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화명나방 발생의 Phenological Simulation에 관한 연구

        송유한,최승윤,현재선,김창효 한국응용곤충학회 198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1 No.4

        송유한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최승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현재선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김창효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A computer simul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explore the phonology of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Korea. The phenological system model bas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ed time delay was written in the computer program 'INSECT' and simulated with the estimated parameters of the effective day-degrees (DEL) and the order of time delay (K)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system model. The accumulated emergence curves obtained from the phenological model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observed light trap data at the early and late stage of the moth emergence in 1978. The differences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emergence date were five to six days in the locations of Suweon and Chuncheon, while it was only two to three days in Iri, Daegu, Boseong, and Milyang. The phenological model should be further improved for simulation of field population changes by adding the information of the time delay process in each developmental stage, the age distribution of overwintered population, and the limiting factors of the borer mortality.

      • KCI등재

        온도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습성

        송유한,하태기,정대열,K.L. Heong 한국응용곤충학회 199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4 No.3

        멸구류 포식성 천적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온도에 따른 벼멸구 알 공격능력과 기능반응의 변화를 20, 23, 26, 29, 32, $35^{\circ}C$ 등 6개 온도에서 검정하였다. 등검은 황록장님노린재는 산란된지 1일에서 4일된 이런시기의 벼멸구 알을 선호하였으며, 이중 3일된 벼멸구 알을 가장 선호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능력은 Holling의 제2형 기능반응의 Rogers(1972) 진정포식자 모형에 잘 부합되었다. 기능반응의 포식자 탐색율(a)은 $32^{\circ}C$까지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35^{\circ}C$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처리시간(Th)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만히 감소되었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온도별, 밀도별 공격위치의 선호성은 일반적으로 저밀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밀도에서는 위쪽에 산란된 알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온도가 높아짐에따라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The functional responses of the female Cyrtorhinus lividipennis on brown planthopper (BPH), Nilaparvata lugens, eggs and their predation behavior were investigated at six temperature conditions; 20, 23, 26, 29, 32, and $35^{\circ}C$. C. lividipennis was found to prefer young BPH eggs, especially 3-day-old eggs the most. The functional responses for female C. lividipennis on BPH eggs fitted the Holling's Type-I true predator-prey Rogers' (1972) model at all temperatures tested except $35^{\circ}C$ at which the negative Th value was produced. With the temperature increased up to 32$^{\circ}C$, the instantaneous attacking rate(a) increased from 0.1923 at $20^{\circ}C$ to 0.5085 at $32^{\circ}C$, while the handling time (Th) was gradually decreased as low as 0.0151 at $32^{\circ}C$. C. lividipenis preferred the BPH eggs laid on the upper part of rice stem when the BPH egg density was hig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when the egg density was low. The preference was more obvious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above 29$^{\circ}C$.

      • 이화명충과 과수잎말이나방류 해충의 합성 Pheromone에 관한 연구

        송유한,송혜영,김학기,장영덕,Song Y. H.,Song H. Y.,Kim H. K.,Chang Y. D.,Lippold P. C. 한국응용곤충학회 1978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17 No.1

        본 시험은 이화명충과 과수의 잎말이류 및 Codling Moth의 Pheromone등 모두 15종의 합성 Pheromone을 도입하여 국내해충의 예찰과 방제에 이용가능한 Pheromone의 선발코자 수행하였다. 이화명충 Pheromone은 미국의 열대생산물연구소에서 합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과수해충의 Pheromone은 Comell 대학과 Zoecon회사에서 공급받았다. 본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화명충의 미교미 암컷을 넣은 Trap이 합성 Pheromone을 넣은 Trap보다 숫컷을 유인하는 능력이 컸다. 2. 이화명충의 합성 Pheromone은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인력이 감소하여 발생정점을 잡을 수 없었다. 3. 과수잎말이류 해충중 복숭아순나방이 OFM과 LAW Pheromone에 가장 많이 유인되었다. 4. OBLR, RBLR, SPAR, 그리고 ArcM Pheromone에 수종의 과수잎말이류 나방이 다수 유인되었으나 기타 8종의 Pheromone에는 유인나방의 수가 적었다. 5. 본 시험의 결과로 보아 해충의 발생예찰에 이용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는 합성 Phreomone과 이들의 적용해충은 다음과 같다. OFM, LAW: 복숭아순나방 OBLR: 사과무늬잎말이나방 OBLR, RBLR, ArcM: 한국잎말이나방, 검모무늬 잎말이나방, 사과잎말이나방 SPAR, TBM Pyroderces속의 일종 Pheromones of several insect species were evaluated in a screening program in terms of their usefulness in pest forecasting and control in Korea. Species included striped rite borer (Chilo suppressalis) and tortricid moths, which attack deciduous fruit, and colding moth. The pheromone of striped rice borer was supplied through the courtesy of the Tropical Products Institute, London. Pheromones of other species were obtained from Cornell University and the Zoecon Corporation of Palo Alto, California. 'rho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Live traps containing virgin striped rice borer female moths were more effective in attracting male moths than were the pheromone traps. 2. Si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triped rice borer pheromone decreased dramatically with time, it was difficult to estimate the peak tine of the borer emergence. 3. The primary species trapped in deciduous fruit orchards was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ha molesta. The traps were baited with the phermones, OFM and LAW. 4. Several moth species were trapped with OBLR. RBLR. SPAR and ArcM phermones but few were trapped with the remaining eight tortricid pheromones. 5. The following tortricid pheromones might be useful for forecasting the species given: OFM, LAW : Grapholitha molesta OBLR : Archips breviprecanus OBLH, RBLR, ArcM : Archippus coreensis Archips fuscocupreanus Hoshinoa longicellana SPAR, TBM ; Phyroderces sp.

      • 경종법에 변천에 따르는 이화명나방 발생상의 변동에 관한 연구

        송유한,최승윤,현재선,Song Yoo Han,Choi Seung Yoon,Hyun Jai Sun 한국응용곤충학회 1982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산하의 41개 병새충발생예찰소에서 1966년부터 1979년까지 14년간 조사된 이화명나방의 유살자료를 기초로 기상자료, 품종의 변천, 경종법의 변동, 기지 농업기술의 변천에 따르는 이화명나방 발생양상의 변동을 분석함으로써 금후 본 해충의 발생예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화명나방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의 연구용 Model을 구성하는 기초로 삼고자 수행하여 다음과 같을 결과를 얻었다. 1. 이화명나방의 유살수는 벼 통일계 신품종이 재배되기 전인 1971년 이전에 비해 확대보급된 1972년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특히 1화기의 감소가 현저하였다.2. 이화명 나방의 1화기에 대한 2화기 유살량의 상대비율은 지리산 부근의 산간지와 추풍령 이북지방에서 높고 기타지방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통일계 신품종이 보급된 1972년 이후 그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3. 이화명나방의 $50\%$ 유살일은 1,2화기 공히 동남해안지방에서 늦었고 중서부로 갈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4. 1977년 이후 3개년간의 2화기 유살량, 2화기의 1화기에 대한 유살량의 상대비율, 그리고 2화기 $50\%$ 유살일에 있어서 추풍령을 경개로 남북간에 뚜렷한 생태적 층화현상을 보였다. 5. 2화기 증식량은 6월과 7월중의 평균기온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6월중의 강우량과도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편 1화기의 증식량은 전년 9,10,11월 및 동년 3월중의 온도와 각각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년 9월초순의 강우량과 동년 3월의 강우량 및 5월의 습도와 각각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이화명나방의 1,2화기 $50\%$ 유살일까지의 유효적산오도는 상${\cdot}$하 한림계온도 $30^{\circ}\~10^{\circ}C$의 범위에서 년차변이가 $5\%$ 이내로서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하였으며 이 해충이 1새데 경과에 소요되는 적산오도는 $600\~900$ Day Degree $^{\circ}C$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moth occurrence of striped rice ba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relation to climatic factors, rice varieties, and cultural practices. The light trap data from 41 forecasting stations for 14 years from 1966 to 1979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changes in the time and amount of borer occurrence in conne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rice varieties, the accumulated effective day-degree and its variation for completing one generation, and the climatic factors affecting the moth occurrence. The total number of moths caught by light traps in both spring and summer generations were considerably decreased with the wide cultivation of new rice varieties. In fact, the spring moths were remarkably decreased since the new varieties were introduced in 1972. The occurrence ratio of summer moths against the preceeding spring moths was higher in the middle region and middle southern mountainous area than the other regions. Its high ratio of regions was annually expanded from the middle region to the southern region. The $50\%$ emergence dates of both generations were later in the southeastern region than in the middle regi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learly shown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 of Chupungryeong in terms of the occurrence of summer moths, the ratio of occurrence of summer moths to the preceeding spring moths, and $50\%$ emergence dates of the summer moths during the years of $1977\~1979$. The ratio of the summer moth occurrence to the preceeding gene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in lune and July,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late June. The ratio of spring moth occurrence over the preceeding gene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in September, October, November, and March, respectively, wherea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precipitation in early September and March, and the average humidity in early May. The effective day-degree for one generation was in the range from 600 to 900 DD at upper threshold $30^{\circ}C$ and lower threshold $10^{\circ}C$.

      • KCI등재

        진주와 남해지역의 논거미상에 관한 연구

        송유한,이영걸 한국환경농학회 199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3 No.1

        논 주변에 서식하는 거미의 종류, 우점종, 월동상태, 증식상황, 이동상황, 년중 밀도변동상황 등을 파악하여 종합적 해충방제체계에 있어서 논거미의 보호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경남 진주와 남해에서 1987년 12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논주변을 논둑, 보리밭, 휴한답, 본답 등으로 나누어 월 2-4회 채집하고 종류와, 각 발육태별 밀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거미는 총 10과 31속 34종이 채집되며, 논둑에서 34종, 보리밭에서 16종, 휴한답에서 17종, 본답에서 18종으로 나타나 논둑에서 종 구성이 다양하였다. 2. 진주와 남해의 각 채집장소별 논둑과 보리밭에서는 별늑대거미(Pardosa astrigera L. Koch), 휴한답에서는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 (B. et S.)), 본답에서는 턱거미(Pachygnatha clercki Sunduvall)로 나타났다. 3. 논 주변 거미의 서식장소, 월동태, 거미줄 유무등 생태학적 특성과 科(Family) 또는 屬(Genera) 수준의 분류학적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9개의 거미군(Group)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Group 1 - 부이표늑대거미류(Pirata spp.); Group 2 - 턱거미류(Pachygnatha clercki); Group 3 - 소형정주성거미류(Theridiidae, Erigonidae, Linypiidae); Group 4 - 갈거미류(Tetragnatha spp.); Group 5 - 황닷거미류(Dolomedes surfureus); Group 6 - 긴마디늑대거미류(Pardosa spp.). Group 7 - 깡충거미류(Salticidae); Group 8 - 게거미류(Thomisidae); Group 9 - 염낭거미류(Clubionidae); 4. 9개 거미군 중 1-5군은 호습성 거미류로서 본 답기에 벼해충의 중요한 천적으로 여겨지며, 6-9군은 건조한 곳을 선호하는 거미류로서 논둑에서 월동중인 애멸구와 끝동매미충의 천적으로서 역할이 클 것으로 인식되었다. The fauna of spider species inhabited near paddy fields have been investigated in Chinju and Namhae areas. The spiders collected near the paddy fields in Chinju and Namhae areas were 34 species of 31 genera belonging to 10 families: 34 species on paddy levees; 16 species on barley fields; 17 species on fallow fields; and 18 species on paddy fields. The species diversity was the highest on paddy levee. The dominant species collected from each habitat near the paddy fields were Pardosa astrigera on the paddy levees and barley fields, Pirata subpiraticus on the fallow field, and Pachygnatha clercki on the paddy fields. The spiders inhabited near rice fields can be classified into nine groups based on the ecological and taxonomical characteristics: 1. Pirata spp. 2. Pachygnatha clercki 3. Teridiidae, Erigonidae, Linypidae 4. Tetragnatha spp. 5. Dolomedes surfureus 6. Pardosa spp. 7. Salticidae 8. Thomisidae 9. Clubionidae Among the nine spider groups, the spiders belong to the group 1-5 prefered wet ground or paddy to dry ground, in contrast to the group 6-9 which prefered to live on dry land. The difference of the habitat preference indicated that the former five groups do the important roll as pest predators in paddy, while the latter four group mainly suppress the overwintering pest populations on paddy lev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