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발에 따른 제주도 용암류대지 지형의 세분화에 관한 연구

        현병근(Byung-Keun Hyun),정연태(Yeon-Tae Jug),현근수(Geun-Soo Hyun),문경환(Kyung-Hwan Moon),송관철(Kwan-Cheol Song),손연규(Yeon-Kyu Sonn),장용선(Young-Seon Zhang),박찬원(Chan-Won Park),홍석영(Suk-Young Hong),김이현(Lee-Hyun Kim),최은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2

        제주도 화산회 토양중 용암류대지 지형에 대한 세분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용암류대지 지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매우 많은 토양통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많은 토양통이 용암류대지 지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세분화할 경우 훨씬 다양한 토양정보를 제공할수 있기 때문이다. 용암류대지 지형의 세분화연구를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암류대지에 해당하는 토양 38개를 대상으로 해발별로 토양통을 구분하였다. 해발별 구분은 50m 미만, 50-200m, 200-400, 400m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2. 해발별로 구분된 용암류대지 지형을 해발 50m미만은 용암류대지 하부, 50-200m는 용암류대지 중부, 200-400m와 400m 이상의 경우에는 용암류대지상부로 세분화하였다. 3. 용암류대지를 세분화한 지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용암류대지하부 지형은 토성이 미사식양질 내지식질, 배수등급은 다양하였으며, 평균유효토심은75.3cm, 평균자갈함량은 11.6%, 평균경사는 7.2%, 저해인자는 다양하였고, 토양목도 다양하였다. 용암류대지 중부지형은 토성은 미사식양질 내지 미사사양질, 배수등급은 양호 내지 매우양호, 평균유효토심은65.9cm, 평균자갈함량은 14.7%, 평균경사는 11.3%, 저해인자는 주로 화산회였으며, 토양목은 주로 Andisols과 Inceptisols이 분포하였다. 용암류대지상부지형은 토성은 미사식양질, 배수등급은 양호, 평균유효토심은 72.8cm , 평균자갈함량은 16.0%, 평균경사는 14.9%, 저해인자는 회산회와 석력이었으며, 토양목은 Andisols이 주로 분포하였다. 4. 수량성 향상 및 고품질 작물생산을 위하여 세분화된 용암류대지의 토양특성에 따른 토양관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to increase the practical use of soil survey data through the subdividing of lava shapes with soil sequences due to different elevations in Jeju. The numbers of soil series of lava topography had occupied many of whole soil series in Jeju. When its topography subdivide, it give more detailed soil information.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lava topography to subdivide lava topography were studied with 38 soil series according to elevation in Jeju. Division of elevation are less than 50m, 50m to 200m, and 200m to 400m and more than 400m. Name the depending on elevation, less than 50m is called lower part of lava, 50m to 200m is called middle part of lava, and 200m to 400m and more than 400m are called upper part of lava. The characteristics of lava subdivide are as follows; soil family texture of lower part of lava is fine silty to clayey, drainage classes are various, average of available soil depth is 75.3cm, average of gravely contents are 11.6%, average of slopeness is 7.2%, limiting factor are various and soil order are various. soil family texture of middle part of lava is fine silty to coarse silty, drainage classes are well to very well, average of available soil depth is 65.9cm, average of gravely contents are 14.7%, average of slopeness is 11.3%, limiting factor are ashy and soil order are Andisols and Inceptisols. Soil family texture of upper part of lave is fine silty, drainage classes are well, average of available soil depth is 72.8cm, average of gravely contents are 16.0%, average of slopeness is 14.9%, limiting factor are ashy and skeletal, and order are Andisols.

      • KCI등재

        우리나라 토양의 유효토심 결정시 저해인자에 관한 연구

        현병근(Byung-Keun Hyun),임상규(Sang-Kyu Rim),정석재(Sug-Jae Jung),손연규(Yeon-Kyu Sonn),송관철(Kwan-Cheol Song),노대철(Dae-Cheol Noh),이협성(Heob-Seung Lee),현근수(Geun-Soo Hyun),장용선(Yong-Seon Zhang),홍석영(Suk-Young Hong),박찬원( 한국토양비료학회 200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1 No.5

        유효토심은 작물의 선택, 시비, 토양관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우리나라 토양조사 결과 밝혀진 390개 토양통에 관한 토양단면기술과 물리화학성을 가지고 유효토심 결정시 고려해야 할 저해인자들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효토심 결정시 저해인자는 경반, 경사, 미숙, 분석, 사질, 석력, 암반, 염해, 저습, 중점, 특이산성, 화산회 토양과 저해인자가 없는 토양으로 구분하였다. 경반층이 저해인자인 토양통수는 5개, 경사 93, 미숙 29, 분석 5, 사질 42, 석력 47, 암반 19, 염해 8, 저습 22, 중점 32, 특이산성 3, 화산회 27개 토양통이었으며, 저해인자가 없는 토양은 58개 토양통으로 구분되었다. 저해인자별로 평균 유효토심이 깊은 순서는 미숙 > 경사 > 화산회 > 중점 > 사질 > 석력 > 경반 > 분석 > 저습 > 암반 > 특이산성 > 염해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저해인자를 가지고 있는 토양은 토지이용시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저해인자별로 개량함으로써 작물 뿌리를 충실하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The limiting factors to determine available soil depth were studied with 390 soil series in soil profile description and physicochemical data in Korean soils. The limiting factors were coarse sandy layer, gravel and skeletal layer, hardpan layer, cat clay layer, poorly drained layer, salt accumulated layer and bed rock layer so on. The soils of having limiting factors were 332 soil series, but soils without limiting factors were 58 soil series. Soils with limiting factors were, hardpan 5, slopeness 93, immature soil 29, cinder 5, sandy 42, gravel or skeletal 47, bedrock 19, high salt content 8, poorly drained soil 22, heavy clay 32, sulfate soil 3 and ash soil 27 etc. And the orders of available soil depth were immature > lopeness > ash > heavy clay > sandy > gravel or skeletal > hardpan > cindery > poorly drained > bedrock > acid sulfate soil > salt accumulated soil etc.

      • KCI등재

        제주도 토양인 제주통의 분류 및 생성

        송관철(Kwan-Cheol Song),현병근(Byung-Geun Hyun),문경환(Kyung-Hwan Moon),전승종(Seung-Jong Jeon),임한철(Han-Cheol Lim),이신찬(Shin-Cha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2

        제주도 중산간지대의 용암류대지에 분포하며 현무암 및 현무암에서 유래된 화산분출쇄설물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And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제주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제주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제주통은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이 1.3~2.1%, 인산보유능이 65.3~72.2%, 용적밀도가 0.99~1.27 Mg m?³으로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Andisols로 분류할 수 없다. 반면에 22~150 ㎝ 깊이에서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토층에서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 낮기 때문에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제주통은 argillic층의 상부 15 ㎝ 깊이에서의 유기탄소 함량이 0.9% 이상이므로 Humults 아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기준깊이에서 fragipan, kandic층, sombric층, plinthite 등을 보유하지 않으며, Haplohum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제주통은 무기질 토양 표면에서 75 ㎝ 이내 깊이에서 세토의 용적밀도가 1.0 Mg m?³ 이하이고,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이 1.0% 이상인 토층의 두께가 18 ㎝ 이상이므로 Andic Haplohumults로 분류 할 수 있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점토함량이 35% 이상이고, therm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므로 제주통은 Ashy,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nds가 아니라 Fine, mixed, themic family of Andic Haplohum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비교적 건조한 제주도 서부 및 북부 해안지방에는 non-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되고, 보다 습윤한 그 외의 지역에서는 알로판 또는 Al-유기복합체가 주가 되는 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한다. 제주도 서부와 북부 지역에서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낮아지고 강우량이 많아져 증발산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Andisols이 생성되기 시작한다. 제주도 북부 중산간 지역의 용암류대지에 분포하는 제주통은 And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생성 발달되고 있다. 그러나 non-Andisols 토양에서 Andisols 토양이 분포하는 전이 지대에 분포하고 있어서 Andisols로 분류되지는 않으나 그 특성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Ultisols의 Andic 아군으로 발달되고 있다. Andisols로 생성 발달되지 않은 제주통은 안정한 지형인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충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 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 층이 생성되고,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양이온 합)가 35% 미만인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생성발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Jeju Island is a volanic island which is located about 96 ㎞ south of Korean Peninsula. Volcanic ejecta, and volcaniclastic materials are widespread as soil parent materials throughout the island. Soils on the isl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volcanic ash soi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Jeju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Jeju series in Jeju Isl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Jeju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has dark brown (10YR3/3) silt clay loam A horizon (0~22 ㎝), strong brown (7.5YR4/6) silty clay BAt horizon (22~43 ㎝), brown (7.5YR4/4) silty clay Bt1 horizon (43~80 ㎝), brown (7.5YR4/6) silty clay loam Bt2 horizon (80~105 ㎝), and brown (10YR 5/4) silty clay loam Bt3 horizon (105~150 ㎝). It is developed in elevated lava plain, and are derived from basalt, and pyroclastic materials. The typifying pedon contains 1.3~2.1% oxalate extractable (Al + 1/2 Fe), less than 85% phosphate retention, and higher bulk density than 0.90 Mg m?³. That can not be classified as Andisol. But it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22 to 150 ㎝,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Tha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ndisol. Its has 0.9% or more organic carbon in the upper 15 ㎝ of the argillic horizon, and can be classified as Humult. It dose not have fragipan, kandic horizon, sombric horizon, plinthite, etc. in the given depths, and key out as Haplohumult. A hoizon (0~22 ㎝) has a fine-earth fraction with both a bulk density of 1.0 Mg ㎝?³ or less, and Al plus 1/2 Fe percentages (by ammonium oxalate) totaling more than 1.0. Thus, it keys out as Andic Haplohumult. It has 35% 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thermic soil temperature regime. Jeju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mixed, themic family of Andic Haplohumults, not as ashy,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nds. In the western, and northern coastal areas which have a relatively dry climate in Jeju Island, non Andisols are widely distributed. Mean annual precipitation increase 110 ㎜, and mean annual temperature decrease 0.8 ℃ with increasing elevation of 100 m. In the western, and northern mid-mountaineous areas Andisols, and non Andisols are distributed simultaneously. Jeju series distributed mainly in the western and northern mid-mountaineous areas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Andic subgroup.

      • KCI등재

        구릉지 토양인 아산통의 분류 및 생성

        송관철(Kwan-Cheol Song),현병근(Byung-Geun Hyun),손연규(Yeon-Kyu Sonn),박찬원(Chan-Won Park),전현정(Hyen-Chung Chun),문용희(Yong-Hee Mo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Soil Taxonomy 분류체계 변화에 대응하여 구릉지에 널리 분포하는 토양으로 Inceptisols인 Typic Dystrudepts로 분류되고 있는 아산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산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A층 (0∼18 cm)은 암황갈색 (10YR 4/4)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고, BA층 (18∼30 cm)은 진갈색 (7.5YR 5/6)의 자갈이 있는 양토, Bt1층 (30∼52 cm)은 적색 (2.5YR 4/6)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Bt2층 (52∼98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C층 (98∼160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다. 구릉지 잔적층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주로 임지로 이용되고 있다. udic 토양수분상과 mes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며, 배수 양호하다. 아산통은 0∼18 cm 깊이에 ochric 감식표층을 보유하고, 30∼98 cm 깊이에서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argillic층 상부경계에서 125 cm 아래 깊이인 155 cm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7.8%로 35% 미만이다. 따라서 아산통은 Incept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Udults로 분류할 수 있으며,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Typic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토성속이 식양질이고, 토양온도상이 mesic 온도상이기 때문에 아산통은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Dystrudepts가 아니라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로 재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여 지형이 안정되어 있는 구릉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침식이 일어나는 것에 비하여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이 우선되고 있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는 토양으로 생성 발달되었다. 또한 Alfisols과 Ultisols을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기준인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서 Alfisols이 아니라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발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Asan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Asan series distributed on the rolling to hilly areas.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Asan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Asan series has dark yellowish brown (10YR 4/4) gravelly loam Ap horizon (0<SUP>-1</SUP>8 cm), strong brown (7.5YR 5/6) gravelly clay loam BA horizon (18-30 cm), red (2.5YR 4/6) gravelly clay loam Bt1 horizon (30-52 cm), red (2.5YR 4/8) gravelly clay loam Bt2 horizon (52-98 cm), and red (2.5YR 4/8) gravelly clay loam C horizon (98<SUP>-1</SUP>60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30 to 98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Incept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Hapludults. It has 18-35%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Asan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 not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Dystrudepts. Asan series occur on rolling to hilly areas in residual materials derived from granite gneiss, schist, and gneiss rocks. They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clay mineral weathering, translocation of clays to accumulate in an argillic horizon, and leaching of base-forming cations from the profile for relatively long periods under humid and temperate climat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