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할연기(role-play)를 위한 사례개발 방법론 탐색: 명목집단법(NGT)을 활용하여

        송아름이,지현경,정다은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지방행정연수원은 2016년 직무전문교육과정 중 ‘지방행정 중견관리자 과정’으로 소통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설계해 줄 것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연구팀에 의뢰하였다. 교육과정은 지방 5, 6급 공무원 40명을 대상으로 5일(35시간) 동안 이루어지게 될 예정이다. 이중 본 사례의 주제인 명목집단법을 활용한 역할연기는 교육과정 3일차에 7시간 편성되어 있다. 역할연기는 소통의 원리와 절차를 학습한 이후 이를 적용하고 종합적으로 실습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때, 사용성 평가를 통해 지방 5,6급 공무원들이 업무를 하며 전형적으로 부딪히게 되는 사례를 수집하여 반영할 것이 요구되었으며 학습자 특성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소극적인 교육 활동 참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 또한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반영한 독자적인 역할연기 교육기법의 개발 및 구체화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적절한 방법론이 부재하였고 탐색을 통해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하게 되었다. 본 교육과정에서는 역할연기를 수행하게 될 소그룹이 문제 상황을 해결해나가는 시나리오를 작성하는데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다. 먼저 상황을 제시하고 개별 조원에게 포스트잇에 자신의 문제해결방식을 작성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한 후, 개별 사례 중 최선의 방법을 선정한다. 이러한 방법을 주어진 상황별로 반복하여 시나리오를 완성하고 조별 리허설 및 발표를 실시한다.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역할연기를 통해 설계자가 개발하여 제시한 다양한 상황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이 개별적이면서도 적극적으로 시나리오 작성 및 역할연기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자가당착에 빠진 ‘절차’로서의 영화검열─1970년대 (위장)합작영화들의 검열과정을 중심으로

        송아름 한국극예술학회 201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4

        The political stability desired by the government and erasure for this were the most basic framework to describe film censorship in the 1970s. Accordingly, rather than the substance of the censorship, the intention of the censorship based on a political stance was placed at the center. However, it is necessary to call to mind that the censorship of films was one of the tasks conducted centering around complicated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a lot of documents. Unless there is an error on documents after going through complicated procedures set forth by the authorities, it is a natural procedure to pass censorship. This suggests that when the goals of the state and the film industry were interconnected, there can be an easy conspiracy between the two subjects. Hong Kong-South Korean-made films that began increasing explosively in the 1970s show the other side of this censorship very clearly.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constraints in procedures, costs and importation quota of the importation of Hong Kong action films, which could guarantee box office hits, ‘co-production’ with Hong Kong was similar to Hong Kong films. Thus, it was an easy way to export, attracting the audience, and it was not necessary to care about the import quota. However, the films by joint production were changed into (disguised) films by joint production, which brought and released those already produced in Hong Kong, and the state permitted a large number of illegal films. This resulted from the state’s administration-centrism that could not but permit them, first, unless there were administrative and procedural problems and connivance for the ‘great cause’ of growths of exports and the industry, regardless of the goal to create ‘national arts.’ Like this, censorship is a flexible system that should consider multilateral matters rather than one-way suppression. 정권이 원하는 정치적 안정과 이를 위한 삭제는 1970년대 영화검열을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틀이었다. 이로 인해 검열의 실체보다는 정치적 입장을 바탕으로 한 검열의 의도가 검열의 중심에 놓여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영화의 검열은 복잡한 행정절차와 수많은 서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업무의 하나였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당국이 정한 복잡한 절차를 완벽하게 거쳐 서류상 오류가 없을 때 검열에 통과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국가와 영화계의 목표가 맞물렸을 때, 두 주체사이의 수월한 공모의 장이 마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970대에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홍콩과의 합작영화들은 이러한 검열의 이면을 매우 명확하게 보여준다. 흥행이 보증되는 홍콩 액션영화들의 수입은 절차와 비용, 수입쿼터 등에 상당한 제약이 있었던 반면 홍콩과의 ‘합작’은 홍콩영화와 유사해 관객을 끌어들이면서도 수입쿼터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되며 수출에까지 용이한 ‘한국’영화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었다. 이후 합작영화들은 이미 홍콩에서 만들어진 영화들을 들여와 개봉하는 ‘위장’합작영화로 변질되는데, 국가는 상당수의 불법적인 영화들을 허용한다. 이는 ‘민족예술’을 창조하겠다는 목표와는 상관없이, 행정과 절차상 문제가 없다면 일단 승인할 수밖에 없었던 국가의 행정중심주의와 수출과 산업의 성장이라는 ‘대의’를 위해 묵인한 결과였다. 이처럼 검열은 일방향적인 억압이라기보다 다각적인 사항을 고려해야 할 유동적인 체계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Immunopathology and Immunotherapy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송아름,이상은,김종훈 대한면역학회 2022 Immune Network Vol.22 No.1

        Recently, there have been impressive advancements in understanding of the immune mechanisms underlying cutaneous inflammatory diseases. To understand these diseases on a deeper level and clarify the therapeutic targets more precisely, numerous studies including in vitro experiments, animal models, and clinical trials have been conducted. This has resulted in a paradigm shift from non-specific suppression of the immune system to selective, targeted immunotherapies. These approaches target the molecular pathways and cytokines responsible for generating inflammatory conditions and reinforcing feedback mechanisms to aggravate inflammation. Among the numerous types of skin inflammation, psoriasis and atopic dermatitis (AD) are common chronic cutaneous inflammatory diseases. Psoriasis is a IL-17–mediated disease driven by IL-23, while AD is predominantly mediated by Th2 immunity. Autoimmune bullous diseases are autoantibody-mediated blistering disorders, including pemphigus and bullous pemphigoid. Alopecia areata is an organ-specific autoimmune disease mediated by CD8+ T-cells that targets hair follicles. This review will give an updated,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pathophysiology and immune mechanisms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Moreover,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current and upcoming immunotherapie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Analyses of Glomus Tumors: An Institutional Experience of 29 Cases

        송아름,유대산,조미연,김종훈,노미령 대한피부과학회 2022 대한피부과학회지 Vol.60 No.8

        Background: Glomus tumors are benign mesenchymal neoplasms originating from the subcutaneous glomus body. It is often described as a painful nodule accompanied by tenderness and temperature sensitivity. Objective: To analyz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glomus tumors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characteristics of glomus tumors and those of the patient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biopsy specimens of 29 cases of glomus tumors diagnosed betweenJune 2006 and May 2021 at a single tertiary hospital. Res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2.6:1, and the mean age of onset was 44.3 years. All cases presented witha solitary lesion, and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the fingernail (15 cases, 51.7%). Sixteen tumors (55.2%) werelocated in the digits, all of which were subungual tumors. Among these, nine tumors (56.3%) were observed in thenail bed, and seven (43.7%) were observed in the nail matrix. Thirteen patients (44.8%) had extradigital tumors. Histopathologically, 12 cases were solid glomus tumors (41.4%), 15 were glomangiomas (51.7%), and one was aglomangiomyoma (3.4%). Myxoid stromal changes were observed in nine cases (31.0%), all of which weresubungual tumors. All tumors were removed. Postoperative nail deformities were observed in eight cases (50% ofsubungual tumors). Conclusion: At our clinic, glomus tumors were commonly seen as solitary nodules accompanied by pain ortenderness. More than half of the tumors were located in the subungual area, mostly in the fingernails. Tumorremoval alleviated the symptoms in most cases, but often resulted in residual nail dystrophy.

      • KCI등재

        영화 〈기적(汽笛)〉의 표절시비사건이 드러낸 심의기구의 위상

        송아름(Song, A-Rum)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6

        이 글은 표절논란에 휘말렸던 영화 〈기적〉(이만희, 1967)을 둘러싸고 벌어진 심의기구들의 공방전을 통해 1960년대 중반의 심의체계와 각 기구 간의 미묘한 긴장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대체로 표절시비에 휘말렸던 작품은 영화사에서 지워지거나, 표절의 흔적을 걷어낸 채 다른 성과로 찬사를 받는다. 이는 표절을 대할 때에 늘 표절여부를 가리는 것이 표절문제의 핵심이라는 생각이 만들어낸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표절은 ‘표절이냐 아니냐’와 같은 결과에 치중한 시각을 넘어설 때 논의의 시야를 넓힐 수 있다. 영화 〈기적〉은 표절의혹이 불거지고 1년이 훌쩍 지나서야 공보부로부터(애매하지만) 표절이 아니라는 의견을 받아낸 이례적인 작품이다. 검열서류를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표절시비를 가리는 과정과 그 사이에서 드러나는 제작사, 한국영화업자협회,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 공보부 등과 같은 영화업자와 심의기구 사이의 알력은 1960년대 중반의 심의체계와 함께 각 단체의 위상을 재정립시킨다. 강력한 의견을 내보였던 한국영화업자협회,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의 의견을 무시하는 제작사, 단호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공보부 등은 표절이라는 이름 뒤에 감추어졌던 영화계 권익투쟁의 장을 보여준다. This study reveals the subtle tens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sorship System and each organization in the mid-1960s through the offensive and defensive battles that surrounded the film Whistle (Lee, Man-hee, 1967), which was caught in a controversy of plagiarism. Usually, most works caught in a plagiarism scandal are removed from the film history or, on the contrary praised for their expurgated edition.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 question whether it is plagiarism or not, which always appear when plagiarism arises. However, the discussion on plagiarism can be widened when one moves beyond a result-focused perspective such as “whether it is plagiarism or not.” The film Whistle is an exceptional work that was determined not to be plagiarism (though equivocally) more than one year after the suspicion of plagiarism was brought up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s. The process of distinguishing whether a work is plagiarized can be concretely seen through censorship documents and the friction between film producers, such as the Korean Film Trade Association, the Korea Arts and Culture Ethics Committe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s, and the Censorship Board that re-establishes the status of each organization, along with the Censorship System in the mid-1960s. The Korean Film Trade Association that express their powerful thoughts and opinions, film productions that neglect the opinion of the Korea Arts and Culture Ethics Committe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s that cannot make hard-nosed decisions show the scene of struggles for rights and interests hidden behind the name of plagiar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