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소 덩이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박영미 ( Young Mi Park ),최영조 ( Young Jo Choi ),손영실 ( Young Sil Son ),정은정 ( Eun Jeong Jeong ),김수선 ( Su Sun Kim ),변정미 ( Jung Mi Byun ),김영남 ( Young Nam Kim ),정대훈 ( Dae Hoon Jeong ),정철회 ( Chul Hoi Jeong ),이경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3

        목적: 최근 우리나라 여성에서 발생하는 난소 덩이의 조직병리학적 특성 및 임상양상을 조사하여 향후 진단 및 치료 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만 12년 6개월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과 동래백병원 산부인과에 난소 덩이로 입원하여 수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 2,875예를 대상으로 조직병리학적 분류와 연령에 따른 발생 분포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총 2,875예의 난소 덩이 중 비 신생물성 덩이가 1,078예 (37.5%), 신생물성 덩이가 1,797예 (62.5%)였고, 신생물성 덩이 중 양성 난소종양은 1,286예 (44.7%), 경계성 난소종양은 140예 (4.9%), 악성난소종양은 371예 (12.9%)였다. 비 신생물성 덩이 중에서는 자궁내막종이 644예 (59.7%)로 가장 많았고 양성 난소종양 중에서는 생식 세포 종양이 611예 (47.5%)로 가장 많았으며 경계성 난소종양 중에서는 점액낭샘종이 105예 (75.0%), 악성난소종양 중에서 상피성 난소암이 267예 (72.0%)로 가장 많았다. 연령에 따른 난소종양의 분포는 10대와 20대에서는 생식세포종양 (성숙 낭기형종)이 가장 많았고, 30대와 40대에서는 자궁내막종이 가장 많았으며, 50대 이상에서는 양성 상피성 난소종양이 가장 많았다. 결론: 최근 우리나라 여성에서 발생하는 난소 덩이 중에서는 전체적으로 자궁내막종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근래 자궁내막종의 증가 추세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help to make a decision about diagnosis and treatment of ovarian masses in Korean women. Methods: Women who were undergone operations and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as ovarian masses at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and Donrae Paik Hospital from January of 1997 to June of 200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istribution according to histopathological types and age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2875 cases, there were 1078 cases (37.5%) of non neoplastic masses and 1797 cases (62.5%) of neoplastic masses. In the neoplatic masses, there were 1286 cases (44.7%) of benign tumors, 140 cases (4.9%) of borderline tumors and 371 cases (12.9%) of malignant tumors. Endometriomas were most common tumors (644 cases, 59.7%) among non-neoplastic masses. Mature cystic teratomas were the most common tumors (598 cases, 46.5%) among benign tumors. Mucinous cystadenomas were the most common types (105 cases, 75.0%) among borderline tumors. Epithelial ovarian cancers were the most common types (267 cases, 72.0%) among malignant tumors. As the result of age distribution, mature cystic teratomas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the women of the first and second decade, endometriomas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the women of the third and fourth decade, and benign epithelial tumors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the women of fifth and after sixth decade. Conclusion: Taken as a whole, neoplastic ovarian masses were more common than non-neoplastic masses, but most common ovarian mass was endometrioma which is non-neoplastic mass.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에서 HER-2/neu 단백 발현

        정대훈 ( Dae Hoon Jeong ),김영남 ( Young Nam Kim ),박영미 ( Young Mi Park ),조인호 ( In Ho Cho ),서영진 ( Young Jin Seo ),손영실 ( Young Sil Son ),정수전 ( Su Jeon Jeong ),이경복 ( Kyung Bok Lee ),성문수 ( Moon Su Sung ),김기태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상피성 난소암에서 HER-2/neu 단백의 발현 정도를 알아보고, 난소암의 예후인자들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HER-2/neu 단백의 과발현이 난소암의 예후인자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9년 1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개복술을 시행하여 상피성 난소암으로 진단받은 45예 환자의 파라핀포매 조직을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여 HER-2/neu 단백 발현을 조사하였고 나이, 조직학적 유형, 수술 병기, 2㎝ 이상의 잔류 종양의 유무, 재발 등의 임상병리학적 특정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상피성 난소암에서의 HER-2/neu 단백의 과발현은 31.1% (14/45)로 나타났다. 첫 수술 후의 잔류 종양의 크기가 2㎝ 보다 큰 경우가 잔류종양의 크기가 2㎝ 이하인 경우보다 HER-2/neu 단백의 과발현이 높았으며 (60.0% vs 22.9%, pp=0.049), 재발된 경우가 재발되지 않은 경우보다 HER-2/neu 단백의 과발현이 높았다. (57.1% vs 24.0%, p=0.029). 그러나 HER-2/neu 단백의 과발현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로서의 의미는 없었다. 결론: 상피성 난소암에서의 HER-2/neu 단백의 과발현은 잔류종양과의 연관성 및 재발과의 연관성이 있었으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로서의 의미는 없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다변량 분석을 통한 각각의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HER-2/neu oncoprotein as a prognostic factor, we retrospectively examined its overexpression rates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rognostic factors.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for Her-2/neu oncoprotein was performed o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from 45 epithelial ovarian cancer operated between 1999 and 2002. We analyzed relationships between the overexpression of HER-2/neu oncoprotein and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age, histologic type, surgical stage, residual tumor ≥2㎝, and recurrence. Results: The rate of overexpression of HER-2/neu oncoprotein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was 31.1% (14/47). The overexpression of HER-2/neu oncoprotein showed associations with residual tumor ≥2㎝ (p=0.049) and recurrence (p=0.029) in univariate analysis. But, there were no associations between the overexpression of HER-2/neu oncoprotein and overall survival. Conclusion: The overexpression of HER-2/neu oncoprotein was associated with residual tumor and recurrence in univariate analysis, but appeared to have no prognostic significance for overall survival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Further and larger prospective studie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are necessary to establish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these observations.

      • 남성화를 보이는 여성에서 발견된 난소의 Steroid Cell Tumor 1예

        조인호,정대훈,박영미,서영진,손영실,정철회,강영미,정수전,김영남,이경복,성문수,김기태 인제대학교 2006 仁濟醫學 Vol.27 No.-

        Steroid cell tumor is a rare ovarian sex cord-stromal tumor which accounts for 0.1% of all ovarian tumors. Until now, only 4 cases have been reported in domestic literatures. Steroid cell tumor often secrets testosterone and presents virilization in adult women or precocious puberty in children. Treatment is often performed by surgical removal, 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but completely accepted treatment was not existed. We experienced a case of steroid cell tumor, which was manifested by typical virilization in a 43-year old patient, who was previously performed hysterectomy and unilateral oophorectomy. So, we present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