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les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Immune Responses

        소재선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8 Molecules and cells Vol.41 No.8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is a critical organelle for protein synthesis, folding and modification, and lipid synthesis and calcium storage. Dysregulation of ER functions leads to the accumulation of misfolded- or unfolded-protein in the ER lumen, and this triggers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which restores ER homeostasis. The UPR is characterized by three distinct downstream signaling pathways that promote cell survival or apoptosis depending on the stressor,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ER stress, and the cell type. Mammalian cells express the UPR transducers IRE1, PERK, and ATF6, which control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al responses to ER stress. Direct links between ER stress and immune responses are also evident, but the mechanisms by which UPR signaling cascades are coordinated with immunity remain unclear. This review discusses recent investigations of the roles of ER stress in immune responses that lead to differentiation, maturation, and cytokine expression in immune cells. Further understanding of how ER stress contributes to the pathogenesis of immune dis-orders will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novel therapies that target UPR pathways.

      • KCI등재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원인에 관한 법적 고찰

        소재선,이창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8 No.2

        오늘날 항공운송은 국가 간 인적‧물적 교류를 위한 최적화된 운송 수단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은 효율적인 항공운송을 이용하기 위해 국제항공협정을 체결하여항공사 노선확장과 운항횟수의 증가 등을 이룩하였지만 동전의 양면처럼 항공운송사고의 발생가능성도 높아졌다. 항공운송 사고의 발생 빈도는 타교통수단 사고와 비교하였을 때 높지는 않아도 항공사고가 발생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진다. 항공운송 사고는 국내 운송사고보다 국제 운송사고가 많으며,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항공운송인과 여객 또는 송하인 등의 법적 책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항공운송 사고의 법적규율에 대한 선순위 판단은 항공운송계약의 종류의 구분이다. 항공운송계약은 객체에따라 항공여객운송계약과 항공물건운송계약으로 분별된다. 특히 항공여객운송 사고는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법적 규율에 대한 논의가 더욱 필요하다. 개정 「상법」 항공운송편은 국제항공운송에서 세계적으로 활용되는 조약들의 내용을 우리 실정에 맞게 반영하여 국제적 기준에 맞으면서 체계상으로도 육상·해상·항공운송을 포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법」은 운송계약상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문제를 규율하는 몬트리올협약을 주로 반영하면서 동 협약이 가지고 있던 문제로 인하여 국내 상황에 맞게 변형 및 생략을 통해 동 협약의 규정을 수용함으로 인해발생하는 문제들도 생겨나게 되었다. 특히 여객 손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발생원인으로서 사고의 개념은 판례의 해석이 반영된 관련 조약과 「상법」에서 어느 정도명확한 개념 정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상법」 항공운송편의 모법인 몬트리올 협약은 여객의 사망 또는 신체상해의 원인이된 사고가 ‘항공기상에서’ 또는 ‘승강을 위한 작업 중’ 발생한 경우에 항공운송인의손해배상책임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바르샤바 협약부터 이를 개정한 전 협약에 걸쳐 동일하게 규정되었고 ‘사고’의 개념 및 ‘승강을 위한 작업 중’의 범위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중이다. 또한 손해배상의 대상 범주인 여객 손해중 ‘신체상해’에 여객이 항공운송 중에 입은 정신적 손해를 포함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두고 논쟁 중이다. 현행법상 신체적 상해의 경우 특정 상황에서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이 가능하고항공사고로 인한 발생한 정신적 손해는 중대한 신체적 상해와 같이 피해자로 하여금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할 만큼 심각한 피해이다. 그래서 여객의 정신적 손해는관련 조약이나 「상법」상 신체적 상해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으며 항공운송인의 합리적인 보호와 남소의 예방 측면에서 명백히 증명될 수 있는 정신적 손해만을 배상하여야 할 것이다. 연착 손해의 배상은 바르샤바 협약, 몬트리올 협약, 「상법」은여객·수하물 및 운송물의 연착으로 인한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규정은 있지만연착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착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 연착의개념에 대한 엄격한 해석은 항공운송인의 안전한 운항을 저해할 소지가 있으므로 여객·수하물 또는 운송물이 항공운송계약에 명시된 도착 예정인 공항에 합의된 시간내에 또는 이러한 합의가 없을 경우 당해 상황을 고려해 선의의 운송인에게 요구할수 있는 합리적인 시간 내에... Air transport today is a means of transport that is optimized for exchanges between nations. Around the world, has experienced an increase in operating and the number of airline route expansion that has entered into the international aviation agreement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air transport efficient, but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air transport accidents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accident of other means of transport, development of air transport accidents, not high, but it leads to catastrophe aviation accident occurs. Air Transport accident many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accident than domestic transportation acciden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analysis of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he shipper or the like is necessary or passenger air carrier. Judgment of the legal order of discipline of air transport accident is a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air transport agreement. Depending on the object, air transport agreements are classified into the contract of carriage of aviation of the air passenger transportation contract. For casualties occurs, air passenger transportation accident is a need more discussion of legal discipline for this particular. Korean Commercial Code, it is possible to reflect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South Korea the contents of the treaty, which is utilized worldwide in international air transport, even on the system, to control land, sea, air transport and welcom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However, Korean Commercial Code, the problem of the Montreal Convention has occurred as it is primarily reflecting the Montreal Convention. As a cause of liability for damages, under the Commercial Code of Korea and the contents of the treaty precedent is reflected, the concept of accident is necessary definition of the exact concept for damages of passengers in particular. Cause of personal injury or death of passenger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o the “working for the elevation” or “aircraft” on, the Montreal Convention is the mother method of Korea Commercial Code, liability for damages of air carrier defines. The Montreal Convention such, continue to be a matter of debate so far in connection with the scope of “working for the lifting of” the concepts defined in the same way from Warsaw Convention “accident”. In addition, it is discussed and put to see if you can be included mental damage passenger suffered in air transport in the “personal injury” in the damage of the passenger is in the range of damages. If the operation of aircraft, injury accident, in certain circumstances, compensation for mental damage is possible, in the same way as serious injury, mental damage caused by aviation accidents not be able to live a normal life for the victim it is damage to make. So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and what is included in the injury to the body in Korea Commercial Code and related conventions, non-economic damage of passengers, clearly demonstr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revention of abuse of litigation and reasonable protection of air carrier it must compensate only psychological damage that can be. Since the compensation of delay damages, Warsaw Convention, the Montreal Convention, Korea Commercial Code, there are provisions of the liability of the air carrier due to the delayed arrival of passenger and baggage, but you do not have a reference to delayed arrival, the concept of delay arrangement is necessary.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delayed arrival, because it may interfere with safe operation of the air carrier, within the time agreed to the airport of arrival that is described in the aviation contract of carriage of passenger baggage, or, these agreements I think the absence is to be defined as when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is situation, requests the carrier in good faith is not Indian or arrive within a reasonable time is correct. The loss of passenger,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passenger Con...

      • KCI등재
      • KCI등재

        中國物權法의 制定過程에서의 物權法과 憲法의 葛藤과 調和

        소재선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경희법학 Vol.45 No.3

        In China, generally the ‘Property Rights’ are defined as rights that can be dominated directly, and enforceable against all other people. Although China has considered the ‘Property Rights’ as an indispensable concept in the Civil Law System since 1980, none of the Chinese laws or regulations had used such concept until the ‘Property Rights Law’ went into effect in 2007. But, The Property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adopted by the 5th Plenary Session of the 10th National People’s Congress in March 16, 2007 and went into effect on October 1, 2007. As the first property law getting into effect in PRC, i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nature of Property Law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Moreover, as the newest Property Law among the main countries in the world, it caused close attentions from all over the world. Although it had been pointed out that the modification of The Property Law, which overcome the limits of private property so as to support the economic activities in market under the Socialist System, is indispensable, such work had still been on heavy progressing. The reason is that, compared with The Chinese Contract Law and The Chinese Security Law, The Chinese Property Law is one of the most indigenous laws and as for one of them,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existence method or an economic structure of a nation. Because the private property rights, which are advocated by Property Law, may protect the unjustified benefit that happened during the reformation, or immobilize the widen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the biggest problem that it may destroy the socialistic position of communist China happened, which well reflected the economic psychology to specific risks during the legislation. The trace of the claims could be found in the law itself, that The Property Law of China is an unconstitutional legislation. Particularly, it is easy to guess from the each real right and the reservations about the regulation of supervisory authority of the nation and etc, that The Property Law of China that adheres closely to the public ownership of the land and protects the national property, and it establishes law and order in harmony to private ownership will accompany many technical difficulties. The disputed issu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during the legislation. Taking the transfer of property right as an example, which also caused big issues in South Korea’s adoption of new Civil Law, regarding to this issue, it is seen that The Chinese Property Law did not adopt the formalist principle as that of South Korea, but adopted the Autonomy of Will, which is similar with Japan Property and France Property Law. According to this, The Chinese Property Law which just enforced can be considered as an attractive one.

      • KCI등재

        산림탄소상쇄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소재선,이창규 한국법제연구원 2012 법제연구 Vol.- No.43

        There is a way to use the forest as a way to build a low-carbon society. Forests as a carbon dioxide sink to offset each other. Forest reducing greenhouse gas carbon dioxide through carbon reduction is recognized. Recent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was enacted in accordance with the Forest carbon sinks law. Forest carbon sinks law to achieve the realization of a low-carbon society and government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orest carbon offset projects will establish a connection to the activity of carbon offset companies and people. Forest carbon sinks law enforcement through the forest before the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projects were being implemented. Carbon reduction projects that have not been done, it did not have the people that can actually take advantage of the program. In this study, forest carbon offset reduction performance based carbon sinks law and social contribution type to suggest the drafting of implementing measures. Reduction performance forest carbon offset scheme, which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companies, and credit issuance and management guided to a legally binding. Substantial carbon offsetting business purposes, operating a business, and the main target is developed on the premise that the forest carbon offset standard tree planting, forest management, biomass and wood utilization, forest conservation content. Social contribution type forest carbon offset scheme can be operated by the executor Center system and operations management, provide guidance to government agencies, forest carbon offset verification agency.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저탄소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안은 산림을 이용하여 탄소를 흡수하는 방법이다. 산림은 이산화탄소 흡수원으로서 서로를 상쇄(相殺)를 하기 때문에 탄소 감축의 기능을 인정받고 있다.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에 따라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은 2012년 2월 22일에 제정되었으며, 2013년 2월 23일에 시행이 된다. 동법의 제정은 저탄소 사회의 구현과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의 핵심은 산림탄소상쇄제도의 이행이다. 산림탄소상쇄 사업은 기업과 국민의 자발적인 탄소상쇄 활동과 탄소시장의 연계 시스템의 구축이다.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기 전에도 산림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사업이 시행되고 있었지만 탄소 포인트와 탄소 캐쉬백 등 국민이 편리하게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사업이 연계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흡수원법을 기반으로 한 감축실적형과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제도의 이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감축실적형 산림탄소상쇄제도는 기업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며, 크레딧 발행과 관리는 법적인 구속력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실질적인 탄소상쇄를 목적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며 주요 대상사업은 나무심기, 산림경영, 바이오매스와 목제품 이용, 산림보전이 내용이다.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제도는 산림탄소상쇄센터를 중심으로 제도와 운영관리지침을 제공하는 행정기관, 실행자, 검증기관에 의해 운용하는 것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청과 함께 인증 표준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크레딧 발급과 시장 거래를 통한 탄소상쇄 사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주요 대상사업은 기업과 시민 참여에 의해 이루어지는 나무심기, 산림경영, 산림보전 등이다.

      • KCI등재
      • KCI등재

        REACH의 물질법상 나노물질에 관한 고찰: 나노물질의 정의와 관련된 유럽연합차원의 논의를 중심으로

        소재선,김대경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경희법학 Vol.48 No.4

        Der Bereich der Nanotechnologie war in den vergagenen jahren von Durchbrüchen auf der naturwisenschaftlichen Ebene einerseits sowie der zunehmenden Kommerzialisierung nanotechnologisch hergestellter Produkte andererseits gekennzeichnet. Neben erheblichen Chancen birgt der Umgang mit Nanomaterialien jedoch auch ein bislang weitgehend umbekanntes Risikopotential. Obwohl bereits heute viele nanotechnologisch hergestellte Produkte auf dem Markt verfügbar sind, bestehen nur lückenhafte Kenntnisse hinsichtlich möglicher Risken für Mensch und Umwelt. Der Gesetzgeber ist aufgefordert, im Sinne des Vorsorgeprinzips die Risiken, wewlche in der Verwendung von Nanomaterialien liegen, aufzuklären und, soweit erforderlich, regulierend einzugreifen. Der vorliegende Aufsatz beleuchtet die Hintergründe der Nanomaterialien, zeichnet aktuelle Entwicklungen in Gesetzgebung und Literatur nach und analysiert die Frage, ob und inwieweit das Stoffrecht in seiner gegenwärtigen Form, insbesondere die REACH-Verordnung, angemessen auf die Problematik dieser neuen Materialen reagieren kann. Zudem wird sich mit der Definition der Europäischen Kommission gemäß der Empfehlung vom 18. Oktober 2011 auseinandergesetzt. Dem zunehmenden Einsatz von Nanomaterialien in kommerziell verfügbaren Produkten steht ein hoher Grad an Unwissenheit und Ungewissheit bezüglich der Gesundheits- und Umweltrisiken bei der Verwendung dieser materialien gegenüber. Es ist im Sinne des Versorgeprinzips Aufgabe des Gesetzgebers, für eine Schließung dieser Kenntnislücken zu sorgen. Als regulatorisches Mittel hier für beitet sich die REACH-Verordnung mit ihrem Instrument der allgemeinen Registrierungspflicht an. Mangels nanospezifischer Regelungen finden die allgemeinen Vorschriften Anwendung. Diese Praxis führt jedoch zum Auftreten von Schutzlücken, die auf der Grundlage des gegenwärtigen Gesetzestextes nur schwer geschlossen werden können. Vielmehr müssen Schritte dahingehend getroffen werden, dass Nanomaterialien als eigenständige Stoffe im Verordnungssinn einem Registrierungsverfahren unterworfen werden, in dem die sonst geltenden Mengenschwellen herab- oder gar ausgesetzt werden. 나노기술이 21세기의 과학기술로서 각광 받는 가운데 선진국들은 앞다퉈 R&D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이 기술은 전자, 재료, 의약, 에너지 등의 분야로 응용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21세기 과학기술의 핵심 분야로 등장하였다. 이처럼 현대사회에서 나노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첨단과학기술의 정체를 돌파할 수 있는 방안으로 그 경제적 성장가능성에 있어 이전의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의 경우와 매우 흡사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노기술의 활용은 환경 특히 생태계보전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예컨대 지표수의 정화 등을 통한 다양한 환경보호를 꾀할 수 있다. 이처럼 나노기술의 분야는 지난 수년간 자연과학분야의 획기적 진전과 생산제품의 상업화로 특징지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노기술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의 이면에는 지금까지 알 수 없었던 어떠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지는 않는가 하는 의구심이 병존하고 있다. 이는 미세한 나노입자가 인체 및 환경에 미치게 될 독성효과에 대하여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비록 수많은 나노기술 제품이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인간과 환경에 대한 발생이 가능한 위험에 대한 인식은 거의 전무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입법자들에게는 예방원칙의 측면에서 나노물질의 활용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에 대해서 일깨워줄 의무가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이를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나노입자는 유럽연합(EU)에서는 근로자보호의 요청에 부응하는 “새로운 위험인자”로 규정되었다. 본 논문은 나노물질의 물질적 특성을 명백히 하고 이에 관한 학설과 입법적 현황을 소개하며, 물질법이 현재의 REACH 체계가 이러한 새로운 물질의 예견가능한 문제점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여기서는 또한 2011년 10월 18일자 권고에 따른 EU 정의규정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나노물질 제품의 위험성에 대한 정보의 결여를 배제하는 것은 예방적 차원에서 입법자의 임무에 속한다. 그러나 나노물질에 특화된 규정의 결여로 일반적 규정이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결과 실무적으로 보호의 결여를 야기하므로 나노물질은 등록절차를 요하며, 현재의 허용량은 일정부분 감소되거나 완전히 허용되는 등의 보다 진전된 규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개선방안: 특히 법률 제7500호를 중심으로

        소재선,이경용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경희법학 Vol.47 No.4

        Um die Probleme, die sich bei der Unvereinbarkeit der Rechte zwischen auf dem Grundbuch und in Wirklichkeit einstellen, zu lösen, war das Gesetz über Sondermaßnahmen bereits gegeben. Dieses Gesetz wird aus vielen Gesichtspunkt kritisiert: das Gesetz dient nur der Verwaltungsvereinfachung und Vergünstigung weniger Berechtigte; nach dem Gesetzlichkeitsprinzip ist diese Unvereinbarkeit der Rechte durch BGB und Grundbuchgesetz erledigen; Anerkennung der Ausnahme durch dem Gesetz über Sondermaßnahmen könnte zweckwidrig gegen Grundbuch als Institution sein; rechtliche Rettung durch das Gesetzes kann die Interesse der wahren Eigentümer schaden. Der Befürworter dieser Meinug stellt also fest, dass das Gesetz die Regeln, die im Zusammenhang mit BGB und Grundbuch stehen, zu nichts taugt. Demgegenüber hat das Gesetz zum Übereinstimmen von Grundbuch und Berechtigte einen Beitrag geleistet. Folglich ist auch nutzlich für die Sicherheit des Verkehrs. Die Gegebenheit, die ohne das Gesetz nur durch Grundbuchgesetz und gewöhnliche Verfahren reguliert werden kann, ist ganz dringende Gründe, weil Rechtssystem die Wirklichkeit nicht außer Acht lassen darf. Dann braucht es, dass die Verhältnis des Eigentum wieder anzuordnen ist und durch Grundbucheintragung sein Eigentumsrecht ausüben kann. 8ㆍ15해방과 6ㆍ25전쟁을 거치면서 부동산소유관계 서면이 분실되고 증인이 될 수 있는 관계자들이 사망하거나 주거지를 옮기는 등 부동산에 관한 사실상의 권리관계와 등기부상의 권리가 일치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많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수복지역의 경우에는 전란으로 인하여 지적공부와 등기부가 분실되거나 소실되어 실질적인 소유권자임을 입증하지 못하거나 소송을 제기할 경제력의 문제로 상당수의 부동산이 미복구인 상태로 존재하기도 하였다. 특히 토지이용도가 낮은 지역의 부동산은 매매ㆍ증여ㆍ상속 등의 행위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 졌음에도 원소유자 명의로 남아 있는 경우가 상당수에 이르러 부동산등기관계와 실체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해방 이후 일본인 소유의 재산을 적산으로 동결하고 귀속재산처리법 등의 절차를 통하여 매각하는 절차를 진행하였으나 여전히 소유자를 찾지 못하고 있는 부동산이 전국에 산재하고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 동안 전술한 바와 같이 특별조치법이 제정되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특별조치법의 시행에 대하여는 비판적 입장도 존재한다. 특별조치법이라는 예외적인 한시법을 제정하여 행정편의의 목적과 일부 부동산권리자의 편의만을 생각하여 입법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하거나, 법치주의에 대한 법규범의 근본에 대한 인식을 너무 경솔하게 해석하여 대처한 입법이라고 하면서 일반 국민들의 법의식이나 부동산등기에 관한 소유의 관념을 고려하여 볼 때 이러한 한시적인 특조법의 제정보다는 민법과 부동산등기법에 의해서도 수월한 등기처리와 소유권의 보장장치가 될 수 있도록 부동산관련 법령을 심도 있게 연구ㆍ검토하는 것이 우선순위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또한 부동산등기제도는 권리관계의 변동을 장부상에 명확히 공시하여 신뢰자를 보호함으로써 거래안전을 추구함이 목적인데, 특별조치법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는 권리관계변동을 생략하는 결과를 낳아 등기제도의 목적에 반하고, 부동산실명법까지 시행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특별법에 의한 예외를 인정하는 것은 부동산등기제도의 올바른 정착을 저해한다고 하고, 또한 과거 시행되었던 특조법에 의하여 보증서의 위조ㆍ허위발급 등으로 인한 상당수의 범법행위가 이루어진 점도 고려하여야 한다고 하기도 한다. 또한 특조법을 통한 법적구제는 도리어 진실한 권리자의 이익을 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입법시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고 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정치인들의 인기에 영합한 법률이라고 하거나, 일반인들의 등기에 대한 의식과 법 관념을 약화시키고, 관련 법률을 무용지물로 만든다는 주장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조법은 간이한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단기간에 진정한 권리자와 등기부 및 지적공부 공시에 있어서 실체관계가 일치하도록 정리함으로써 등기부라는 국가 공부의 공시기능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고, 이러한 실체관계의 부합이 사회 및 경제상의 보편적인 거래안전을 보호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현행 부동산등기법과 소송을 통하여도 해결할 수 없는 등기가 다수 존재하는 현실을 무시할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로는 서류의 문제, 전란이나 각종 재해ㆍ재난으로 인한 신청인의 부재나 행불 등을 들 수 있다. 따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