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릉지 토양인 아산통의 분류 및 생성

        송관철(Kwan-Cheol Song),현병근(Byung-Geun Hyun),손연규(Yeon-Kyu Sonn),박찬원(Chan-Won Park),전현정(Hyen-Chung Chun),문용희(Yong-Hee Mo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Soil Taxonomy 분류체계 변화에 대응하여 구릉지에 널리 분포하는 토양으로 Inceptisols인 Typic Dystrudepts로 분류되고 있는 아산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산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A층 (0∼18 cm)은 암황갈색 (10YR 4/4)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고, BA층 (18∼30 cm)은 진갈색 (7.5YR 5/6)의 자갈이 있는 양토, Bt1층 (30∼52 cm)은 적색 (2.5YR 4/6)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Bt2층 (52∼98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C층 (98∼160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다. 구릉지 잔적층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주로 임지로 이용되고 있다. udic 토양수분상과 mes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며, 배수 양호하다. 아산통은 0∼18 cm 깊이에 ochric 감식표층을 보유하고, 30∼98 cm 깊이에서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argillic층 상부경계에서 125 cm 아래 깊이인 155 cm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7.8%로 35% 미만이다. 따라서 아산통은 Incept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Udults로 분류할 수 있으며,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Typic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토성속이 식양질이고, 토양온도상이 mesic 온도상이기 때문에 아산통은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Dystrudepts가 아니라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로 재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여 지형이 안정되어 있는 구릉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침식이 일어나는 것에 비하여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이 우선되고 있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는 토양으로 생성 발달되었다. 또한 Alfisols과 Ultisols을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기준인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서 Alfisols이 아니라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발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Asan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Asan series distributed on the rolling to hilly areas.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Asan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Asan series has dark yellowish brown (10YR 4/4) gravelly loam Ap horizon (0<SUP>-1</SUP>8 cm), strong brown (7.5YR 5/6) gravelly clay loam BA horizon (18-30 cm), red (2.5YR 4/6) gravelly clay loam Bt1 horizon (30-52 cm), red (2.5YR 4/8) gravelly clay loam Bt2 horizon (52-98 cm), and red (2.5YR 4/8) gravelly clay loam C horizon (98<SUP>-1</SUP>60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30 to 98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Incept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Hapludults. It has 18-35%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Asan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 not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Dystrudepts. Asan series occur on rolling to hilly areas in residual materials derived from granite gneiss, schist, and gneiss rocks. They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clay mineral weathering, translocation of clays to accumulate in an argillic horizon, and leaching of base-forming cations from the profile for relatively long periods under humid and temperate climates in Korea.

      • KCI등재

        작업장 민주성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의 조절효과

        송관철(Kwancheol Song),신은종(Eunjong Shi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4

        이 연구는 작업장의 민주성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이 영향관계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적 역할을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민주성과 사회적 자본 형성 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가치와 조직 원리에서 차이를 보이는 직원협동조합과 일반 기업(주식회사)을 비교분석했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직원협동조합에서 근무하는 근로자(121명)와 기업에서 근무하는 근로자(185명) 등 총 306명에 대한 설문조사다. 분석결과, 근로자들이 지각하는 민주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 형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업장의 민주성이 높을수록 근로자들이 상호 호혜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며 그 결과 사회적 자본이 상대적으로 더 축적됨을 의미한다. 변혁적 리더십 역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민주성과 사회자본 형성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직원협동조합에서는 조절효과가 뚜렷이 발견되고 있는 반면, 일반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이 궁극적 가치와 운영원리에서 차이가 있는 양 집단에서 서로 다르게 기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causality between workplace democracy and the social capital at the workplace level.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is relationship. In particular, the focus is put on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corporations and workers’ cooperatives which are distinguished in terms of primary goals, values and the organizational principles. This study uses the survey conducted on workers (121employees in the workers’ cooperative and 185 employees in corporations). We found the positive causality in which the workplace democrac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t the workplace level. It means that the democracy at the workplace functions as a universalistic ele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social capital through promoting trust, mutual-reciprocity, and democratic norms. The evidence also shows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mpacts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cracy and social capital, however, differ along with the workers’cooperatives and corporations. While we can find the positive moderating roles of the leadership in the sample of workers’ cooperatives,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leadership’s role in the case of corporation.

      • KCI등재

        제주도 토양인 제주통의 분류 및 생성

        송관철(Kwan-Cheol Song),현병근(Byung-Geun Hyun),문경환(Kyung-Hwan Moon),전승종(Seung-Jong Jeon),임한철(Han-Cheol Lim),이신찬(Shin-Cha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2

        제주도 중산간지대의 용암류대지에 분포하며 현무암 및 현무암에서 유래된 화산분출쇄설물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And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제주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제주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제주통은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이 1.3~2.1%, 인산보유능이 65.3~72.2%, 용적밀도가 0.99~1.27 Mg m?³으로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Andisols로 분류할 수 없다. 반면에 22~150 ㎝ 깊이에서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토층에서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 낮기 때문에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제주통은 argillic층의 상부 15 ㎝ 깊이에서의 유기탄소 함량이 0.9% 이상이므로 Humults 아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기준깊이에서 fragipan, kandic층, sombric층, plinthite 등을 보유하지 않으며, Haplohum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제주통은 무기질 토양 표면에서 75 ㎝ 이내 깊이에서 세토의 용적밀도가 1.0 Mg m?³ 이하이고,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이 1.0% 이상인 토층의 두께가 18 ㎝ 이상이므로 Andic Haplohumults로 분류 할 수 있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점토함량이 35% 이상이고, therm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므로 제주통은 Ashy,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nds가 아니라 Fine, mixed, themic family of Andic Haplohum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비교적 건조한 제주도 서부 및 북부 해안지방에는 non-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되고, 보다 습윤한 그 외의 지역에서는 알로판 또는 Al-유기복합체가 주가 되는 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한다. 제주도 서부와 북부 지역에서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낮아지고 강우량이 많아져 증발산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Andisols이 생성되기 시작한다. 제주도 북부 중산간 지역의 용암류대지에 분포하는 제주통은 And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생성 발달되고 있다. 그러나 non-Andisols 토양에서 Andisols 토양이 분포하는 전이 지대에 분포하고 있어서 Andisols로 분류되지는 않으나 그 특성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Ultisols의 Andic 아군으로 발달되고 있다. Andisols로 생성 발달되지 않은 제주통은 안정한 지형인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충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 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 층이 생성되고,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양이온 합)가 35% 미만인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생성발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Jeju Island is a volanic island which is located about 96 ㎞ south of Korean Peninsula. Volcanic ejecta, and volcaniclastic materials are widespread as soil parent materials throughout the island. Soils on the isl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volcanic ash soi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Jeju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Jeju series in Jeju Isl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Jeju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has dark brown (10YR3/3) silt clay loam A horizon (0~22 ㎝), strong brown (7.5YR4/6) silty clay BAt horizon (22~43 ㎝), brown (7.5YR4/4) silty clay Bt1 horizon (43~80 ㎝), brown (7.5YR4/6) silty clay loam Bt2 horizon (80~105 ㎝), and brown (10YR 5/4) silty clay loam Bt3 horizon (105~150 ㎝). It is developed in elevated lava plain, and are derived from basalt, and pyroclastic materials. The typifying pedon contains 1.3~2.1% oxalate extractable (Al + 1/2 Fe), less than 85% phosphate retention, and higher bulk density than 0.90 Mg m?³. That can not be classified as Andisol. But it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22 to 150 ㎝,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Tha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ndisol. Its has 0.9% or more organic carbon in the upper 15 ㎝ of the argillic horizon, and can be classified as Humult. It dose not have fragipan, kandic horizon, sombric horizon, plinthite, etc. in the given depths, and key out as Haplohumult. A hoizon (0~22 ㎝) has a fine-earth fraction with both a bulk density of 1.0 Mg ㎝?³ or less, and Al plus 1/2 Fe percentages (by ammonium oxalate) totaling more than 1.0. Thus, it keys out as Andic Haplohumult. It has 35% 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thermic soil temperature regime. Jeju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mixed, themic family of Andic Haplohumults, not as ashy,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nds. In the western, and northern coastal areas which have a relatively dry climate in Jeju Island, non Andisols are widely distributed. Mean annual precipitation increase 110 ㎜, and mean annual temperature decrease 0.8 ℃ with increasing elevation of 100 m. In the western, and northern mid-mountaineous areas Andisols, and non Andisols are distributed simultaneously. Jeju series distributed mainly in the western and northern mid-mountaineous areas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Andic subgroup.

      • KCI등재

        연구보문 : 토양환경 ; 산록경사지 토양인 안룡통의 분류 및 생성

        송관철 ( Kwan Cheol Song ),현병근 ( Byung Keun Hyun ),손연규 ( Yeon Kyu Sonn ),장용선 ( Yong Seon Zhang ),박찬원 ( Chan Won Park ),장병춘 ( Byoung Choon Jang ) 한국환경농학회 201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Anryo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Anryong series distributed on the mountain foot slop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Anryo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Anryong series has brown (7.5YR 4/4) loam Ap horizon (0-22 cm), strong brown (7.5YR 4/6) cobbly clay loam BAt horizon (22-35 cm), strong brown (7.5YR 4/6) cobbly clay loam Bt1 horizon (35-55 cm), reddish brown (5YR 5/4) cobbly clay loam Bt2 horizon (55-82 cm), and brown (7.5YR 5/4) cobbly clay loam Bt3 horizon (82-120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22 to 120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lf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Hapludults. It has 18-35%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ve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Anryo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 not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Ultic Hapludalfs. Anryong series occur on mountain foot slope positions in colluvial materials derived from acid and intermediate crystalline rocks. They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clay mineral weathering, translocation of clays to accumulate in an argillic horizon, and leaching of base-forming cations from the profile for relatively long periods under humid and temperate climat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