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 인구에 있어 환자용 의약품 안전사용 설명서의 활용성 평가

        손미정 ( Mi Jung Son ),이인향 ( Lyn Hyang Lee )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2016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26 No.-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adability and comprehensibility of the drug information on a patient leaflet for the senior by employing perlormance-based user-testing. Methods: We included 36 elderly (65 years old or older) as the senior group (intervention group) and 36 adults (40~59 years old) as the adult group (control),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to test if participants could access to drug information. After completing a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 was interviewed about their understanding over the patient leaflet. We performed t-test, X<sup>2</sup>-test or Fisher``s exact test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primary outcomes. Results: The senior were less likely able to find inlormation (78%) than the adult (91%); they were much less likely able to understand information (42%) than the adult (69%). While we found differences between the ability of finding and understanding drug information in both groups, the senior group had greater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ll kinds of drug inlormation. They had significant difficulties to remember information after reading the patient leaflet and frequently failed to find proper information even though they were allowed to access freely to the leatlet during interviewing. Conclusion: To secure safe and effective use of drugs for the senior, it is necessary to develop drug leaflets for the senior.

      • KCI등재

        스키마, 스토리텔링을 도입한 일본어 작문 수업 연구

        손미정(Son, Mi-Jung) 대한일어일문학회 2018 일어일문학 Vol.79 No.-

        In general, the feedback of the beginner`s Japanese writing class is aimed at learning precisely the writing through the primary correction activities of the learner`s grammatical errors and the vocabulary including the Chinese characters. Thus, it is a reality that the learner can not describe the situation or write the explanation in Japanese expressions, and even the secondary correction activities such as writing errors in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topic to utilize the schema and storytelling of the learner in order to supplement it a little, and presents the four-frame cartoon to link the dialogue. At this time, a native Japanese learner is requested to write a composition based on each situation - writing based on the theme of the writing textbook and writing written using a four-frame cartoon. And the expressions, vocabulary and grammatical items shown in the composition of the Japanese speaker compare with the elements of composition of the Korean learners. Based on this, it is examined how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four-frame cartoon lesson using the schema storytelling and the teaching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Japanese textbook.

      • KCI등재

        노동관계법상 외국인 여성 근로자의 권리에 관한 제론

        손미정(Son Mi-Joung)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6 No.-

        다문화사회에 대한 논의가 사회각계에서 다양한 시각으로 논의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국내 유입된 외국인 중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외국인 여성 근로자는 외국인 근로자라는 측면과 여성 근로자라는 측면의 이중적인 사회적 취약점을 보유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법적 권리성의 확보 및 권리의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현행 외국인 근로자 고용제도 하에서 외국인 여성 근로자의 권리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들이 국내에 유입되는 과정에서부터 본국으로 출국할 때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대한 통합적 논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고용절차에 있어서 외국인 여성 근로자는 근로계약내용 결정에 관한 의사반영이 어렵고 사용자로부터 일방적으로 채용을 당하게 되는 구조 하에 고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관한 입법적 보완이 요구된다. 근로과정에 있어서 외국인 여성 근로자는 외국인으로서의 언어적 문제 및 여성으로서의 신체적 약자로 인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직장내 차별대우, 모성보호의 미비, 성희롱 등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에 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의 의무화가 강조된다. In korea, we are making various arguments about a multicultural society. I think that the new discussion on legal protection of foreign worker should be studied in the current situation. Especially, foreign female worker don’t be protected for their legal rights because they have double holes, it is the point by foreign worker and by female worker. In order to protect on the rights of foreign female worker under the current foreign worker employment, we should discuss a series of course form the process of entering to the process of leaving the domestic country. It is required to do legislative supplement on this problem because the foreign female worker in employment don’t express their views on the labor contract and they are employed unilaterally. It must be stressed that make course of study and make indication of an education for discrimination in workplace, maternity protection and sexual harassment due to foreign female worker in labor relations have communication problems by foreigners and physical problems by the weak as the woman.

      • KCI등재

        단체협약상 우선 ․ 특별채용규정의 효력에 관한 법적 연구

        손미정(Son Mijoung) 한국법학회 2016 법학연구 Vol.64 No.-

        노사자치의 산물인 단체협약은 원칙적으로 그 자체로서 법규범적 효력을 발휘하지만, 만약 그것이 단체교섭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거나 그 내용이 다른 법령에 기초하여 위법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단체협약은 효력을 상실한다. 관련하여, 본 연구의 중심에 있는 단체협약상 근로자의 우선 ․ 특별채용 규정은 이른바 ‘고용세습’적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하여 그 효력에 대한 법적 논란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재판부는 근로자의 우선 ․ 특별채용 규정이 근로조건에 해당되지 아니하므로 애초에 단체교섭의 대상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노사합의 자체가 민법 제103조의 반사회질서행위에 해당되어 무효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근로자에 대한 인사사항이 근로조건에 해당될 수도 있다고 보는 기존의 판례의 입장 및 우선 ․ 특별채용 규정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하여 세부적으로 그 효력유무를 판단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우선 ․ 특별채용 규정의 효력을 일괄적으로 부정하는 재판부의 의견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즉, 우선 ․ 특별채용 규정의 여러 유형들 중에서도 업무상 재해로 인한 사망 근로자 가족에 대한 우선 ․ 특별채용 규정의 경우에는 그 공정성이 보충적으로 확보되는 한 해당규정의 효력을 인정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또한, 위법부당한 고용세습규정에 대한 시정조치로서 현행법상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시정명령제도 및 이의 불이행에 대한 벌칙은 그 실효성 및 효율성 측면에 있어서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므로 누진적 혹은 가중적 처벌조치를 마련하는 등 입법불비에 대한 해결을 도모하는데 치중할 필요가 있다. Collective agreement, which are products of labor-management autonomy, reasserts by law in principle, but if it is not subject to collective bargaining or their contents are judged to be unlawful based on other laws and regulations, that collective agreement regulations lose effect. In relation to this, there is a legal controversy about the effect of the first and the special employment regulations of the workers in the collective agreement, which is the center of this study, because it has contents of preferential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the justice department is judging to be invalid about this because the first and the special employment regulation of the workers is not applicable to working conditions and thus it is not subject to collective bargaining at the beginning, and that such agreement are ineffective due to the anti-social order acts of Article 103 of the Civil Act. However, I disagree with the opinion of the court that denies the effect of the first and the special employment regulation of the workers in all cases, on a basis existing cases that particular about workers recruitment conforms to working condition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effect of hereditary employment regulation by typing the first and the special employment regulation of the workers concretely.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priority and special recruitment regulations for the family members of the deceased workers due to work accidents among the various types of special recruitment regulation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effect of the regulations as long as the fairness is complementary. In addition, as a corrective measure against illegal preferential employment regulations, the penalties for the correction-order system and non-compliance by the government under the current law are not functioning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solving the legislative inconveniences through methods such as progressive and increased punitive measures.

      • KCI등재

        성차별에 대한 근로자 보호 법리

        손미정(Son, Mi-Joung)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헌법상 국민의 평등권 규정에서 열거하고 있는 차별의 사유 및 차별의 영역 가운데 차별의 사유로서의 ‘성별’과 차별의 영역으로서의 ‘노동영역’에 해당하는, 이른바 ‘근로관계에 있어서 근로자에 대한 성차별’에 관하여 논의한다. 근로관계에 있어서의 성차별은 피해자인 근로자가 가해자인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상대적 약자의 지위에 있다고 하는 근로관계의 특수성과 노동영역에 있어서 고용절차 및 근로과정에 이르는 단계적 연속성 속에서 발생하므로 성차별 대상으로서의 근로자에 대한 사회법적 보호가 특별히 요구된다. 결국 이를 위하여, 여성근로자에 대한 성차별금지에 편향되어 있는 관련법규에 대한 재정비 및 구체적 사안에 있어서 성차별의 합리성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의 마련을 통하여 관련법이 궁극적으로 근로관계의 당사자가 성차별 사안에서 논리적으로 항변할 수 있는 근거로서 뿐만 아니라 재판부에서 보다 객관적 판단 기준으로 인용할 수 있는 근거로서 그 실효성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about ‘sex based discrimination on the workers in labor relationship’, of ‘gender’ by the reason for the discrimination and ‘labor territory’ as the ground for the discrimination, listed in the equal right of the people on the constitutional law. Because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labor relation breaks out in the area of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relationship that workers by the victim are in the status of the weak person and step-by-step continuity at the hiring process and the labor process in the labor area, it is demanded especially to protect the workers. For this purpose, after all,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must put out the effectiveness not only by the logical basis of a plea but also by the grounds of a quotation on the objective judgment in the justice department via an arrangement of a standard of judgment about the rationality of sexual discrimination.

      • KCI등재

        근로자 모집 · 채용시 신체검사의 정당성 여부에 관한 법적 연구

        손미정(Son, Mi-Joung)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근로자 모집 · 채용시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른바 ‘채용건강검진’이라 불리는 신체검사의 결과가 그 법적 근거 없이 채용기준으로 반영되고 있는 실정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법리적 검토를 하고 있다. 채용건강진단제도는 2005년 이전까지「산업안전보건법」상 근거하면서 채용내정자의 건강상태 파악을 통한 건강관리 및 적정업무 배치 등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취지로 시행된 바 있다. 그러나 2005년 제도폐지 이후에도 현재까지 관행적으로 그 제도적 명맥을 유지하면서 채용과정에서 불합리한 고용차별의 수단으로 반영 · 활용되고 있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사용자의 인사경영권의 측면에서, 근로자가 되려는 자에 대한 채용건강검진이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현행법의 해석상 채용건강검진의 결과는 채용내정자의 근로계약의 유무에 영향을 끼칠 법적 근거가 없으므로, 채용건강검진의 결과 건강이상으로 인한 근로의 금지 · 제한은 근로관계의 성립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또한, 채용건강검진으로 인한 채용응시자에 대한 근로권 침해시 현행법상 차별금지위반에 대한 벌칙조항을 마련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재 및 근로자의 권리구제를 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outcome of the physical examination, which is called the ‘Recruitment Health Screening’, which is commonly conducted in employment and is considering a legal basis about it. Prior to 2005, the physical examination in employment system have been enforced to the effect of a ba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health care and proper placement of health car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health status on the basis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However, since the 2005 system was abolished, it has been touted as a means of treating unreasonable employment in practice being used as a means of treating discrimination in the recruitment process. In the context of the employee’s personnel manage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e current employment screening process about workers may be assessed, but the results of employment screening on the current law shall not be construed as having no legal basis for the existence of the employment contracts. Therefore, workers’ limit prohibition in line of health strange in result from Recruitment Health Screening have to be construed as be unconnected with establishment of the employment contracts. In addition, it needs to prepare penalties for violations of the current law and seek redress of workers’ rights about the provision of penalty clauses for violations of employment candidates due to occupational health exam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근로자 건강진단시 정신검진항목의 도입 여부에 관한 법적 연구

        손미정(Son, Mi-Joung)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東亞法學 Vol.- No.81

        감정노동 근로자에 대한 보호의 문제는 근로자 건강권 보장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헌법적 의미를 가진다. 특히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증가에 따라 감정노동에 대한 논의가 이미 지속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법제도적 연구는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2016년 금융관련업 5개 법률 및 2018년 산업안전보건법상 신설된 ‘사업주의 근로자 보호조치 의무’ 규정은 근로현장에서의 감정노동 근로자에 대한 보호법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 의미가 있다. 그러나 그 실효성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에서 본 보호규정이 감정노동 근로자의 보호에 얼마나 기여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따라서 건강권에 관한 전방위적 보장제도로서 도입되어 있는 건강진단 제도를 통한 감정노동 근로자 보호방안에 대하여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에대한 여러 방안이 논의될 수 있겠으나 현행 건강진단제도 하에서 가장 합리적인 방안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일반건강진단시 정신검진항목을 추가하여 일반국민과 구별되는 ‘근로자’에 대한 정신건강을 보다 전문적으로 노동법 영역에서 실현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The problem of protection for emotional laborer has a very important constitutional meaning in terms of guaranteeing workers" rights of health. In spite of the debate on emotional labor has already been continued o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ers engaged in the service industry, there is not enough legal study. The employer"s obligations to protect workers in the five regulations of the financial industry in 2016 an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f 2018 have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protection of emotional laborers in the workplace. However, in the reality that its effectiveness is not properly examined, it is questioned how this protection regulation will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emotional labor work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o protect the emotional laborer through the health checkup system, which has been introduced as an all-round guarantee system for rights of health. In short, the most reasonable measure under the current health examination system is the addition of a mental examination item in the general health examination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so It is considered to be realized the mental health of the ‘worker’ professionally in the area of labor law.

      • KCI등재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손미정(Son, MiJoung) 한국법학회 2014 법학연구 Vol.54 No.-

        여성근로자에 대한 건강보장은 국민으로서의 인간다운 생활권에 기인한 보편적 건강보장권 및 근로권의 측면에서 출발하여 남성근로자에 대별하는 국가의 여성근로에 대한 특별보호의무를 그 헌법적 근거로 하여 권리내용이 구체화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장기화 되고 있는 경기불황과 일자리부족 등의 노동문제를 비롯하여 이와 더불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과거 산업부흥기로 대별되던 시기에 이루어져 온 사회법영역에 있어서의 여성근로자 보호 차원에서의 건강보장을 구성하는 단순 법리로 이에 대응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즉, 과거 사회법영역에서 규정되던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이 남성에 대한 여성 보호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그 보호법리가 구성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법의 내용을 규정하는데 치중하였다면, 현재는 노동현실의 변화에 따라 성인지적 관점에서 모성 보호의 구체적 한계를 설정하는데 그 역량이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은 근로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여성근로자 개인의 건강보장의 의의 뿐만 아니라 모성기능의 발현을 통하여 건전하고 지속적인 세대유지를 도모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의의를 동시에 가지므로 여성근로자에 대한 특별 보호는 곧 모성보호로 귀결되는데, 이러한 특별 보호는 그 구체적 권리내용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에 대한 보호의 내용을 개별 보호영역의 세분화에 따라 구체적으로 규정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호의 필요성에 근거한 입법은 자칫 보호의 과잉으로 이어져 역차별의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는 여성근로자의 건강 보장을 위한 최대범위 설정의 기준이 근로관계에 있어서의 남녀평등대우의 원칙의 예외로서의 최소허용범위 기준과 대체로 일치되는 수준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즉, 모성보장권의 구체적 권리내용의 규정 시, i)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 보호를 위한 건강보장수준이 어느 정도를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설정이 어렵다는 점, ii)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을 위한 조치가 곧 모성보호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객관적 증명이 어렵다는 점, iii) 여성근로자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보호하기 위한 근로조건의 수준이 여성근로자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의 입법과제를 인지하고 각각의 문제에 대한 해결에 관하여 여성 보호 필요성의 관점이 아닌 성인지적 한계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increased activity of female worker in the area of labor activity according to the changing of the times, social law is developing to protect the health of female worker. Especially, health protection of female worker with maternal function results from the right to health and the right to work of all by the human right, also its content of the right is materializing through the specific identifications on a basis of the special duty of state toward female worker. Protection on the health of female worker contains not only the meaning of individual health protection on female worker but also a national significance for keeping up wholesome and continuous generation. After all, special protection on the female worker is concluded in special protection of maternity. On the other hand, maternity protection by the special protection for the health of female worker includes some limitations as to the contents of a unified law on the protection of maternity for maintaining of maternity and exhibition of maternity. Thus, the standards of the maximal extent for the protection of maternity and the standards of the minimum range as an excep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between men and women must coincide to protect the health of female worker.

      • KCI등재

        노후 최저생활보장의 법적 기준에 관한 연구

        손미정(Son Mijoung) 한국법학회 2015 법학연구 Vol.60 No.-

        노인은 신체의 노화에 기한 근로능력의 감소 내지 상실로 인하여 빈곤이라는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생애주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회보장체계에서 특히 노후 최저생활보장에 관하여는 ‘소득보장’을 중심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현행 사회보장구조상 노후 생활보장의 중심제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국민연금제도 및 기초연금제도의 법적 기준에 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사회보장영역적 특성에 따른 각 제도의 권리내용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최저생활보장에 관한 제도별 궁극적 취지, 타법과의 상호 유기적 관계, 권리제한 근거에 대한 법리 등의 측면에서 그 타당성이 결여되거나 모순되는 법적 기준들을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기한 노후 최저생활보장의 수준 및 급여제한에 관한 사항들이 빠른 시일 내에 재정비되어, 장기적으로 본 연구가 고령사회에 대비한 효과적인 권리 보장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aged have life cycle characteristics to be exposed to social danger of poverty due to the decline or the loss of labor ability caused by their aging of the body. Therefore discussions about the old age security of the minimum living especially need to be going along mainly with income security in the social security system. From a viewpoint of that, we in detail need to study legal standards of national pension system and basic pension system to be main systems on the old age protection of living in the current social security structure. There are legal standards of lack validity or contradiction among the system in terms of the ultimate spirit of each system, mutual organic relationship among social security systems, legal principles about the basis on limits of rights and so on, despite of the construction of the right through each system with the area characteristics of social security. I want to be reorganized concerning the level of old age security of the living and the restriction of rights suggested in this paper as soon as possible. And I expect this study to become the foundation of effective security of rights as a warning for the aging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