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 췌장염의 치료: 영양과 항생제

        소훈섭 ( Hoonsub So ),이혜경 ( Hye Kyung Lee ),송태준 ( Tae Jun Song ) 대한췌장담도학회 2021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6 No.3

        급성 췌장염은 담석, 음주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급성염증성 질환이다. 약 80%에서는 췌장에만 염증이 생기는 경증췌장염으로 그치나, 약 20%의 환자에서는 증증 괴사성 췌장염으로 발전하고, 보고에 따라 사망률이 43%에 이른다. 이에 따라 초기의 집중적인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급성 췌장염의 치료 중 영양과 항생제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통적으로 급성 췌장염은 금식으로 췌장을 쉬게 한다는 개념으로 한 치료가 강조되었고, 이와 함께 대량 수액 공급, 통증 조절, 영양 공급,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조기에 경장 영양을 시작하는 것이 입원 기간 단축, 다발성 장기 부전, 전신 감염, 수술적 치료필요성을 개선시키고 사망률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었다. 따라서 금기사항만 없다면 가급적 조기에 경장 영양을 시키는 것이 장려된다. 또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들에 따르면 예방적 항생제가 감염을 예방하거나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항생제 내성을 유발하고 의료비 지출이 높아지므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중증 급성 췌장염에서는 예방적 항생제를 쓰는 것에 대해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고 감염이 의심될 때에는 광범위 항생제를 조기에 쓰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급성 췌장염의 치료에 있어 전통적으로 행해 왔던 금식보다는 조기에 경장 영양을 시작하고 항생제는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Acute pancreatitis is a sudden inflammatory disease that could be developed into a fatal condition. Traditional dogma was to rest the pancreas by fasting. However, evidence shows the benefits of early enteral feeding resulting in a shorter hospital stay, improved mortality, multi-organ failure, systemic infections, and the need for operative interventions. Clinicians should encourage enteral feeding as soon as possible even in severe acute pancreatitis if there are no contraindications. An immediate solid diet could be attempted. Regarding tube feeding, the nasojejunal tube did not show superiority to the nasogastric tube. Different formulas and probiotics need more investigation. Guidelines are against using prophylactic antibiotics, but Korean centers still report overuse of antibiotics. However, there is still a debate about using prophylactic antibiotics in severe acute pancreatitis. Broad-spectrum antibiotics should be initiated when an infection is suspected. In conclusion, enteral nutritional support and optimal use of antibiotics are the keys to the management of acute pancreatitis.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21;26(3):176-180

      • KCI등재

        성인에서 부비장 경색으로 인해 발생한 급성 복통 1예

        왕호영 ( Hoyoung Wang ),소훈섭 ( Hoonsub So ),나양원 ( Yang Won Nah ),김미성 ( Misung Kim ),이태영 ( Tae Young Lee ),서민정 ( Minjung Seo ),방성조 ( Sung-Jo Bang ) 대한소화기학회 202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8 No.3

        Accessory spleens are common congenital anatomic variations that are usually asymptomatic. On the other hand, they can be clinically significant if complicated by hemorrhage, torsion, or infarction. This paper describes a case of an infarcted accessory spleen in a 30-year-old male who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Abdominal CT and MRI revealed an isolated mass, 4.5 cm in size, in the perisplenic area. An infarcted accessory spleen was suspected. The patient underwent laparoscopic accessory splenectomy. Histopathology identified the mass as splenic tissue that had undergone ischemic necrosis. A definitive diagnosis of an infarcted accessory spleen was made,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day 5 after surgery symptom-free. (Korean J Gastroenterol 2021;78:183-187)

      • KCI등재후보

        간절제술 시행 후 발생한 담관-대장 누공을 대장내시경을 통하여 봉합 치료한 1예

        노수민 ( Soo Min Noh ),소훈섭 ( Hoonsub So ),신승환 ( Seung Whan Shin ),양동훈 ( Dong-hoon Yang ),박도현 ( Do Hyun Park ) 대한췌담도학회 2018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3 No.1

        간절제술 후 담관-대장 누공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73세 여성에서 간절제술을 시행한 후 발생한 담즙종에 대하여 반복적인 담도 배액술 치료 중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도 조영술을 통하여 우연히 담관-대장 누공을 발견하였고, 이를 내시경적으로 대장 클립 거치를 통하여 치료에 성공하였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Biliary-colonic fistula is a rare complication after hepatic resection. We present at a case of asymptomatic biliary-colonic fistula that developed 6 months after hepatectomy in a 73-year old female patient. She had been undergoing endoscopic treatment for a postoperative bile leakage, and the fistula was found by follow-u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The fistula was formed between the right posterior segmental duct and the colon, and it was closed by colonoscopic clipping under fluoroscopic guidance. There was no recurrence at the 6-week follow-up ERCP.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18;23(1):36-40

      • KCI등재후보

        급성 췌장염으로 내원한 간세포양 암종 1예

        신승환 ( Seung Whan Shin ),성유나 ( You Na Sung ),소훈섭 ( Hoonsub So ),송의연 ( Eyun Song ),오충렬 ( Chung Ryul Oh ),홍승모 ( Seung-mo Hong ),박도현 ( Do Hyun Park ) 대한내과학회 2018 대한내과학회지 Vol.93 No.4

        췌장의 간세포양 암종은 전세계적으로 매우 드문 암종으로, 기존의 원발성 췌장암, 간세포암종의 췌장 전이와의 감별을 위해서 임상적, 영상학적, 병리학적 소견을 모두 검토하여 신중한 진단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확립된 치료 방법은 없는 상태로, 수술적 절제가 항암치료보다 우수한 경과를 보여 수술이 가능할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이 불가능한 종양에 대한 치료법은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찾아야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Hepatoid carcinoma is extrahepatic neoplasm showing similar morphologic,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It’s a very rare disease and has been reported most frequently in the stomach. Herein, we report a case of hepatoid carcinoma of pancreas presented with acute pancreatitis. The hepatoid carcinoma was diagnosed by his needle biopsy specimen and it showed pleomorphic nuclei and predominantly eosinophilic and occasionally clear cytoplasm in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positive for HepPar-1 and cytokeratin 19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Surgical treatment seems to be the best choice, if possible.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regimen for palliative chemotherapy. In our cas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5-Fluorouracil (5-FU), folinic acid, irinotecan, oxaliplatin (FOLFIRINOX). The response was stable disease up to 4 month of follow up. (Korean J Med 2018;93:387-392)

      • KCI등재후보

        국소 진행성 췌장암에서의 내시경적 국소 치료

        황준성 ( Jun Seong Hwang ),고성우 ( Sung Woo Ko ),소훈섭 ( Hoonsub So ),송태준 ( Tae Jun Song ) 대한췌장담도학회 2020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5 No.2

        췌장암은 예후가 불량하며, 수술적 절제를 통해서만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나 20% 내외의 환자만이 근치적 절제가 가능한 병기에서 진단이 된다. 또한 전신 항암화학치료에 대한 반응도 좋지 않아 항암화학 요법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의 예후는 특히 불량하다. 국소진행성 췌장암의 경우 조기의 적극적인 치료로 종양의 용적을 감소시켜 병기를 낮출 수 있다면 수술적 치료가 가능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신 항암화학요법과 병행하는 내시경적 국소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국소 치료의 종류로는 항암제나 바이러스 벡터를 종양에 주입하는 EUS-FNI와 RFA, IRE 등의 국소 종양제거술(local ablative therapy), 정위적 방사선 치료를 위한 표식자 삽입(fiducial marker insertion), 악성 담도 폐쇄 시 삽입한 스텐트 기능 유지를 위한 약물-배출 스텐트 삽입 등이 있다. Pancreatic adenocarcinoma is one of the cancers with the poorest prognosis, and its incidence has gradually increased to become the 9th most common cancer in Korea in 2016. Surgical resection is the only treatment option to improve the cure and longterm survival rate. Unfortunately, only 10% to 20% of all pancreatic cancer patients present with resectable disease, because of common symptoms are rarely noticeable in its early stages and disease progress very quickly.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can be divided into locally advanced pancreatic cancer (LAPC) and metastatic disease. Pancreatic cancer with distant metastasis accounts for about 40–60% of the total pancreatic cancer and systemic chemotherapy is considered as standard treatment. LAPC is observed in 30–40%, defined as the tumor surrounding major blood vessels (especially, celiac artery and superior mesenteric artery) more than 180° without distant metastasis which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by surgery. Standard treatment for LAPC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n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have mainly been used, but in most cases, response to these therapeutic options has been limited. As imaging techniques, endoscopic devices and procedure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and the role of local endoscopic therapies for LAPC has expanded.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local endoscopic treatment for LAPC such as injection therapy, radiofrequency ablation (RFA),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radiotherapy and drug-delivery stent insertion.

      • KCI등재후보

        췌관선암종이 동시에 동반된 췌장의 장액낭선종양 1예

        박현진 ( Hyun Jin Park ),황준성 ( Jun Seong Hwang ),고성우 ( Sung Woo Ko ),소훈섭 ( Hoonsub So ),권재우 ( Jae Woo Kwon ),송태준 ( Tae Jun Song ) 대한췌장담도학회 2020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5 No.2

        장액낭성종양(serous cystic neoplasm)은 1978년 Compagno와 Oertel에 의해 처음으로 분류되었으며, 췌장낭성종양(pancreatic cystic neoplasm) 중 10-16%의 빈도를 나타낸다. 장액낭성종양은 악성화의 위험성이 있는 점액낭성종양(mucinous cystic neoplasm)이나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IPMN)과는 달리 악성화의 위험성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장액낭성종양은 일반적으로 고립병터로 발견되며 췌장의 다른 낭성종양, 만성 췌장염, 췌장암과 같은 췌장 병변과 같이 존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중에서도 췌관선암종(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이동반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이형성 췌장상피내종양(pancreatic intraepithelial neoplasm, PanIN)이 동반된 장액낭성종양과 인접한 위치에 췌관선암종이 동시에 발견된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Serous cystic neoplasm (SCN) represents 10-16% of cystic pancreatic lesions, first classified by Compagno and Oertel at 1978. In contrast to mucinous cystic neoplasm or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of pancreas which have malignant potential, SCN is thought to be exclusively benign as solitary lesion in nearly all cases. There has been rare reported association between the SCN and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and few cases were documented their coexistence.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case of SCN of the pancreas with literature review in which synchronous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and pancreatic intraepithelial neoplasm coexist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