암행어사들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 살펴보았다. 안핵사, 선무사가 대체로 중견관료였던데 비해 암행어사는 대부분 과거를 통과한지 3~4년 정도밖에 되지 않은 젊고 유능한 신하들이 중심이었다. 이들은 촉망받는인재들이었고 삼사 중심으로 활동한 왕의 근신이었다. 삼남 일대에 10명이나 되는암행어사가 파견되어 모두 35곳을 돌아봤는데 이 지역이 농민항쟁이 집중적으로발발하였기에 자연히 그 실상을 목도할 수 있었다. 이들은 평시에 파견되었던 암행어사에 비해 훨씬 다양하게 활동하였다. 일반적으로 암행어사는 수령에 대한 감찰이 중심이라면 이때에는 이와 함께 항쟁의 원인을살펴 그 대책을 마련하고, 때로는 안핵이나 선무 활동까지 겸하기도 하였다. 다양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평시보다 활동이 상당히 노출될 수밖에 없었던 듯하다. 해당고을 수령에게 미리 통고를 하기도 하고, 수령으로부터 삼정에 대한 대책을 받기도하였다. 때로는 몰려든 고을민으로부터 읍폐에 관한 호소를 듣기도 하였다. 실제로 이들은 수령장부와 읍폐조사를 수행하면서 나아가 당시 농민항쟁의 원인과 상황을 조사하고 삼정대책에 대해 구체적인 안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하였다. 이들은 서계를 통해 수령에 대한 감찰을, 별단을 통해 삼정을 비롯한 여러가지 고을 문제를 다루고 있어 개별 고을의 구체적인 상황뿐 아니라 지역에 따른 차이를 찾아볼 수 있으므로 당시 국가 전체적인 실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1862년 삼남 일대의 농민항쟁으로 국가적인 위기가 빚어진 상황에서 암행어사 파견은 삼정체제를 구폐하고 지방관과 이서층의 부정부패를 척결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조정에서도 지방민의 실태, 수령의 탐학 등 지역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장 잘 얻는 방법은 암행어사 제도라고 생각하고 강화하려고 하였다.

      • KCI등재
      • 1862년 농민 항쟁 파견관리 연구 : 안핵과 선무의 길

        송찬섭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0 통합인문학연구 Vol.2 No.2

        1862년은 조선 후기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해이다. 삼남을 중심으로 전 국 70여 개 고을에서 농민 항쟁이 일어났고 중앙에서는 안핵사, 선무사, 암행어사 등 다양한 형태로 수많은 중앙 관리를 파견했다. 왕이 중앙과 지방의 관리와 전국 사족들에게 삼정이정을 물어서 이정책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1862년은 기록할 만한 해이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그 가운데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안핵사와, 처음으로 선무사를 파견하였다는 점을 주목하고 자 한다. 안핵사는 사건 죄인에 대한 조사 처벌의 임무를 맡았으며 1862년 모두 6개 지역에 5명이 파견되었다. 지방민들에 대해 말 그대로 선무를 담당한 선무사는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두 지역에 각각 한 명씩 파견되었다. 이러한 제도를 마련했다는 것은 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안핵사와 선무사의 자격은 대부분 명문 가문으로서 문과 급제 출신이었으며 중앙과 지방의 중요한 관직을 거친 인물이 었다. 아울러 암행어사로서 파견된 경험이 있어 파견관리의 임무를 수행하기에 적절하였다. 이들은 안핵과 선무라는 기본 임무를 띠고 현지에서 감사와 의논하며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 가운데는 순수하게 기본 임무만 수행한 경우도 있지만 일부 인사의 경우 부세 문제에 대한 처리와 대책을 마련하거나 삼정 개혁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이기도 하였다. 안핵의 경우 조사와 처벌을 목적으로 하는데,특히 처벌의 수위는 파견 시점이 중요한 듯하다. 초기에는 온건한 방향이 었다면 점차 확대되면서 처벌의 수위가 높아졌다. 한편으로는 어느 정도 파견관리의 성향도 좌우하였다. 이들이 일정한 역할을 함으로써 당시 지방에서 쌓였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수많은 중앙 관리를 파견한 것은 기존의 통치 구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을 역설적으로 보여 준다. 또한 이들의 활약만으로는 그간 축적되었던 지방의 부정부패와 부세 수탈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에는 이미 어려운 단계로 접어들었다. The Year 1862 may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ye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1392-1897). The year saw the appearance of the “Peasant Struggle” which took place in over 70 counties, mainly in the Samnam(三南) area. During this period, the central government had numerous high officials, such as ‘Anhaeksa(按覈使)’ or ‘Special Provincial High Officials,’ and ‘Seonmyusa(宣撫使), or ‘Local Province Missionaries,’ delegated to each local region where the struggle took place. The Year 1862 was cited as an epoch-making period in that royal kings had central and local officials and civil and military servants take responsibility for devising measures against the ‘Three Treasury Property Systems(三政),: ‘Field,’ ‘Conscription, and ‘Grain Exchang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paper focuses on this unique year in which the greatest number of ‘Annhaksa’ or ‘Special Provincial High Officials were delegated and when ‘Seonmyusa’ or ‘Local Province Missionaries’ were delega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As for ‘Annhaksa’ or ‘Special Provincial High Officials,’ it was their main duty to investigate and punish criminals involving certain cases. Throughout 1862, a total of five officials were delegated to six local areas. ‘Seonmyusa’ or ‘Local Province Missionaries’ were responsible for supervising local provincial citizens. It was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that such officials were delegated. Each missionary was delegated to two local parts. These measures evidence how serious the state of affairs was at that period in history. Those from aristocratic families who passed the civil exam were qualified to assume positions as ‘Anhaeksa’ or ‘Special Provincial High Officials’ and ‘Seonmyusa’ or ‘Local Province Missionaries.’ In addition, they had careers in which they had experience as high officials in both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Those who had been delegated to the position of ‘Amhaeng-eo-sa(暗行御史)’ or ‘Royal Secret Inspector,’ were qualified to perform their duties as delegates. As ‘Anhaeksa’ or ‘Special Provincial High Officials’ and ‘Seonmyusa’ or ‘Local Province Missionaries,’ they carried out their missions through discussions with local inspectors. Some of them took responsibility for doing their basic duties. Others, however, took steps to resolve issues surrounding tax imposition. This was shown in the case of Park Kyu Su. As for Anhaeksa’ or ‘Special Provincial High Officials,’ their main duty was to investigate and punish criminals. The intensity of punishmen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ime in which the delegates began to assume their mission. In the early period, when they were just about to conduct their duties, they tended to punish criminals at moderate levels. As time passed, they took tougher measures to punish criminals at more severe levels. On the other hand, the disposition of delegates exerted a somewhat important influence. Their mission contributed to resolving issues that faced the local government. Given that a number of central officials were delegated to local religions, however, this clearly showed that established ruling structures were not operating smoothly. The situation had become too difficult for delegates to resolve much of local corruption and illegal tax imposition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