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 영화에 나타난 로컬이미지의 허상

        손은하(Son, Eun-Ha)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2

        한국 영화의 공간적 배경을 살펴보면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기간 동안은 대부분 서울이 그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에는 많은 영화가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연출하는 경우가 나타나기 시작해 최근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지역을 다루는 영화들 가운데는 그 속에 로컬리티를 담고 있는 영화와, 지역이 호출되기는 하나 단지 소비되기만 할 뿐인 영화로 구분지어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이 두 경향의 영화를 구별하여 전자의 경우를 로컬(리티) 시네마라고 명명하였다. 로컬(리티) 시네마의 예로는 장률 감독의 <이리>와 <경주>를 예로 들어 분석하였다. 또 지역이 소비된 경우의 영화는 <해운대>와 <국제시장>을 예로 살펴보았다. 먼저 장률감독의 영화는 그 자신이 연변 출신 조선족으로 주로 ‘주변’과 ‘경계’에 주목한 영화들을 제작했다. 그의 영화에 있어서 공간은 로컬리티에 대한 고민이 녹아서 연출되고 있었는데, 이것은 영화<이리>와 <경주>에서도 나타났다. 먼저 <이리>의 경우에는 1977년에 발생한 이리역 폭파사고 시 태아였던 여주인공 진서와 이리를 등치시켜 표현하고 있다. 진서는 정신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장애인으로 설정해 익산에 편입돼 더 이상 이름조차 사라지고, 멈춰진 공간인 이리와 닮아있다. <경주>는 일상의 곳곳에 왕릉이 있어 삶과 죽음의 공간이 정확히 경계 지어 있지 않음을 포착하고, 영화의 주인공들 또한 이러한 이미지에 맞게 설정되어 그려졌다. 그러나 <해운대>의 경우에는 이곳이 어느 지역 어느 바닷가라도 상관없는 재난영화이다. 또한 <국제시장>은 내셔널한 역사를 국제시장이라는 로컬공간과 덕수에게 표상시켜 표현하고 있어, 둘 사이의 간극을 만들어 놓았다. 이 두 영화 모두 로컬공간에 대한 인식과 로컬리티에 대한 고민이 빠져있다. To examine the spatial backgrounds of Korean films, most of them dealt with Seoul from the 1980s through the 1990s. However, since 2000, for regions other than Seoul, many films have been directed, and this has continued till lately. However, the films dealing with regions appear as those that contain locality in them and those in which a region is summoned but just consumed. Therefore, the films with these two trends were differentiated and named the former local(lity) cinema. This study analyzed Film Director Zhang Lu’s Iri and Gyeongju as examples of local(lity) cinema.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films Haeundae and Gukje Market as those in which regions were consumed. First, Film Director Zhang Lu, who is a Korean immigrant to Yanbian produced films that mainly focused on the ‘periphery’ and ‘boundary.’ Spaces in his films were directed with his concern with locality melting in them, which appeared in the films Iri and Gyeongju, too. First, Iri expresses identifying the heroine Jin-seo with Iri, who was a fetus in the explosion of Iri Station in 1977. Jin-seo was depicted as a disabled person whose mind does not grow anymore, who resembles fixed space Iri, which was included in Iksan and lost the name. Gyeongju captured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space of life and the space of death was not fixed exactly since there were Royal Tombs everywhere in daily life and described the film’s main characters, fitting this image. However, Haeundae is a disaster film that it does not matter if this was shot in any beach in any region. In addition, Gukje Market expressed the national history represented by the local place, Gukje Market and Deok-su, which created the gap between the two. Both films lack the awareness about the local space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locality.

      • KCI등재

        ‘로컬 시네마’의 개념 그리고 ‘로컬 시네마 부산’으로서의 가능성

        손은하(Son, Eun-Ha)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6

        본 논문은 로컬과 로컬리티의 개념과 이 개념의 의미변화를 한국영화 속에서 모색하고, 로컬 시네마의 의미와 부산의 로컬 시네마로서의 가능성을 진단한 글이다. 로컬이란 어떠한 것이 상정이 되어야 그것에 대비한 것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은 관계적인 차원에서 유동적으로 존재한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했을 때, 영화의 중심은 할리우드 영화이고, 그에 대비한 주변부 영화가 제3세계 영화이다. 이러한 차원에서는 우리나라의 충무로 영화도 로컬 영화로 상정된다. 그렇지만 국내로만 한정시키면 그 위상은 달라지는 점에 집중하여 로컬 시네마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그리고 포스트모던시대로 오면서 근대의 타자화된 것들이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하게된 것과 같은 맥락에서 로컬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영화에서도 로컬 시네마의 가능성에 대해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로컬 시네마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협의의 의미로는 ‘지역에 기반을 둔 제작자와 제작사가 로컬리티적 서사를 담은 영화’로 의미지어 보았고, 제작자와 제작사의 기반이 어디인지 상관 없이 한 지역의 로컬리티를 담고 있는 영화일 경우는 ‘로컬리티 시네마’로, 그리고 영화 내용은 상관없이 로컬에 기반을 둔 제작진들이 만든 영화는 ‘로컬기반 시네마’로 나누어 보았다. 마지막으로 부산이 ‘영화도시’라는 이미지만 내세운 사업과 구상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영화가 ‘생산 가능한 도시’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점을 피력하였다. This paper sought the concepts of local/locality and the significance change of these concepts in Korean films; while diagnosing the meaning of local cinema and the possibility of Busan as a local cinema. Local(locality) assumes something meaningful, then it moves freely in terms of relationship. The worldwide center of movie is Hollywood, US, the other hand, the movies from the other nations called as "the third world movies". Choongmooro-movies could be called as the third world movies in this point, but supposing movies are limited in domestic boundary, the value of movie is declined in quality & quantity. this is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As the others could be possibly the main body(the subject) in postmodernism Era, the possibility of locality in "Local Cinema" is needed to be notable. The meaning of local cinema in this paper is newly defined. In narrow sense, "Locality Cinema" defined as the movie with a certain local narration based on local producer & local production company, then the movie with a certain locality only(without relationship of producer & production company) is defined as "Local Based Cinema" Finally, this paper highlights that Busan should be not only the image of " Cinema city" but "cinema producing city".

      • KCI등재

        일본 애니메이션 ‘바다가 들린다’(海がきこえる, Can Hear the Sea)에서 나타난 로컬 이미지

        손은하(Son Eun-Ha)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애니메이션은 영화적인 연출 기법과 기술적인 요소 그래픽 소프트웨어나 첨단 편집장비 등-와 조형적인 요소 -캐릭터나 배경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등의 여러 가지 방법들을 통해 표현하는 종합적인 영상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애니메이션의 여러 연구 가운데 본 논문은 일본 애니메이션 ‘바다가 들린다(海がきこえる)’에서 그 안에 담긴 로컬의 이미지를 다양한 척도로 분석을 하고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자 했는가에 대해 논하였다. 이 작품은 도쿄와 코우치 지방을 오가면서 그 곳의 다양한 이미지를 담고 있는 애니메이션으로써 도쿄가 가지고 있는 중심성과 코우치가 가지고 있는 주변성을 뛰어넘어 각 지역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는 이미지를 다양한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로컬의 위상을 나타내려는 다양한 이미지와 서사적인 구조를 찾아내어 분석하였는데 먼저 내러티브적인 요소와 캐릭터에서 두 로컬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조형적인 요소를 통해서 각 로컬의 특성을 찾고자 했는데 이것은 크게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쇼트 그리고 컬러 이미지 분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컬러 이미지 분석은 Hue & Tone 분류법으로 먼저 색상과 톤으로 분류하여 컬러의 느낌을 살펴보았고 캐릭터의 의상 컬러 배색은 일본의 색채학자인 “하류요시 나구모” (Haruyosi Nagumo)의 “컬러 이미지 차트”를 토대로 하여 색차 (Color difference)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했다. Animation is an overall media using cinematic direction, using technology of graphic software and high-tech editing appliances, and shaping images featured by characters or surroundings. Among many researches about animation, this thesis deals with Japanese animation "I Can Hear the Sea(海がきこえる)" to analyze its local image with a variety of aspects and to guess what meaning it was trying to introduce. This takes place in both Tokyo and Kouchi includes many images and shows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regardless of a central feature Tokyo has and a surrounding feature Kouchi. We studied this through many points of view. Also we analyzed many images and rhetorical structure to show local's position, comparing two locals firstly in a narrative and a characteristics point of view. Meanwhile, the animation tries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through modeling aspect. We separated this into organization of screen, camera shot, and color image analysis, and then studied. When it comes to color image analysis, we looked into the feelings of color using Hue & Tone classification system to categorize colors and tones. We also analyzed images of characters' cloth colors using color differences based on "Color Image Chart" made by a Japanese expert of colors, Haruyosi Nagumo.

      • KCI등재

        애니메이션 <뮨: 달의 요정>에서 영상 색채와 화면 구도의 미학

        손은하 ( Son Eun Ha ),신지은 ( Shin Ji E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애니메이션에서 색채와 형태, 그리고 화면구도는 시각적 요소이면서 감정과 정서, 심리적인 면을 표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를 영상 미학적 측면에서 분석한 화면의 미장센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빼어난 영상미로 각종 영화제에 노미네이트된 프랑스 애니메이션 <뮨: 달의 요정>을 대상으로 시각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색채학 이론을 접목하여 캐릭터와 배경의 색채를 분석하고, 화면 구도는 카메라 앵글과 쇼트, 편집 등을 통해 장면의 함축된 의미를 찾고자 했다. 이는 새로운 작품 제작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연구 방법은 비렌과 칸딘스키, 스에나가, 아른하임 등의 색채학자의 이론과 제틀을 비롯한 여러 학자의 화면 구도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극 중에서 태양의 진영은 노란색을 주조색으로 하여 명료도가 매우 높게 표현되었고, 그에 비해 달의 진영은 어둡고 차가운 기운이 드는 파란색과 초록색을 사용하고 있다. 조명과 그림자 또한 진영에 맞는 폴 오프를 연출해 감성적인 측면을 부각시켰고, 등장인물도 각 진영에 맞는 색채와 성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그리고 카메라 앵글을 이용한 화면의 구도는 그 장면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심리적인 면을 나타내는 데 주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카메라 워킹은 팔로우, 패닝, 틸팅, 줌 등으로 다양한 장면을 연출했다. 화면 구성을 과감하게 연출해 상상력을 자극시키고 있고, 문학적인 요소인 수미 상관법을 이용해 시작과 결말을 표현해 내었다. 이 작품은 다양한 카메라 워킹으로 장면전환을 시도하고, 새로운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미학적인 방법들을 요소마다 녹여내 영상미를 높이고 있었다. IIn animation, color, shape, and screen composition are visual elements and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describ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mise-en-scène of the screen which is analyzed in terms of visual aesthetics. This study analyzed the visual elements of the French animation < Moon: Guardian of the Moon >, which was nominated for various film festivals for its excellent visual beauty. This study applies color theory to analyze a character’s color and background, and tries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scene through editing camera angles, shots, and screen composition. This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creating new works. This study also adopts the theory of color scholars such as Birren, Kandinsky, Suenaga, and Arnheim and the construction theory of various scholars including Zettl. In the film, the Sun’s camp uses yellow as its primary color, which is very vivid, while the Moon's uses dark, cold blues and greens. In addition, lighting and shadows made fall-offs suitable for the camp, highlighting the emotional aspect, and the characters expressed their colors and personality well suited to each camp. The screen composition using the camera angle focused on expressing the psychological aspect to be expressed in the field, and the camera walking produced various scenes through following, panning, tilting, and zooming. Such bold directing may stimulate audiences’ imagination, and the rhymic couplets could express the beginning and end of this film well. The work tried to change the scene with various camera walking, and improved the visual beauty by melting the aesthetic method of directing a new scene into each element.

      • KCI등재

        로컬리티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과 환경 색채

        손은하(Son, Eun-H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0

        도시의 환경색채는 그곳의 첫 이미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건축물과 구조물, 경관에서 나타나는 색채는 그 도시를 더욱 풍요롭게 만든다. 환경색채를 형성하고 있는 것 가운데 주요색(main color)은 주로 그곳 사람들의 선호색채와도 관련이 있다. 이 선호색채가 생긴 연유를 추적하다 보면 그곳의 로컬리티와도 연결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환경색채는 그 지역의 자연환경, 인문적 환경, 인공적 환경 등이 영향을 주어 총체적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프랑스의 색채학자인 장 필립 랑클로의 색채 지리학을 비롯한 환경 색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부산의 대청동 마을의 환경 색채를 살펴보고 그곳의 형성배경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대청동 마을은 부산시가 환경색채 시범마을로 선택한 곳이다. 부산색 기본 색채 가운데 12개의 색을 선정해 주택과 공공시설에 도색작업과 환경개선 사업을 시행했다. 그렇지만 임의로 선택된 색에 관해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고, 실제 마을도 주변의 색채와 동떨어진 채색 작업으로 분절된 느낌을 주고 있다. 시는 전후의 사업효과를 홍보하기 위해 가장 눈에 잘 띄는 높은 위치에 있는 이곳을 선정하고 이미지 사진 또한 과도한 색채 보정사업으로 보여주기 식 행정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로컬리티는 어떤 사건을 계기로 해서 새롭게 조성되기도 하지만 주로 그곳의 역사성과 장소성, 그리고 사람들로 인해 켜켜이 쌓이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최근 도시재생이라는 키워드로 이전의 난개발과는 차이를 두고 있긴 하지만, 환경색채에 관해서는 그곳의 다양한 요소와 로컬리티에 대한 연구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Urban environment col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its first image. The colors of various buildings, structures and landscapes enrich the city. The main colors are also related largely with the colors preferred by the people living there. Tracing back the causes of the preferred colors tells us that they are also linked to its locality. Influenced by natural, human, and artificial environment, the environment colors show up in totality. This paper looks at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environment colors including the color geography of Jean Philippe Lenclos, a French chromatist, and discuss the environment colors of Daechung-dong Village in Busan to discuss the background of their formation. Daecheong-dong Village was selected by the city government as an environment color model village. The city government selected 12 colors among the basic colors of Busan and conducted painting and other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for houses and public facilities.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description about the arbitrarily selected colors, and the actual village gives a feeling of being segmented with the coloring work with the colors separated from the surrounding ones. The city government seems to have publicized the project effects by selecting this village located in the most prominent place and by presenting the images with excessive color correction, an act of putting on an ostentatious display. It is noted that the urban regeneration that has recently emerged as a key word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unplaned development. However, it is overlooked that the environment colors should be accompanied by research on the various factors and locality of the particular urban area.

      • KCI등재

        환경색채의 변화를 통해 본 마을 이미지

        손은하(Eun-Ha Son),차철욱(Chul-Wook Cha)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2

        한 지역의 이미지는 외현적인 요소와 더불어 그곳을 경험한 내면적인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그려지는 인상을 말한다. 본 연구는 부산시 사하구 감천2동의 태극(도)마을에 대해, 초기에 ‘태극도’라는 종교로 인해 태동된 마을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해가는 이미지를, 환경 색채와의 관계를 통해 풀어보았다. 초기 마을이 형성되는 시기에 나타난 색채는 블루계열과 에메럴드 그린계열이었다. 이때 출현한 색채 요인을 ‘정서적 요인에 의한 심상 색채’, ‘사회적 요인에 의한 사회적 색채’로 분류했다. 구체적으로는 ‘자연적ㆍ물리적 환경요인’, ‘종교적 환경요인’, ‘제도와 규정에 의한 요인’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초기의 색채가 다양하고 화려하게 변화된 이유를 역사적인 요인과 구성요소의 변화에서 찾아보았다. 다음으로, 마을의 색채 이미지를 주택의 지붕과 벽면의 컬러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분석방법은 ‘하류요시 나구모(Haruyosi Nagumo)’의 ‘컬러 이미지 차트(Color Image Chart)’를 이용하여 만든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것과, ‘IRI색채연구소’의 배색 이미지 공간을 이용하였다. 이 마을의 색채 이미지는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이 혼재해 있고, 강하고 약한 이미지도 함께 존재한다. 형용사적 이미지는 경쾌한, 기운찬, 강한, 다양한 이미지와 자연적인, 친근한, 편안한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최근 공공미술에 대해 새로운 색채가 유입하는 것에 대해 논하였다. 한 지역의 환경색채를 계획할 시에는 마을의 역사성과 장소성 그리고 로컬리티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Images in an area can be an impression formed diversely by both extrinsic and intrinsically experienced facto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aegeuk village, Gamcheon 2-dong, Saha-gu, Busan, which was born initially through the religion of Taegeuk-Do. Images of the town changing on tim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lor and the village. The environmental colors, which appeared in the initial period of village formation, were bluish and emerald greenish type. The emerged color factors were divided into either ‘Imaginary Color by emotional causes’ or ‘Social Color by social factors’. In detail, they were investigated as dividing into ‘natur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relig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system and regulation factors’. Moreover, reasons why the initial colors were diverse and magnificent were described based on the historical factors and the changes in the components. Next, color images of the town were analyzed by collecting colors of roofs and walls in the house. One of the analytical methods was utilizing software prepared by the use of Haruyosi Nagumo’s ‘Color Image Chart’ and the other was making use of a color arrangement of ‘IRI Color Institute’. Old and new color images were mixed up in the town’s color image and so were the strong and weak images, too. It was analyzed that adjective images were light, energetic, strong, and diverse images with connoting intrinsic images of natural, friendly, comfortable images. Lastly, it was looked through how the new colors were made by the recent public arts. When to design environmental colors in an area, its historicity, placeness, and locality should be examined in advance.

      • KCI등재

        문화적 도시재생의 함정

        손은하(Son, Eun-Ha)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0

        Gentrific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increased rent resulting from the influx of huge capital forces the existing inhabitants out of a city to its outskirts. Previously confined mostly to residential area, it is now found almost everywhere as well as particular areas such as commercial zones. There have been many case studies and theories on gentrification in other countries, but in Korea the studies are short in history, a direct application of the western theories has its limitation, and such application may lead only to different results from reality. Gentrification is an ongoing phenomenon, but it has a lot of controversy with different scholars having different opinions and concepts about it. In addition, the actual phenomena in the downtown areas are going on differently in different countries or in different cities. This paper discusses the gentrification phenomenon happening in the original downtown area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Jungang-dong area, dubbed as the original downtown area in Busan, was the center of art settled by the artists who took refuge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However, in 1998, it went through a period of rapid economic recession as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shifted away to other area with the relocation of the city hall buildings. The city government created ‘Totatoga,’ a space rental project for starting publication utilizing the empty space of the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the area as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initiative. As time went on, the area began to recover its vitality but met with an unexpected gentrification phenomenon. Though the area regained its vitality, it soon became the magnet for newly established shopping malls, leading to a gradual raise in the rents which forced out the residents who had previously settled there. Regarding this, the city government has enacted an ordinance to prevent this gentrification phenomenon and strengthened its support for the affected residents. However, the artists who moved in here faced various problems because they were the group formed not spontaneously. The city government has presented a guideline for their exchanges with local residents, but in many cases, such regulation is not enough to reinvigorate a community. In addition, since they have to go through an evaluation process for their wor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ir contracts, they are not in a good position to freely act and speak out their minds, so profound efforts should be made to address this issues.

      • KCI등재

        재현된 이미지에 나타난 로컬의 기억

        손은하(Son, Eun-Ha)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8

        With two works of locality cinema dealing with Jeju-do, Jiseul and Jeju Prayer, this study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local memories. Because of the geographically special position and the state power of Jeju-do, a mix of devastated scars, narratives and work for creating a new local image form a unique locality of this region. Of them, Jeju"s April 3 Incident is an event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alking about Jeju-do’s locality. While discussions about the Jeju’s April 3 Massacre, which was genocide, have been introduced in various texts, this study continued the discussions with two incidents reproduced through films. Jeju"s April 3 Massacre on April 3, 1948 is officially recorded as an armed uprising in which armed civilians of the left-winger attacked the right-wing circle and the police station but were defeated, but this incident appears in various names. Since there are various names for this,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s on it, as well. This study examines the film with this inciden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using two frames of genocide and collective memory. Jiseul shows Sun-deok who was devastated, good people and characters like Mu-dong"s father, who did not speak even if they were victimized, identified with Jeju-do. Jeju Prayer is not a documentary in a descriptive form but is directed uniquely, in which reproduction, interviews and images are roughly mixed. Both films have different forms and contents but resemble in that they focus on the fact that a lot of innocent people were sacrificed because of ideology and have comfort and condolence to them.

      • KCI등재

        한국 영화 속 재현된 조선족 디아스포라

        손은하(Son, Eun-H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3 No.-

        본고는 탈식민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차이나블루>와 <두만강>을 사례로 한 조선족 디아스포라에 관한 연구이다. 많은 이산(離散)민들이 정체성의 혼란과 더불어 거주국의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충격과 갈등으로 정착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에 대한 모색으로 모방을 통해 거주국의 문화를 ‘흉내 내기mimicry’를 하거나, 소수 민족끼리 공동체를 만들어 연합하는 등 다양한 방안으로 살아남기를 한다. 여기서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중 가장 역사가 긴 조선족 디아스포라를 영상 속에 재현된 인물을 통해 그들의 삶과 장소적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영화<차이나 블루>는 한국의 조선족 거리를 배경으로 하여 인물의 갈등을 사건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다. 영화<두만강>은 두만강을 경계로 한 연변의 한 마을을 배경으로 탈북민과 중국, 조선족과의 관계를 인물에 대한 정서적 접근과 일상의 사건을 관찰자의 시점으로 그려냈다. <차이나 블루>는 조선족 길남을 호미 바바의 ‘기괴한 낯섦the uncanny’으로, 길남의 대학동기인 한국인의 감정을 ‘양가성 ambivalence’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두만강>은 두만강이 위치한 경계적 의미, 그리고 호미 바바의 ‘제3공간the third space’에 대한 역할로 연변을 대입해, 대립이 해소되고 합의가 이뤄지는 동시에 야누스적 속성이 나타나는 면을 살펴보았다. 또 가야트리 스피박의 ‘서발턴subaltern’의 개념을 창호의 누나 ‘순희’와 창호 할아버지에 적용해 어떤 언표행위도 부여되지 않는 하위주체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ing on <China Blue> and <Dooman River> based on the post-colonialism theory, to examine Korean Chinese diaspora. Many separated people have difficulties in their settlement due to identity crisis as well as shock and conflict caused by the cultural difference of their country of residence.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y ‘mimic’ the culture of their country of residence or form a community consisting of ethnic minority. This study, targeting Korean Chinese diaspora that has the longest history among the Korean diaspora, uses characters represented in images and examines their lives and locational meanings. <China Blue> shows conflicts among characters focusing on particular incidents happening on the Korean Chinese street. <Dooman River> shows the relationship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China, and Korean Chinese, their emotional states, and usual incidents happening in a small village of Yeonbyeon adjacent to Dooman River from the observer’s perspective. <China Blue> considers Korean Chinese Gilnam as Homi Bhabha’s ‘the uncanny’ and Gilnam’s college friend’s emotion as ‘ambivalence’. <Dooman River> explores the economic meaning of Dooman River and uses Yeonbyeon as the role of Homi Bhabha’s ‘the third space’ to examine its resolution, agreement, and Janus-face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examines low-class agents not allowed to do any locutionary act by applying the concept of Gayatri Spivak’s ‘subaltern’ to Changho’s sister ‘Sunhee’ and his grandfa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