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미디어교실에서 교사와 아동간 상호작용 분석

        손유진(Shon Yoo 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교실에서의 교사와 아동간 상호작용을 대집단에서 발생한 질문하기와 대답하기를 통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다음 네 가지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 첫째 교사와 아동간 상호작용은 교사에게서 질문이 시작되고 아동이 이에 응답하는 상호작용이(77 6%)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컴퓨터 활동이 아동에게서 보다는 교사에게서 시작될 가능성이 많음을 보여준다. 둘째, 교사와 아동간 상호작용 유형은 교사주도적 상호작용(91.7%)과 직선적 상호작용(84 1%)이 많았으며, 대집단 상호작용에 있어 교사가 활동에서 우위의 파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컴퓨터를 학습의 도구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 활용 자체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격려하는 질문이 마련되어 컴퓨터 활용 자체에 대한 철학적 논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성인의 관점에서 필요한 규칙이나 도움을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필요로 하는 도움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동을 주체적인 존재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최신의 디지털 매체가 가진 강점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활용에서 아동이 스스로 이론을 구성해가는 목적, 과정, 결과와 이런 모든 과정에서 가지는 만족감을 존중해야 하며, 동등한 파트너로써 교사의 역할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in computer-rich classrooms. Data was collected at Ameritech SBC classroom in Kent State University in the USA. The period of collecting data was from October 31st to December 16th in 2005.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age of child as theory-builder is perceived, and computer activity should be started by the sound of the children's voices. Second, children have to have equal power with the teacher, and it is supported diverse negotiations and collaborations to solve the conflicts in classroom. Third, we need to think critically about using computers in classrooms, and consider philosophical discussions before using them. Fourth, in the teacher's perspective, the teacher must try to apply guidelines and regulations. If they are not appropriate for children, however, the teacher helps by understanding children's needs first. Finally, computer-rich classrooms are not guaranteed good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To utilize new technology the best in classroom, we should respect children's learning process including their purpose, process and result, and emphasize teacher's role as learning partner with them.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 사교육 연구 동향 탐구: 우리나라 정부 및 누리과정 시행 시기를 중심으로

        손유진(Shon, Yoo-Jin),강승지(Kang, Seung-Ji)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 사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아 유아 사교육 현상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사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정부 시기와 누리과정을 처음 시행한 2012년을 기준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0년 1월을 기준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유아+사교육’으로 검색하여 관련 연구물 65건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총 65건의 ‘유아 사교육’ 관련 연구물의 연구동향을 우리나라 정부 시기와 누리과정이 도입된 시기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최종 선정된 65편의 연구물에서 제시된 키워드는 총 242개이며, 2차 키워드 정제과정을 통해 최종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최종 키워드는 Excel프로그램과 Ucinet6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과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05년 이후 유아 사교육 관련 연구에서는 사교육 비용, 교육 격차, 유아영어교육, 유아교육정책, 저출산과 같은 키워드가 등장하였으며, 중심성 분석을 통해 키워드가 복잡하게 얽혀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정부 시기별 키워드 분석을 살펴보면, 사교육비용, 유아영어, 학원, 유아 영재 등의 단어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에 많이 등장하다가 문재인 정부를 거치면서 유아 사교육 연구는 점차 교육격차, 저출산, 교육서비스, 교육정책, 공교육위기, 유치원 의무화 등 점점 더 다양한 개념들이 관련되어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누리과정 시행 시기인 2012년을 기준으로 유아 사교육 연구는 조기 사교육, 유아교육, 유아교육정책 키워드가 등장하였다. 2012년 이후에는 사교육비용, 교육격차, 교육서비스 등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누리과정 이후 사교육 연구 주제가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 사교육 현상은 우리나라 사회 시스템과 문화 담론 속에 깊이 내재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보다 많은 유아 사교육의 의미와 현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유아 사교육에 대한 분쟁의 문제를 넘어 공교육의 영역의 겉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가지는 속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early childhood tutoring research an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tutoring. Method: As of January 2020, 65 related work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infant + private education”. The research trend of the total 65 studies related to child private education was classified based on the period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eriod when the Nuri process was introduced. The final keyword was extracted using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using Excel program and Ucinet6 program. Results: Since 2005, in the research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keywords such as private education cost, education gap,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low birth rate appeared. The Korean government s analysis of keywords by period showed that private education costs, early childhood English, academy, and gifted young children appeared in the first and second period. Third, as of 2012, when the Nuri process was introduc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keywords appeared. Since 2012, private education costs, educational gaps, and educational services emerge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topic of privat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expanded since the nuri process. Conclusion: The early childhood private education phenomenon is deeply embedded in the social system and cultural discourse of Korea. Therefore, more research on the meaning and phenomena of early childhood tutoring is need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d to in-depth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of education that goes beyond the issue of early childhood tutoring.

      • KCI등재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손유진(Shon Yoo-Jin),정혜영(Jung Hye-Young),원경(Son Wo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 획득과 반성적 사고의 함양을 통한 현장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한 면서 우선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유아교사 308명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현장개선은 필요하나 필요성에 비해 잘 실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현장개선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노력은 필요하나 실제 노력하는 정도는 필요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책을 찾거나 동료의 조언을 얻어 현장개선을 하지만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며 현장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가시적 효과 중심의 결과보고에 그친다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절반인 51%는 실행연구를 알고 있다고 하였고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실행연구가 필요하나 실현가능성에 대해서는 낮은 확신을 보여주었다. 교사자신의 전문성 신장과 실제의 개선 및 구체적 전략 발견을 위하여 실행연구를 한다고 하였으나 아직은 실행연구를 잘 모르고 교사의 많은 업무와 현장여건의 부족함 등을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교사들은 무엇보다 실행연구가 교사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피수 실제의 변화를 야기하길 희망하였고 공동체 기반 연구로 타인과의 공유를 통한 반성의 기회를 필요로 하였으며 교사의 실천의지와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의 한 방법으로 실행연구가 유아교육에 적극 도입될 가치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major goals of this study were 1) to find out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action 2) to show the demand of in-service teacherson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composing 24 items, was completed 308 teachers from preschool and kindergart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most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e strongly, and it is needed for teachers have a will and purpose to develop practice. To improve a teaching practice, teachers got information from text or peer teachers, but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improvement was smaller than their effort. Second, A half of respondents as a teacher have known action research, however, they didn't know the way to accomplish anion research well. Most teachers worried about pres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o action research, Finally, most teachers wanted to improve their teaching practice by participating in the action research, to carry out action research through teacher's reflection and getting practical knowledge in their classroom, and to establish school environment where teachers' effort and will to improve their teaching be encouraged.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전쟁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원경(Son Won-kyoung),손유진(Shon Yoo-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전쟁놀이 실태와 이에 대한 어머니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위치한 유아의 어머니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83.2%(158명)가 전쟁놀이를 하고 있으며 남아(93.3%)가 여아(70.9%)보다 전쟁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자녀가 재미있어서, 또는 친구와 어울리려고 전쟁놀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의 전쟁놀이를 허용하는 어머니(18.5%)가 금지하는 어머니(11.6%)보다 많았으며, 교사가 전쟁놀이를 허용해 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8.8%)가 금지해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4.1%)보다 많았다. 어머니들은 전쟁놀이의 긍정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예전보다 허용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이에 유아의 전쟁놀이가 진정한 의미의 놀이가 될 수 있는 방안을 교사와 부모가 적극적으로 도색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her's awareness about children's war play. 214 mothers were selected to response to a questionnaire which asks children's war play in three parts, the present condition, mother's awareness and management of war pla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children did war play(83.2%) and boys did more than girls. Second, mothers responded to the reason of children's war play children were enjoying their war play and wanted to play with friends. Third, most mothers thought war play was helpful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they let their children do war play and they wanted to for teachers approve children's war play positively as well. Fourth, mothers worried about watching violent TV programs and playing with violent toys of children. To minimize violence of TV programs and toys, effective ways need to be suggested variously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교육 인식을 중심으로

        김혜진 ( Hye Jin Kim ),김미진 ( Mi Jin Kim ),손유진 ( Yoo Jin Sh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of variable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beliefs and perception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path from multicultural sensitivity to multicultural efficacy with the mediating variables of mutlicultural beliefs and perception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in results are: First, multicultural sensitiv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multicultural beliefs and multicultural efficacy, indic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beliefs. In addition, multicultural sensitivity was found to influence multicultural efficacy directly. These findings imply that acquiring knowledge and experiential training in forming sound multicultural beliefs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could significantly improv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신념, 다문화교육 인식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다문화 감수성을 독립변인으로, 다문화 신념 및 다문화교육 인식을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종속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각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다문화 감수성은 다문화 신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다문화 신념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신념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다문화 감수성은 또한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감수성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높이는 데 있어서 중요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헌신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연구

        김혜진(Hye jin Kim),양진희(Jin hui Yang),이쌍철(Ssang cheol Lee),손유진(Yoo jin Sh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헌신이 가지는 중요성에 주목하여 교사헌신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헌신을 교사가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특정한 대상에 관해 갖는 심리적 유대로서 정의하고, 헌신의 대상에 따라서 수업에 대한 헌신, 유아에 대한 헌신, 조직에 대한 헌신 등 3개의 하위변인으로 구성하였고, 교사의 개인적 차원에서의 변인으로 배경변인(연령, 경력, 직위, 학력)과 심리적변인(개인적 교사효능감, 직무만족)을 조직적 차원에서의 변인으로는 직무환경변인(보상정도, 전문성 성장 기회)과 사회관계적 변인(원장에 대한 신뢰, 부모와의 협력)을 독립변인으로 구성하였다. B광역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30명을 임의표집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변인들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설명량의 증가여부를 판단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 그리고 부모와의 협력은 교사헌신뿐만 아니라 3개의 하위변인인 수업헌신, 유아헌신, 조직헌신에도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에서도 직무만족의 표준화회귀계수는 모든 분석결과에서 높게 나타나, 교사헌신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원장에 대한 신뢰는 조직헌신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유아헌신과 수업헌신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 개인적 심리변인이 유아교사의 헌신에 주는 영향력이 규명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variables influencing teacher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commi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means a psychological connection with a specific object which teachers consider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orking conditions,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a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 commitment(commitment to class, children, and organizatio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put independent variables sequentially and find their effects on teacher commitment. As a result,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eacher commitment and its three sub-variables. Specifically, job satisfaction shall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other variables, since its coefficient is the largest. In contrast, trust to the principal was verified as insignificant, showing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 ‘놀이’ 및 ‘학습’의 관계에 대한 부모 인식 연구: 메타포 분석을 중심으로

        강승지 ( Kang Seung Ji ),손유진 ( Shon Yoo 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5

        본 연구는 부모가 생각하는 유아의 ‘놀이’ 및 ‘학습’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아이들의 놀이와 학습의 관계성을 모색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부모 131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놀이와 학습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놀이에 대한 부모의 메타포 분석 결과는 인간-존재의 필수적 이유, 학습적 효과를 기대하는 도구, 무한한 다양성을 가진 요소, 끝없는 몰입을 향한 행위, 타자와 관계 맺기를 위한 행위로 분석되었다. 학습에 대한 메타포 분석결과는 꾸준히 해야 발전하는 기술, 놀이처럼 즐거운 학습, 삶을 살아가기 위한 근원 및 전략, 미래를 위해 성취해야할 의무, 성인의 욕심을 내재한 위험한 학습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부모들이 생각하는 놀이와 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유아의 놀이와 학습은 역동적이고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우리는 유아들이 구성하는 놀이와 학습의 힘과 그 속에서의 모든 관계에 대한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필요를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oundaries of children's play and learning through the parents' ideas of 'play' and 'learning'. To that end, the researchers calculated the metaphor and rationale for play and learning from 131 parents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play was described as an essential motive for human existence, a tool to expect learning effects, an element with infinite variety, an act that instigates continuous immersion and foments relationship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learning was characterized as a skill that develops with steadiness, a pleasant activity as play, sources and strategies for living, an obligation to fulfill for the future, and a dangerous endeavor involving adult greed. This study suggests the revision of curriculum emphasizing playful elements and blurring the boundaries of the play and learning of the infa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김병만 ( Kim Byung-man ),손유진 ( Shon Yoo-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인식을 유아교사의 내부자적 시선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유아교사의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유의미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인식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Q-방법론을 사용하였고, 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인식 유형은 발현적 평가를 통한 자기성장형, 교육공동체와의 생성 실천형, 자율성의 무게 성찰형, 업무로서의 평가 감내형 등 네 가지 인식 유형으로 범주화 되었다. 각 유형의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평가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과 불안을 성찰, 성장, 배움으로 극복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평가가 교육과정 실행과 연계되어 있었기에 교육과정 평가는 교육과정 실행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평가하면서 무엇을 배우고 있고,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는지에 대한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한 교사의 긍정적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assessment. The insider’s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participants was observed to analyze their specific and subjective perception. Through Q-methodology,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a curriculum assessment not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and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academic field of curriculum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elf-growth through expressive assessment, creation practice with the community, weight reflection of autonomy, and assessment tolerance as work. Each type had its own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it considered solutions with its own problem consciousness. The curriculum assessment was described as a 'weave' that weaves together what happened in the classroom with a pedagogical perspective. Teachers were overcoming difficulties and anxiety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through reflection, growth, and learning through curriculum assessment. Through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ble to express pedagogical concerns regarding their learning and changes, and through this, the positive growth of teachers was also visible.

      • KCI등재

        포커스 그룹 토론을 통한 저출산 현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탐색

        김미진(Kim, Mi-Jin),서보순(Seo, Bo-Soon),손유진(Shon, Yoo-Ji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유아교육에서 저출산 현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논쟁을 만나고자, 연구참여자 간의 경험과 관점을 제공하며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포커스 그룹 토론(FGD)을 통해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FGD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주제에 관심이 있으며, 토론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연구주제와 관련된 의견을 개진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함께 생성할 수 있는 유아교육 전문가 6인을 목적적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했다. 2회의 FGD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전사하고, 범주화, 재범주화와 해석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중심의 출산장려정책이라는 저출산의 지배담론을 해체하고, 윤리적이고 공동체적 차원에서 저출산 현상을 바라볼 관점 전환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저출산, 문제에서 현상으로’, ‘위기에서 진화로’, ‘보호의 돌봄에서 윤리적 돌봄으로’ 범주화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저출산이 위기나 문제가 아니라 유아교육에 대한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질문인 아동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대한 성찰의 장을 만들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윤리적 돌봄과 유아교육의 관계를 새롭게 규명할 것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counter various paradigms and debates on the low childbirt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explor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FGD) in which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perspectives, and ideas were shared. Method: For this purpose, six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ho were interested in this research topic,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and were able to create a new direction together were selected through the purposeful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FGDs and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categorization, re-categorization, and interpretation. Results: It was discussed to deconstruct the dominant discourse of low childbirth, that is, the perspective of women centered on fertility. And, it was proposed to shift to a paradigm that considers the low childbirth based on ethical and community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ategorized into “Low childbirth, problem to phenomenon”, “Crisis to evolution”, and “Protective care to ethical car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ow childbirth is not a crisis or problem, but new reflection on the healthy and happy life of children.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