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산록경사지 토양인 안룡통의 분류 및 생성

        송관철 ( Kwan Cheol Song ),현병근 ( Byung Keun Hyun ),손연규 ( Yeon Kyu Sonn ),장용선 ( Yong Seon Zhang ),박찬원 ( Chan Won Park ),장병춘 ( Byoung Choon Jang ) 한국환경농학회 201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Anryo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Anryong series distributed on the mountain foot slop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Anryo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Anryong series has brown (7.5YR 4/4) loam Ap horizon (0-22 cm), strong brown (7.5YR 4/6) cobbly clay loam BAt horizon (22-35 cm), strong brown (7.5YR 4/6) cobbly clay loam Bt1 horizon (35-55 cm), reddish brown (5YR 5/4) cobbly clay loam Bt2 horizon (55-82 cm), and brown (7.5YR 5/4) cobbly clay loam Bt3 horizon (82-120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22 to 120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lf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Hapludults. It has 18-35%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ve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Anryo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 not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Ultic Hapludalfs. Anryong series occur on mountain foot slope positions in colluvial materials derived from acid and intermediate crystalline rocks. They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clay mineral weathering, translocation of clays to accumulate in an argillic horizon, and leaching of base-forming cations from the profile for relatively long periods under humid and temperate climates in Korea.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송관철(Kwan-Cheol Song),이의연(Yi-Ran Li)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재조명하고 국제적인 CSR 핵심가치에 맞춰 국내 기업들의 CSR이 어떻게 발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개념적 연구를 수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론적으로 한국의 CSR체계나 기준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접근하고, 이를 글로벌 기준과 비교하여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아직도 사회공헌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에, 글로벌 기업들의 CSR활동은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노동, 환경 등 기업 내·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전반에 걸쳐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특히 그들은 기업의 가치사슬 내에서 안정적인 CSR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게다가 기업 간의 거래관계에서도 사회적 책임이 검증된 기업과의 거래를 기본으로 수행하고 있어, 원청과 1차 하청기업, 다시 1차하청기업과 2차 하정기업간의 관계 모두에서 CSR활동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회 전반에 걸쳐 CSR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는 CSR을 바탕으로 보다 나은 근로조건, 보다 나은 생활환경을 유인하기 때문에 기업의 CSR활동이 사회 전반의 발전에 기여하는 동력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CSR 방향은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를 더 나은 사회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와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primarily aimed at conducting conceptual research that reinforc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gives direction to how local firms CSRs should evolve in line with global CSR core values. To this end, a comprehensive approach was made to the Korean CSR system or standard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derived by comparing them with global standards. While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are still focused on social contribution, CSR activities of global companies take social responsibility not only in various business areas but also in the circumstance surrounding companies, labor, environment and others. In particular, they are conducting stable CSR activities within the value chain of companies. Moreover, the CSR function is required in both the original and the primary sub-contractors and the secondary sub-contractors. This can confirm that the CSR activities of companie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as they attract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a better living environment based on the CSR. Therefore, the CSR direction presented by the study is meaningful and worthwhile in that it can contribute not only to Korean companies global advancement but also to transform our society into a better society.

      • KCI등재

        제주도 토양인 용흥통의 분류 및 생성

        송관철(Kwan-Cheol Song),현병근(Byung-Geun Hyun),문경환(Kyung-Hwan Moon),전승종(Seung-Jong Jeon),임한철(Han-Cheol L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6

        제주도 남부 해안지대의 용암류대지에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주로 분포하며,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용흥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용흥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은 3.2∼3.4%로 andic 토양 특성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나, 인산보유능이 72.7∼84.5%로 85% 미만이며, 용적밀도가 1.21∼1.42 Mg m?³으로 0.90 Mg m?³ 이상이다. 따라서 용흥통은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Andisols로 분류할 수 없다. 반면에 BAt층에서 Bt4층 (15∼150 ㎝)까지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합)가 35% 미만이므로 Andisols, 또는 Alf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Argillic 층위의 상부 15 ㎝ 깊이에서 유기탄소 함량이 9 g ㎏?¹ 이상이므로 아목은 Humults로 분류된다. 무기질 토양표면에서 150 ㎝ 이내 깊이에 암석질이나 준암석질 접촉면 등이 없으며, 무기질 토양표면에서 150 ㎝까지 깊이의 argillic 층위에서 점토함량이 최대치와 비교하여 20% 이상 감소되는 층위가 없으므로 대군은 Palehumults로 분류된다.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분포하나 Ap층의 용적밀도가 1.21 Mg m?³으로 andic 아군의 분류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아군은 Typic Palehumults로 분류된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점토함량이 35% 이상이고, therm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므로 용흥통은 fine, mixed, themic family of Typic Hapludalfs가 아니라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Palehum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비교적 건조한 제주도 서부 및 북부 해안지방에는 층형 규산염 점토광물을 주광물로 하고 있는 non-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되고, 보다 습윤한 그외의 지역에서는 알로판 또는 Al-유기복합체가 주가되는 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용흥통의 경우 강우량이 1,800 ㎜ 내외로 비교적 많은 제주도 남부 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면서도 조면암, 조면암질 안산암 및 이들 암석에서 유래된 화산회를 모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non-Andisols 토양으로 생성 발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Andisols로 생성 발달되지 않은 용흥통은 안정한 지형인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충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 집적작용과염기 용탈작용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이 생성되고, 기준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생성발달한 것이다. 그러나 Andisols로 분류되는 토양들과 인접하여 분포하고 있어서 Andisols 특성을 상당 부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Ultisols 중에서도 Humults로 생성발달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Yongheu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Yongheu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contains 3.2~3.4% oxalate extractable (Al + 1/2 Fe), less than 85% phosphate retention, and higher bulk density than 0.90 Mg m?³. That can not be classified as Andisol. But it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15 to 150 ㎝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Tha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ndisol or Alfisol. The typifying pedon has 0.9 % or more organic carbon in the upper 15 ㎝ of the argillic horizon and accordingly, can be classified as Humult. It has a clay distribution in which the percentage of clay does not decrese from its maximum amount by 20% or more within a depth of 150 ㎝ from the mineral soil surface, and keys out as Palehum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Palehumult. That has 35 % 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Yongheu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Palehumults, not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lfs. Most soil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in Jeju island which have a humid climate are developed as Andisols. But Yongheung series distributed in this areas and derived from mainly trachyte, trachytic andesite, and volcanic ash are developed as Ultisols.

      • KCI등재

        부곡통의 분류

        송관철(Kwan-Cheol Song),현병근(Byung-Geun Hyun),손연규(Yeon-Kyu Sonn),홍석영(Suk-Young Hong),김이현(Yi-Hyun Kim),최은영(Eun-Young Choe)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6

        Alfisols로 분류되고 있는 부곡통을 재분류하기 위하여 부곡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Ap층 (0∼22 ㎝)은 진갈색 (7.5YR 4/6)의 양토이고, BAt층 (22∼41 ㎝)은 갈색 (7.5YR 4/4)의 식양토, Bt1층 (41∼59 ㎝)은 진갈색 (7.5YR 4/6)의 미사질식양토, Bt2층 (59∼78 ㎝)은 진갈색 (7.5YR 4/6)의 미사질식양토, Btx1층 (78∼90 ㎝)은 진갈색(7.5YR 4/6)의 미사질식양토, Btx2층 (90∼160 ㎝)은 갈색 (7.5YR 4/4)의 미사질식양토이다. 부곡통은 화강편마암, 화강암, 또는 편암지대의 충적붕적층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약한 경사지에 분포하며, 대부분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Ap층 (0∼22 ㎝)은 ochric 감식표층, BAt층에서 Btx2층 (22∼160 ㎝)까지는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78∼160 ㎝ 깊이에 fragipan을 보유하고 있다. 기준깊이인 fragipan 상부 경계 아래 75 ㎝ 깊이인 153 ㎝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0% 미만으로 낮다. 따라서 부곡통은 Alf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부곡통은 Udults 아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무기질 토양표면으로부터 100 ㎝ 이내 깊이에 fragipan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Fragiudults 대군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 우리나라 토양으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Fragiudults이다. 부곡통은 Fragiudults의 전형적인 특성을 나타내므로 아군은 Typic Fragiudults로 분류된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토성속이 fine silty이고, mes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한다. 따라서 부곡통은 Fine loamy, mixed, mesic family of Typic Fragiudalfs가 아니라 Fin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Typic Fragiud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Bugo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Bugo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Bugog series has strong brown (7.5YR 4/6) loam Ap horizon (0~22 ㎝), brown (7.5YR 4/4) clay loam BAt horizon (22~41 ㎝), strong brown (7.5YR 4/6) silty clay loam Bt1 horizon (41~59 ㎝), strong brown (7.5YR 4/6) silty clay loam Bt2 horizon (59~78 ㎝), brown (7.5YR 4/4) silty clay loam Btx1 horizon(78~90 ㎝), and brown (7.5YR 4/4) Btx2 horizon(90~160 ㎝). That occurs on swale foot slope in area of mainly granite gneiss, granite, and schist rock materials.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22 to more than 160 ㎝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75 ㎝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fragipan. Tha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lfisol. The pedon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ult. That has a fragipan with an upper boundary within 100 ㎝ of the mineral soil surface, and keys out as Fragiud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Fragiudult. That has 18% to 35%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Bugo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Typic Fragiudults, not as fine loamy, mixed, mesic family of Typic Fragiudal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