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손 동작 인식을 통한 사용자에게 편리한 핸드마우스 인터페이스 구현

        강성원(Sungwon Kang),김철중(Chuljoong Kim),원(Won Soh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9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9 No.11

        컴퓨터의 소형화로 휴대성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컴퓨터 인터페이싱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을 위한 제스처 기반의 제어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손동작 인터페이스 구현들은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방법에 대한 선행학습이 필요하였다. 이 논문은 사용자의 손 모양과 손끝 정보만을 가지고 선행학습이 요구되지 않는 간편한 인터페이스 구현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1대의 웹캠과 인텔의 오픈소스 영상처리 라이브러리 OpenCv를 사용하였다. 차영상과 화소값 기반의 영상처리과정을 통해 실시간으로 손 영역을 추적하고 이를 이진화 시켰다. 손가락의 움직임도 값이 변하지 않도록 중심모멘트를 설정하여 마우스 커서 움직임을 상대적으로 활용하였다. 상황에 따라 손 끝점을 절대적 좌표로 활용하여 손이 웹캠에서 벋어날 때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켰다. 마지막으로 검지의 움직임 하나 만으로 마우스 클릭 이벤트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친숙한 핸드마우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 KCI등재

        모더니즘의 시, 공간에 대한 도전 -베르그손과 마티스의 미학을 중심으로

        원정 ( Won Jung Sohn ) 한국미학회 2012 美學 Vol.70 No.-

        고대로부터 근대, 현대에 이르기까지 미메시스는 서구의 주요한 인식적 틀로서 존재해왔다. 때문에 모더니스트들의 미메시스적 예술 창작 방식으로부터 탈피하고자 하는 경향은 다시 말해 전혀 다른 인식의 패러다임이 필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향성, 그리고 이성중심주의적 현실 인식에 대한 불신이 만연했고, 이에 따라 ``본다는 것은 사물을 통제한다는 것``이라는 암묵적 합의는 설 곳을 잃게 되었다. 이러한 사상적 위기는 예술 형식에 있어서의 혁명적 변화를 추동하였고, 외부 세계에 대한 모사는 더 이상 예술가의 임무가 아니었다. 이제 모더니스트 예술가는 미메시스적 전략으로는 결코 재현될 수 없는 가치를 표현하고자 했다. 이 논문은 베르그손의 지속성의 개념과 중기 마티스의 회화의 관계를 살핀다. 베르그손은 지속성의 개념을 통해 근대 인식적 틀의 유효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끊임없이 운동하는 이질성의 상태``로서의 지속성의 개념은 단지 시간에 대한 또 다른 이해의 방법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현재``를 이제까지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여 물리적이고 규격화된 시간 속에서의 ``지금``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우리에게 안겨주었다. 지속성에 대한 고찰은 마티스의 원근법에 대한 도전에 관한 소고로 이어진다. 마티스는 베르그손의 사상적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회화 전반에서 미메시스적 양식을 해제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마티스의 회화를 살펴봄으로써 서구 모더니즘 이후 예술 창작 및 수용 과정이 어떻게 예술 활동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는지를 간략히 살피도록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Bergson`s concept of duration and Matisse`s artistic challenges against perspective. The concept of duration offered an effective means to question the Modernist paradigm of thought and perception. By proposing duration as a state of heterogeneity, Bergson provides us with an alternative concept of the present which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the physical now, giving focus to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My discussion of Bergson will then be followed by a short study on the challenge against perspective by Matisse,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key figures who contributed to disrupting mimetic conventions in the field of painting. By looking at the works of Matisse, who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philosophy of Bergson, I will examine how the subjectivity of the artist and spectator came to occupy the central role of artistic production and reception.

      • KCI등재

        Biopower and Dystopian Novels: Brave New World, 1984, and The Handmaid’s Tale

        Sohn, Ilsu(일수) 새한영어영문학회 2020 새한영어영문학 Vol.62 No.4

        This essay aims to create a method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twentieth-century dystopian novels. Aldous Huxley’s Brave New World (1932), George Orwell’s 1984 (1949), and Margaret Atwood’s The Handmaid’s Tale (1985) commonly base their dystopian imagination on the varying manifestations of biopower, the power that realizes itself through the advanced understanding and politicization of life. Brave New World and 1984 depict how the mind and the body could be thoroughly disciplined and engineered for social stability and conformity; however, the futuristic domination of life by technology in those two early twentieth-century novels disregards the historicity of life. Published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 Handmaid’s Tale does not focus on the unlimited, inexhaustible power of technology but uses as its setting an ecologically endangered environment and population. The biopower of Atwood’s dystopia operates based on ecologic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its time, thereby having access to more intimate realms of life. A comparative study of this essay illustrates how the literary understanding of biopower evolves with the genre of the dystopian novel.

      • KCI등재

        시변 볼륨 데이터의 압축과 가시화 기법

        봉수(Bong-Soo Soh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3

        본 논문에서는 시간에 따라서 변하는 삼차원 볼륨의 집합인 볼륨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 기법을 제안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압축 해제하며 가시화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시변 볼륨 데이터는 한 프레임의 크기 조차도 매우 크기 때문에 그 크기를 줄이는 압축 기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실행 과정에서 일어나는 압축 해제는 시변 볼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시화 하는데 있어 병목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실행 중의 압축 해제 속도와 데이터의 압축률을 높이기 위하여 삼차원 볼륨 데이터를 작은 블록으로 분해하고 충분히 많이 변하는 블록들을 갱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을 구현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압축 및 압축해제 기법이 압축 해제 속도와 압축에서 복원된 데이터의 정확성, 그리고 압축률의 정도를 조절하여 대용량 시변 볼륨데이터의 대화형 가시화를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describes a compression scheme for volumetric video data(3D space X 1D time) where each frame of the volume is decompressed and rendered in real-time. Since even one frame size of volume is very large, run-time decompression can be a bottleneck for real-time playback of time-varying volume data. To increase the run-time decompression speed and compression ratio, we decompose the volume into small blocks and only update significantly changing blocks. The results show that our compression scheme compromises decompression speed and image quality well enough for interactive time-varying visualization.

      • KCI등재

        루이스 그래식 기본의 『스코틀랜드 서』

        일수(Ilsu Sohn)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6 No.-

        본 논문은 스코틀랜드 작가 루이스 그래식 기본의 3부작 소설 『스코틀랜드 서』를 분석함으로써 크게 두 가지 학술적 목표를 추구한다. 첫째, 국내 영문학계에서 여전히 학문적 관심을 크게 누리지 못하고 있는 스코틀랜드 문학, 특히 20세기 초 스코틀랜드 르네상스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잉글랜드 중심의 영국문학 이해를 재고하고 20세기 영문학과 모더니즘의 국내 연구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스코틀랜드 르네상스는 1차 세계대전 후 영제국과의 복합적인 관계 속에서 스코틀랜드의 정체성을 문학적으로 표현하고자 한 운동이었고, 반동적인 민족주의나 목가적인 지역주의로 귀결되지 않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스코틀랜드 르네상스의 대표적 소설가인 기본의 대표작을 생태비평의 관점에서 연구함으로써 저자가 스코틀랜드의 생태 환경에 기반한 어떤 형태의 사회관계와 공동체를 제시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소설의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여성 인물 크리스의 생태적 태도와 상상력은 스코틀랜드 사람들을 자신들의 이념에 따라 계도하고 개조하려는 인본주의적 이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데 기여한다. 하지만 기본의 소설은 생태적 상상력을 통해 인본주의를 넘어서는 보다 확장되고 지속 가능한 사회관계를 지향하면서도, 그것을 현실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권력과 자원의 유무에 대한 냉엄한 역사의식도 유지한다. 기본은 이 갈등을 당대의 사회적 지평에서 찾을 수 없었던 조건을 가상으로 창조하여 해소하려는 로맨스적인 유혹에 저항한다. 이 저항을 통해 그는 방대한 소설의 서사적 긴장을 유지하고 작품의 예술성을 최대치로 달성한다. This essay aims at two academic goals by analyzing Scottish writer Lewis Grassic Gibbon’s A Scots Quair. First, a study of Scottish literature, especially the Scottish Renaissance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ill help to rethink England-oriented studies of British literature in South Korea and to widen the horizon of studying twentieth-century English literature and modernism. It is only recently that scholars began to appreciate how the primary writers associated with the Scottish Renaissance resisted regressive nationalism or idyllic regionalism. Although the Scottish Renaissance rarely received critical attention in South Korea, it had arisen to reestablish Scottish identity within the ever more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British Empire after the First World War and thus offers an invaluable position to investigate the inner contradictions of British literature. Second, this essay’s study of Gibbon’s masterpiece will focus on its ecological imagination and the ways in which it helps to design more inclusive and just social relations. The protagonist Chris’s ecological attitude and imagination allow her a critical stance toward a series of humanistic beliefs that seek to remodel humanity on their ideals; however, the novel never compromises its realistic recognition of grueling social conditions at the time in Scotland which made it difficult for her vision to be actualized. This powerful ecological imagination combined with the uncompromising historical consciousness creates a narrative tension in this magnum opus and helps to maximize its artistic greatness.

      • KCI등재
      • KCI등재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왕과 영웅들의 수사

        윤락(SOHN, Yun-Ra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7

        이 논문은 서양 최초의 문학 작품으로 오랜 구전의 전통을 이어받은 서사시『일리아스』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웅들의 말과 대화를 분석해 보면 그 안에서 강력한 설득의 장치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또한 이런 요소들 때문에 『일리아스』가 수사학이 성립하기 훨씬 이전의 작품이지만 이후에 나오는 수사학 텍스트들에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왕과 영웅들의 회의가 빈번하게 나오며, 회의는 남자들이 자신을 돋보이게 하는 장소로 일컬어진다. 여기서의 발언자는 청중을 설득하는 연사가 된다. 그런 만큼 이 작품에는 “설득하다”라는 뜻의 희랍어 동사 peith?와 그것의 수동태 peithomai가 자주 나온다. 특히 이 수동태 표현은 수동의미 그대로 “나는 설득당한다”라는 뜻도 있지만 “나는 복종한다, 따른다”라는 전환된 뜻도 가지고 있으며, 연설에 대한 청중의 반응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일리아스』 제9권에서 포이닉스가 말하는 것처럼, 뛰어난 사람은 훌륭하게 행동하는 사람일 뿐 아니라 훌륭하게 말할 줄 아는 사람이어야만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시학』에서 호메로스가 거짓말 pseud?과 오류추론 paralogismos을 효과적인 설득의 기술로 사용한 최초의 사람으로, “무엇보다도 그가 다른 시인들에게 어떻게 거짓말을 해야 하는지 가르쳐주었다”고 말한다. 사실 고대 세계에서 호메로스는 많은 작가들에 의해 설득의 귀재로 찬양된다. 이 논문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이 측면을 강하게 해석해 보려는 시도다. 즉, 이 작품에 “수사학”이라는 말은 나오지 않지만, 영웅들이 회의에서 공적인 연사 agor?t?s로 불리고 있고, 신들도 인간들도 끊임없이 상대를 말로써 설득하려고 하며, 더구나 수사학의 이론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일리아스』가 고대 수사학의 원텍스트라고 할 수 있음을 밝힌다.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at we could find a powerful device of persuasion in the Iliad, the first written work of Western literature as a result of long tradition of oral poetry. Through this study we will understand why the Iliad has been treated as important in the texts of rhetoric even if it was a work made far before the definition of ‘rhetoric’ was established. In Homer"s Iliad, the scenes of meeting and assembly of heros are no less frequent than those of battle. The assembly is said to be the place where men make themselves distinguished by their speech. Here the speaker persuades the audience. As it is, one can read frequently in this work the verb ‘peith?’ and its Passive form ‘peithomai’. This latter form means not only “I am persuaded” as passive sens, but also “I obey” as transformed meaning, which exposes the reaction of the audience. As Poinix says in the Book IX of Iliad, a good man must be a man who not only behaves well but also speaks well. Aristotle in his Poetics describes that Homer was the first who made use of ‘lies’(pseud?) and false reasoning(paralogismos) as an effective means of persuasion, saying that "he has chiefly taught other poets the art of telling lies skilfully". In fact, from the time of ancient Greece Homer has been praised by many authors as a genius of persuasion. This paper is a trial to strongly estimate this feature in his work. Although the word ‘rhetoric’ does not appear in the Iliad, a hero is called public speaker(agor?t?s) in assembly, whose excellence as a hero lies partly in his ability to persuade the audience. Moreover, in some measure, this work is equipped with those elements that a theory of rhetoric ought to have. Therefore, my trial has a positive support. 이 논문은 서양 최초의 문학 작품으로 오랜 구전의 전통을 이어받은 서사시『일리아스』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웅들의 말과 대화를 분석해 보면 그 안에서 강력한 설득의 장치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또한 이런 요소들 때문에 『일리아스』가 수사학이 성립하기 훨씬 이전의 작품이지만 이후에 나오는 수사학 텍스트들에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왕과 영웅들의 회의가 빈번하게 나오며, 회의는 남자들이 자신을 돋보이게 하는 장소로 일컬어진다. 여기서의 발언자는 청중을 설득하는 연사가 된다. 그런 만큼 이 작품에는 “설득하다”라는 뜻의 희랍어 동사 peith?와 그것의 수동태 peithomai가 자주 나온다. 특히 이 수동태 표현은 수동의미 그대로 “나는 설득당한다”라는 뜻도 있지만 “나는 복종한다, 따른다”라는 전환된 뜻도 가지고 있으며, 연설에 대한 청중의 반응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일리아스』 제9권에서 포이닉스가 말하는 것처럼, 뛰어난 사람은 훌륭하게 행동하는 사람일 뿐 아니라 훌륭하게 말할 줄 아는 사람이어야만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시학』에서 호메로스가 거짓말 pseud?과 오류추론 paralogismos을 효과적인 설득의 기술로 사용한 최초의 사람으로, “무엇보다도 그가 다른 시인들에게 어떻게 거짓말을 해야 하는지 가르쳐주었다”고 말한다. 사실 고대 세계에서 호메로스는 많은 작가들에 의해 설득의 귀재로 찬양된다. 이 논문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이 측면을 강하게 해석해 보려는 시도다. 즉, 이 작품에 “수사학”이라는 말은 나오지 않지만, 영웅들이 회의에서 공적인 연사 agor?t?s로 불리고 있고, 신들도 인간들도 끊임없이 상대를 말로써 설득하려고 하며, 더구나 수사학의 이론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일리아스』가 고대 수사학의 원텍스트라고 할 수 있음을 밝힌다.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at we could find a powerful device of persuasion in the Iliad, the first written work of Western literature as a result of long tradition of oral poetry. Through this study we will understand why the Iliad has been treated as important in the texts of rhetoric even if it was a work made far before the definition of ‘rhetoric’ was established. In Homer"s Iliad, the scenes of meeting and assembly of heros are no less frequent than those of battle. The assembly is said to be the place where men make themselves distinguished by their speech. Here the speaker persuades the audience. As it is, one can read frequently in this work the verb ‘peith?’ and its Passive form ‘peithomai’. This latter form means not only “I am persuaded” as passive sens, but also “I obey” as transformed meaning, which exposes the reaction of the audience. As Poinix says in the Book IX of Iliad, a good man must be a man who not only behaves well but also speaks well. Aristotle in his Poetics describes that Homer was the first who made use of ‘lies’(pseud?) and false reasoning(paralogismos) as an effective means of persuasion, saying that "he has chiefly taught other poets the art of telling lies skilfully". In fact, from the time of ancient Greece Homer has been praised by many authors as a genius of persuasion. This paper is a trial to strongly estimate this feature in his work. Although the word ‘rhetoric’ does not appear in the Iliad, a hero is called public speaker(agor?t?s) in assembly, whose excellence as a hero lies partly in his ability to persuade the audience. Moreover, in some measure, this work is equipped with those elements that a theory of rhetoric ought to have. Therefore, my trial has a positive support.

      • KCI등재

        출산을 사회화하기 : 1960-70년대 한국의 가족계획사업

        애리 ( Ae Lee Soh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3 한국사회 Vol.14 No.1

        본고는 1960-1970년대 한국에서 행해진 가족계획사업을 연구한다. 먼저 여성의 신체를 대상으로 한 인구조절정책이라는 가족계획사업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넘어서 근대적 주체 생산 장치라는 관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인구에 대한 앎의 의지와 관리의 의지, 보호의 의지가 어떻게 한국의 가족계획사업에서도 관철되었는지를 살핀다. 구체적으로는 출산을 담당하는 여성의 신체는 국가행정과 의료장치의 관리 하에 놓이고 감시와 입법의 대상으로 설정되었다는 사실, 개별 인구의 성생활 행태는 과잉출산이라는 비정상을 교정한다는 명목으로 보건요원의 감시망에 포착되고 사회과학자에 의해 통계 데이터로 축적되었다는 사실, 그리고 사업은 경제적 관점에서 출발했지만 여성의 신체적 건강과 사회적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여성주의 담론과 결합하면서 추진 동력을 얻었다는 사실을 검토한다. 이런 작업을 통해 본고는 한국의 가족계획사업은 권위주의적인 군사정부 아래서 근대적인 앎의 의지와 관리의 의지, 보호의 의지가 추동해낸 근대적 계몽프로젝트이며, 이를 통해 새로운 유형의 근대적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이었음을 확인한다. This study examines Korea`s Family Planning Program in the 1960s and 70s. It suggests that the Program was more than a population control policy carried out on women`s bodies; it was a device to form modern subjects. This research reviews how the will to accumulate knowledge and the will to manage, driving forces behind modernity, came through in Korea`s Family Planning Program. By studying documents of the past, this study confirms that women`s bodies, responsible for childbirth, were put under the management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medical devices and to become objects of monitoring and lawmaking. With the goal of correcting the abnormality of excessive fecundity, the sex lives of individuals were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of healthcare agents and accumulated as demographic data by statisticians. Members of families with more than three children acknowledged themselves as abnormal primitives. Based on this, this study shows that Korea`s Family Planning Program was a modern enlightenment campaign driven by the modern ideals of knowledge and management under the authoritarian military regime, leading to a new type of modern subject.

      • KCI등재

        극단 및 중간 응답양식의 종단적 안정성 검증

        원숙(Won 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종단연구 자료의 타당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법편파 탐색에 관한것으로, 국내 학업성취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서 시간에 따른 응답양식의 안정성 정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당 구인의 시간-불변적 특성요인과 시간-특수적 상태요인간의 관계를 모형화 할 수 있는 잠재 특성-상태-상황 모형(Latent Trait-State-Occasion Model:TSO)(Cole et al., 2005)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초, 중학교패널자료(1~3차년도)를 활용하여서 우리나라 응답자들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극단(Extreme Response Style: ERS) 및 중간응답양식(Middle Response Style: MRS)의 종단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특정시점의 ERS와 MRS 상태(S) 요인의 분산에는 시불변적인 안정적인 특성(T)과 시변적인 상황(O) 요인의 효과가 공존하고 있었다. 둘째, ERS 및MRS 모두에서 상황 요인(50.9~60.2%)이 특성 요인(39.8~49.1%)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학교급(연령) 및 응답양식 유형에 따른 안정성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초등학생 보다는 중학생의 응답양식에서, 그리고 MRS 보다는 ERS에서 특성적인 (trait-like) 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성별에 따른 응답양식의 특성 차이는 중학생자료에서만 유의하였고, 여학생은 MRS, 남학생은 ERS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Response style such as extreme response style(ERS) and middle response style(MRS) is a well known source of data contamination in survey research. This research extends the existing literature tolongitudinal research setting by attempting to test stability and change of ERS and MRS over time.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a latent Trait-State-Occasion model(TSO)(Cole, Martin & Steiger, 2005) to evaluate the longitudinal stability of response style across three-waves, three-years for a sample of 4,282 primary and 4,157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revealed the existence of a time-invariant trait factor and a set of time-varying occasion factors. Also, a stable trait factor accounted for about 40.1~49.1%, 39.8~41.5% of the variance in latent ERS and MRS state factors respectively, whereas occasion factors accounted for about 50.9~59.9%, 58.5~60.2% of the total variance of ERS and MRS state factors. Third, the stability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ponse style tended to increase with age and differed in types of response style. Finally, the effect of gender on ERS and MRS tra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of questionnaires in longitudinal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

        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1-2 학생의 성취동기의 종단적 안정성 또는 변화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으로, 독립적인 하위구인으로 구성된 성취목표지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모형 중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이 활용되었다. 연구대상은 S지역 소재 401명의 여고생이며, Mplus 6.0(Muthen & Muthen, 1998-2010) 활용하여, 고1과 고2 등 두 번의 측정시기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의 전이확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1에서는 비교적 덜 분화된 형태인 3개(무관심형, 회피형, 현실형)의 성취목표지향성 프로파일이 도출되었고, 고2에서는 적응적(숙달형, 수행형) 또는 비적응적인(회피형, 비참여형) 프로파일이 각각 2개씩 분석되었다. 고1-고2간 전이확률을 살펴보면, '무관심형'은 '숙달 또는 수행형'으로, '회피형'은 '수행형'으로, '현실형'은 '회피형'으로 가장 많은 전이가 이루어졌다. 또한 각 프로파일의 특성 및 전이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자기결정성동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이 추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성취동기 관련 종단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 향상의 중요성, 및 성취동기 향상을 위한 교육적 개입시기 등에 대한 시사점을 추가하였다. A longitudinal modeling approach was applied to explore the existence of latent classes with regard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the patterns of stability and transition of individuals between and within classes for one year. A latent transition model using Mplus 6.0(Muthen & Muthen, 1998-2010) was fit to data from 10th to 11th graders attending to one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city, Korea. By the results of latent transition analyses, three to four classes of students were identified across a school year: indifferent, avoidance-oriented, and success-oriented classes for 10th graders, avoidance- oriented, disengaged, mastery-oriented, and performance-oriented classes for 11th graders. Across two time points, motivational profiles showed a little bit balance of stability and change. The movement tended to be away from the less specified motivational profiles and toward either poor or good motivational profiles. To explore the features of the latent transition and stability,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compared. Findings support tendency of achievement motivation as a relatively changeable disposition during the high school years. Finally, practical significance of non-cognitive outcomes in our school education policy are discussed, as well as applications of the findings with regard to academic motivation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