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 墨竹題畵詩의 전통성과 意境

        손오규(Sohn, O-Gyu)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1 No.-

        퇴계는 ?도산십이곡?의 작가이다. 이 12수의 연시조는 순수국문학작품으로 산수시가의 백미이다. 그런데 퇴계 시가미학의 체계화를 위해서는 한시연구가 꼭 필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퇴계의 묵죽제화시는 매우 적절한 연구대상이라 할 것이다. 그래서 이 논문은 퇴계 묵죽제화시의 전통성과 意境을 연구하였는데, 주로 신잠 墨竹에 대한 題畵詩를 중심으로 하였다. 왜냐하면 신잠의 묵죽은 한 시대를 대변하니, 조선초 전통적 문인사류 묵죽화의 전형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의 진품묵죽화는 전해오지 않는다. 따라서 퇴계 제화시를 통해 그 예술적 경계와 내용미, 그리고 전통성과 의경을 유추해 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선초 묵죽화에 나타난, 문인사류의 예술관과 미의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인 대나무를 검은색만으로 그렸다는 것은, 미의식의 획기적 전환이요 變格이다. 왜냐하면 모든 색채를 검은색으로만 그려서, 대상의 아름다움과 정서적 감동을 표현한 것은 색채미에 대한 상징적 기법이며 미적성찰에 대한 다양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둘째, 대나무의 物性을 사람의 人性에 비유한 것은, 문인사대부의 예술적 취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묵죽화의 典型性을 부여하였다. 따라서 묵죽은 寫物에 의존 하면서도 寫物의 차원을 떠난, 寫意의 예술경계를 지향한다. 셋째, 寫意는 구체적 작품에서, 수묵의 농담건습(濃淡乾濕)을 통하여 표현되니, 筆墨은 작가의 예술정신을 표상하는 매개체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따라서 詩畵一律의 관점에서 墨竹이 시적 서정성을 형상화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넷째, 묵죽은 寫生을 전제하는데 주관이 객관적 物象에 이입될 때, 비로소 대나무는 예술형식 속에서 존재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主客性情의 融化에 의한 意象이 결정되며, 고려의 丁鴻進이나 조선초 孫舜孝, 신잠도 이런 형식의 전통성을 계승하였다. 다섯째, 퇴계는 詩情으로써 畵意를 적절히 노래하였으니, 그 意象은 苦節虛心과 淸致風流 그리고 학문하는 선비의 삶으로 분류된다. 이것은 당시의 학문적 경향과 사회적 풍조를 배경으로 하였다. 여섯째, 묵죽은 대상을 통한 주체의 내면적 인식과 성찰에 의존하니, 尙意技法이다. 그 배경은 도학이니, 도학정신에 입각한 예술관에 기반을 둔 內面性에 집중한다. 이 점에서 문인사대부의 묵죽을 전문화가의 묵죽과 비교할 때, 예술성과 회화사적 의의에 큰 차이가 있다. 일곱째, 尙意는 以形傳神에 의한 身與竹化의 예술경계를 창조해 낸다. 이는 조선조 문인사대부의 수양의 문학관과 직결되니, 詩畵一律의 관점에서 표준적 전형을 제시하였다. 여덟째, 조선조 문인사대부들의 수양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학문을 통한 心性의 도야와 실천적 삶’이라고 할 것이니, 형이상학적 미적태도를 견지한다. 따라서 문인사대부의 묵죽은 내면성과 정신성에 초점을 맞추어, 修養樂道와 虛心成竹에 의한 意境을 형상화 하였다. The bamboo painting of Korea in Chinese ink by Sin Jam is a typical painting type of the scholar clas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ge. But his authentic article is not handed down. That is why this study inferred his paintings from Toegye"s bamboo painting poetry.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intended to seek out the aesthetic sense in bamboo painting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like followings: First, drawing bamboos only in black is not only an innovative turning point in aesthetic sense but also a new style of the picture. Second, comparing bamboos with human reflected artistic taste of nobleman writer and granted a typicality. Third, the method of using Chinese ink has been expanded as a vehicle to express artistic spirit. Thus, the theory that poetry and paintings are brought about from the identical pattern has become a clue to embody lyricism. Fourth, the image of Toegye"s bamboo painting poetry is rooted in the academic tendency and social tren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is background is defined as New Confucianism and is placed emphasis on the author’s mind. Fifth, the scholar class in the Joseon dynasty age put much importance in a training of scientific mind and practical life and embodied metaphysical aesthetic sense from the bamboo painting of Korea in Chinese ink.

      • KCI등재
      • KCI등재

        퇴계시(退溪詩)의 공간인식(空間認識)과 산수관(山水觀)

        손오규 ( Sohn O-gyu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퇴계학논총 Vol.30 No.-

        이 논문은 退溪詩에 나타난 空間 認識과 山水觀을 美學的으로 해석하고 연구하였다. 퇴계는 미학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저술을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퇴계는 자신의 철학을 학문적으로 체계화 하여 「聖學十圖」 등을 완성하였다. 이것은 미학이 철학의 하위 영역이기 때문에 퇴계철학을 원용하여 그 이론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의 미학적 접근이란 방법론의 실효성과 근거제시가 좀 더 분명하게 되었다. 퇴계의 공간인식은 구체적으로 자연이라는 객관적 대상이며 물리의 세계에 대한 지각과 인식을 말한다. 그리고 자연은 氣의 실현에 의한 구체적 형상을 지닌 존재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다. 이 자연이 예술의 소재로 활용되어 시작품이란 예술형식으로 구체화 되었을 때 산수미를 표상하게 된다. 그래서 산수관은 예술적 대상으로 인식한 자연의 미적 위상을 의미한다. 이런 관점에서 퇴계시의 공간인식과 산수관은 생활의 근거이자 생태적 환경인 自然을 객관적 대상으로 한다. 나아가 객관적 대상인 자연으로서의 환경에 퇴계의 주관적 인식과 가치가 결합되어 문화경관을 형성하게 되니, 大我認識의 생활공간이 천인합일의 산수관으로 발전하게 된다. 또 퇴계시에 나타난 수양실천을 위한 장소로서의 공간인식은, 구체적 작품에서 역사적 시간성이 현재적 공간성으로 전환됨으로써 稽古親賢의 실재적 산수관으로 발전하였다. 마지막으로 퇴계시에서 노래하는 자연은 우주적 관점으로 확산되며, 인간과 대자연과의 관계 속에서 인생과 철리의 깨달음에 대한 감동을 형상화하였다. 그 결과 山水歌詠의 소재요 대상으로서의 공간인식은, 시작품이란 예술형식을 통해, 대자연의 조화와 질서에 동참(與天同和)하는 山水觀으로 승화하게 되었다. Toegye’s ideal was in learning and nature. He explained theories based on Li(rational principle, 理) and Qi(material force, 氣). His belief was closed related to ethics. He contemplated the roots of universal rules about human action as the nature’s universal rule or Li(理) can be perceived by human consciousness. First, the roots and universal rule of human action are the same as the universal rules of natural phenomena when all of the natural phenomena are considered as works of Qi(氣). Therefore, ethics is the ethical value conversion of the universal rule, Li(理). Second, the ground for Toegye’s theory of mind is universal truth by the natural philosophical observation and insight. Therefore, he perceived that the historical temporality was connected to and coexists with nowness. The nowness can be found in life of realizing nature, and this is the boundary of the oneness of God and man. Third, the oneness of God and man perceived realization of great cause as the best value. This can be called “beauty of ideology(理念美)” that means return to original existence, love for nature and life in seclusion. Therefore, the oneness of God and man was Toegye’s outlook on the universe and the world and love for nature. Fourth, restoration of ancient text(古文復古) was to restore ancient sages’ life to suggest realistic examples. At the same time, it is the source of universal cultural heritage, a part of mythic original form, and the exploration for essence of roots. Fifth, Toegye suggested prototype of learning in his book Seonghaksipdo(聖學十圖). The book encouraged readers to improve themselves physically and mentally by talking about ancient sages’ life that symbolizes restoration of oneness with ancient sages through ideological sublimation and internal subjectivization. Sixth, Toegye’s poem composition under the theme of nature was artistic activity that gave shape to his ideology with nature as mediation. He could realize his ideal of seclusion through oneness with environment, which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imaginary art. Seventh, Toegye’s subjective world pioneered aesthetic boundary of humanization of nature and naturalization of human. Therefore, he sang boundary of laws of nature that participate in roots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with nature. This is the aesthetic status of the originary enlightenment that consists of perspectives on nature. Toegye’s love for nature represents the beauty of ideology(理念美) of the philosophic world that his poems about nature and the assimilation with nature described.

      • KCI등재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손오규(Sohn, O-Gyu)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退溪 李滉의 『林居十五詠』은 晦齋 李彦迪의 『임거십오영』을 次韻하여 제목도 그대로 사용하였다. 단지 회재의 『임거십오영』 중에서 『悶旱』과 『秋葵』 그리고 『感物』을 빼고 회재의 다른 시 『樂天』과 『記夢』 2수를 보태어 15수를 완성하였다. 회재는 42세 때(1532년) 벼슬에서 물러나 경주 紫玉山 아래에 獨樂堂과 溪亭을 지어 은거하였다. 그리고 45세(1535년) 때에 「林居十五詠」을 지어 隱居之志와 학문적 깨달음 그리고 道의 실천을 통한 正學의 수호와 進退辭受之義를 노래하였다. 그리고 성리학을 탐구하여 『大學章句補遺』, 『續或問』, 『求仁錄』 등의 저술을 남겨 性理學史에 빛난다. 또 忘齋孫叔暾과 忘機堂 曺漢輔에게 『書忘齋忘機堂無極太極說後』라는 글을 통해 성리학에 대한 정밀하고도 뛰어난 識見과 학문적 함축을 보였다. 그리하여 회재를 嶺南學派의 창시로 일컫기도 한다. 퇴계는 회재와 동시대인이며 10년의 차이가 있다. 퇴계 또한 性理學史에 빛나는 학문업적을 남겼으니, 곧 『心性論』의 독창적 이론을 전개하고 많은 저술을 남겨 퇴계학의 학문적 체계를 완성하였다. 그래서 이 두 분은 東方五賢으로 추앙받으니, 士林과 학문에 미친 영향과 位相은 매우 비범하다. 퇴계가 회재의 『임거십오영』을 차운한 것은 60세(1560년) 때 이다. 이 해 11월 퇴계는 奇高峯에게 四端七情을 논변하는 답신을 보내었으며, 또 도산서당이 완성되었다. 이 두 가지 사실은 퇴계 개인의 생애나 학문에 있어서만이 아니라 조선조 성리학계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때는 회재가 病死한(1553년) 지 7년이나 지난 후였다. 그리고 회재의 復爵에 대한 命이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퇴계가 회재의 시를 차운하고 제목까지 그대로 사용한 것은 회재에 대한 尊慕之心을 짐작하기에 충분하다고 할 것이다. 아마 퇴계는 회재의 삶과 학문을 통하여 도산은거의 전형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라 짐작된다. 나아가 회재의 영남사림과 성리학계의 位相으로 보아, 學統授受에 의한 도학적 전통과 성리학적 세계관 확립을 목적으로 『임거십오영』을 차운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시세계와 의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林居十五詠』은 평범한 산림생활의 日常이 잘 드러나 있으니, 퇴계가 그리는 이상적 삶이요 陶山隱居의 自樂을 노래하고 있다. 따라서 퇴계는 참된 은거의 典型을 모색하고 도학적 삶에 대한 연원과 모범을 실천하고자 하였으니, 곧 林泉幽居와 東魯眞隱의 意境이다. 둘째, 『林居十五詠』은 회재의 삶과 도학에 대한 景慕之情이 드러나 있으니, 퇴계의 학문정신과 尊賢정신이 형상화되어 있다. 따라서 퇴계는 도산에 은거하여 敬을 실천하고 학문을 연구하여 대자연의 조화와 順理에 동참하는 道의 경지를 노래하였으니, 곧 觀物樂時와 欲識前賢의 意境이다. 셋째, 『林居十五詠』은 도산은거를 통해 利慾으로부터 벗어난 지혜의 삶과 승화된 의식의 경계를 형상화하였으니, 內直外方의 敬을 실천하는 自省之心을 노래하였다. 따라서 天命의 두려움과 함께 대자연 속에서 天運의 끝없음을 깨닫게 된 道의 경지를 형상화 하였으니, 곧 靜中之敬과 聞道樂天의 意境이다. Toegye Lee Hwang consulted Hoejae Lee On-jeok’s ‘Imgeosipohyoung’ when he composed his poem‘Imgeosipohyoung’ and used the same title as that of the original. However, Toegye left out ‘Minhan(悶旱)’, ‘Chookyu(秋葵)’ and ‘Gammul(感物)’ from Hoejae’s‘Imgeosipohyoung’ and added ‘Rakcheon(樂天)’ and ‘Kimong(記夢)’,which came from Hoejae’s other poems, to his own work and completed the poem. Hoejae retired from his position in the government when he was 42(1532) and secluded himself on Mount Jaok in Gyeongju area. He wrote ‘Imgeosipohyoung’ in 1535 when he was 45, embodying the meaning of retiring to a hermitage, academic enlightenment and the pleasure coming from fulfilling ‘Do(道)’. His poem also showed the spirit of learning in the right way and the duties of entering into government service and retiring from it. Toegye wrote his poem ‘Imgeosipohyoung’, referring to the rhyme of Hoejae’s poem, in 1560 when he was 60. In November of that year, Toegye replied to Gigobong about ‘Sadanchiljeong(四端七情)’ and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Dosanseowon. These two things have a very important historical meaning in Toegye’s life and studies and in the Neo-Confucianism of the Joseon Dynasty. Thus, it is believed that Toegye used the rhyme of Hoejae’s‘Imgeosipohyoung’ in order to establish the tradition and view of the world of Neo-Confucianism through seeking the model of retirement and succeeding a scholastic mantle based on Hoejae’s life and studies. The World and ‘Eukyeong(意境) of Toegye’s poem ‘Imgeosipohyoung’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as follows. Firstly, ‘Imgeosipohyoung’ demonstrates ordinary life in a forest, singing the ideal life which Toegye envisioned and the joy of the retirement life at Dosanseowon. Therefore, Toegye sought a exemplary life of retirement and tried to trace the origin of ethical life and fulfill it. Secondly, ‘Imgeosipohyoung’ shows that Toegye embodied his academic spirit and sense of tradition through respect for Hoejae’s life and studies. Thus, in his poem, Toegye described the mastery of Do (道) in which he fulfills ‘Kyeong(敬)’, studies and participates the harmony and principles of nature. Finally, ‘Imgeosipohyoung’ manifests his knowledge free from interests and desire and sublimated consciousness through his retirement life in Dosanseowon. In other words, he praised the mind of self-discipline through which one can perform moral training and act in the right way.

      • KCI등재

        <武夷櫂歌>와 <陶山十二曲>의 비교연구

        손오규(Sohn O-Gyu) 한국문학회 2004 韓國文學論叢 Vol.38 No.-

        This thesis purports to comparatively study Mooyeegugogga and Dosanseebigok from the perspective of 'Sansoo' literature. The two poems are important in that we can take a look at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ransformations of their images. We can mak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natural environment of Mooyeegugogga can be seen from both the perspective view and the foreground view. Its scope is so wide and rough that it cannot be called Zuzi's routine life spac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whole of Gugog's landscape from the perspective view. Secondly, making a tour of Gugog is characteristic of specialty and temporality, meant to escape from routines and feel transcendental emotions. Zuzi portrayed, through his empathy, the natural environment as an utopia transcending reality. Thirdly, the natural environment of Dosanseebigok functions as cultural landscape, and is characteristic of factual and experiential routines. The harmony of life spac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made the poem realize the ideal of specific landscape beauty. Fourthly, Zuzi pays attention to the factual of the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his realistic aesthetic attitude. This means changes in his aesthetic object and sense. Fifthly, the plain life space of 'Ninth Gog' is the aesthetic status of Mooyeegugoga. But it didn't reach the general beauty of great nature expressed in the specific landscape, such as Mooye's landscape. Sixthly, the aesthetic status of Mooyeegugogga is expressed as simplicity in Dosanseebigok. This simplicity becomes symbolic of the general beauty of great nature implicating metaphysical ideologies through T'oegye's learning and self-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논문 : 한라산 산수유기(山水遊記)의 산수문학적 연구

        손오규 ( O Gyu Soh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6 No.-

        山水文學은 자연을 소재로 삼아, 산수애호의 정신에 입각하여, 山水美를 형상화한 詩歌와 文學작품이다. 그리고 江湖歌道類와 성리학적 이념을 자연미로 형상화한 작품도 포함한다. 하위 장르로 山水詩, 山水小品, 山水遊記가 있다. 첫째, 林悌(1549-1597)의 「南溟小乘」(1578)은 제주를 유람한 최초의 개인유람기이다. 金尙憲(1570-1652)의 「南차錄」은 1602년 8월 10일부터 이듬해 2월까지(6개월), 어사로 제주에서 수행한 임무와 見聞을 기록한 것으로, 관리의 한라산 유람기로서 대표적이다. 둘째, 金緻의 「遊漢拏山記」(1609)는 李元鎭의 「耽羅志」와 李源祚의 「耽羅誌草本」에도 실렸다. 김치는 1609년 4월 8일 한라산을 유람했다. 趙觀彬(1691-1757)의 「유한라산기」는 「遊南溟記」 「見老人星記」와 함께 제주 유배 時에 지었다. 李源祚(1782-1871)의 「유한라산기」는 「탐라록」 上에 실려 있는데, 1841년 秋分 다음날 한라산 등정을 출발하였다. 최익현(1833-1906)의 「유한라산기」는 형식적 구성면에서, 조선조 유학자의 전형적 산수유기라 하겠다. 이들의 산수유기는 장르의식이 명확하다. 셋째, 한라산의 名所舊蹟은 靈室 五百將軍, 白鹿潭, 尊者庵이 대표적이다. 또 특이한 식물이나 무생물을 포함한 여러 자연물과 자연현상도 포함된다. 따라서 한라산 명소구적은 반드시 人文歷史 유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것이 한라산 山水遊記에 나타난 명소구적의 특징이다. 넷째, 존자암은 험준한 山勢와 기암괴석 때문에, 超世俗的이며 原初的인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그 주변의 영실기암을 김상헌은 千佛峯이라 하고, 임제는 오백장군이라 명명하였으니, 영실기암의 ‘형식미’에 주목한 것이다. 따라서 그 意想은 한라산의 原初的 敍景美를 표상한다. 다섯째, 백록담은 神仙과 白鹿의 설화를 통해 신성성과 초월성을 강조하니, 原初的 純粹性으로의 回歸를 그 意象으로 한다. 老人星은 한라산에서 관찰이 가능한별(星)로, 그 意象은 長壽와 國泰民安을 상징한다. 여섯째, 한라산경계는 敍景이란 객관물경과 유람자의 감정이 융합된 한라산 山水美의 예술경계를 의미한다. 모두 유학적 산수관을 견지하였는데, 이원조와 최익현은 한라산 등정을 聖人의 학문적 경지에 비유하여, 哲理的 세계를 表象하게 되었다. 따라서 傳來的인 한라산境界가, 성리학적 사유의 대상과 우주관에 입각한 理念美로 전환되었다. Sansu literature consists of Sansusi, Sansusopoom and Sansuyugi. First, Lim Je’s 「Nammoungsoseung」 is the first personal travel essay to Jeju ever written. Kim Sang-Heon’s 「Namsarok」 represents all the Halla Mountain travel essays written as a government official. Second, according to Kimchie’s 『Yuhanlasanki』, he traveled to Halla Mountain on April 8th, 1609. Jo Gwan-bin’s 『Yuhanlasanki』 was written in Jeju along with 『Yunammyungki』 and 『Gyunnoinsungki』. Lee Won-Jo departed for the summit of Halla Mouatain the day after autumnal equinox of 1841. Choi Ik-Hyun’s 『Yuhanlasanki』 demonstrated typical Sansuyugi of Joseon Dynasty scholars. Their Sansuyugi displays clear sense of the genre. Third, Halla Mountain’s recognized locations and historical sites are Youngsil Obaekjanggun, Baengnokdam and Jonjaam. In addition, unique plants, various natural matters encompassing inanimated objects and natural phenomena are included. Jonjaam symbolizes the philosophy beyond secular world the and instinctive form of scenery of Halla Mountain. Yeongsilgiam is named after Cheonbulbong, Obaekjanggun remarked on Sansu’s beauty of form. Fourth, through the mystical spirit and Baengnok(White deer) tale, Baengnokdam exemplifies a return to instinctive desire. Canopus embodies longevity, the nation and the peace of people. The aesthetics of Halla Mountain portrays Confucius landscape, and it defines the learning of Saints. Therefore, the status of traditional aesthetics of Halla Mountain revolved around as Confucius ideology of beau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