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약속의무에 관한 권리이전 이론과 잉여 약속의 문제

        성창원(Sung Changwon)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논집 Vol.65 No.-

        본고의 주된 목표는 비결과주의적 관점에서 약속의무를 정당화하는 입장 중 하나인 쉬프린의 권리이전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권리이전 이론에서는 크게 두 가지를 강조한다. 첫째, 어떤 행위를 할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할 수 있는 재량권을 약속인이 지니고 있을 때, 약속인이 그것을 하겠다는 의사를 피약속인에게 전달하게 되면 그 권리는 후자에게 이전된다. 둘째 이렇게 자신의 행위의 재량권이 피약속인에게 이전되었으므로 이제 약속인은 (피약속인이 허락하지 않는 한) 자신이 원래 말한 대로 행위 해야 한다. 권리이전 이론은 바로 이런 구도를 통해 약속을 지켜야하는 의무를 설명한다. 그런데 애초부터 어떤 것을 해야 할 의무가 있는 상태에서 그것을 행하겠다고 추가로 약속까지 하게 되는 경우에는 권리이전 이론이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없어진다. 왜냐하면 약속인은 여기서 행위의 재량권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쉬프린은 이런 잉여 약속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의무를 수행하는 이유의 성격이 중요하며 특별한 관계에서는 이런 이유가 더 개인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강조한다. 그녀는 피약속인을 비개인적으로 대우할 수 있는 약속인의 재량권이 (약속을 통해) 피약속인에게 이전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약속인이 개인적인 성격을 지니는 이유로 주어진 의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이런 쉬프린의 응답이 충분히 정당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 후에, 그녀 자신의 관점에서도 행위의 이유가 개인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는 것을 굳이 권리이전 이론의 측면에서 설명할 필요는 없음을 보인다. The main aim of this essay is to critically examine Shiffrin’s “Rights Transfer Theory” of promissory obligations (for short, the RTT). According to the RTT, the promisor has a right to perform or not to perform the promised action, and through the communicative action of expressing his or her intention to perform it, the promisor transfers the right in question to the promisee. This explains why the promisor is bound to perform: he or she has no right to decider whether to do otherwise. The RTT loses its explanatory power, however, when the promisor is already (morally) obligated to perform. For he or she has no right to decide to perform or not to perform in the first place. This is the problem of redundant promises. Shiffrin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following way: in a certain kind of special relationships it is important for the promisor to perform the promised act on the basis of more personal reasons (different from impersonal reasons to perform moral duties) and the RTT can explain this phenomena. I raise two objections to this proposal. First, Shiffrin’s attempt in question gives us complex interpretative questions, and answers to them do not shed a favorable light on the RTT. Second, the idea of the personal character of the reasons for performing the promised action (at least in some cases) can be well accommodated without the basic insight of the RTT. I conclude that Shiffrin overrates the role of the RTT when redundant promises are involved.

      • KCI우수등재

        손상된 관계성, 적절한 태도변화, 그리고 도덕적 비난

        성창원(Changwon Sung)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18

        도덕적 비난에 대한 스캔런의 설명에 따르면, 어떤 사람이 나와의 관계성을 손상시켰다고 판단할 경우 그 판단에 따라 유관한 태도변화를 통해 주어진 관계성을 적절하게 수정하는 것은 내가 그를 비난하는 것과 같다. 그런데 스미스에 따르면 사실 이 적절함이란 기준이 매우 모호하기 때문에 스캔런의 이론은 긍정적인 의미에서의 태도변화까지 비난으로 간주하게 되며, 이는 비난에 대한 우리의 직관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컨대 살인자 아들에 대한 어머니의 더 큰 사랑은 비난일 수 없다는 것이다. 논자는 스캔런의 이론이 이러한 긍정적인 태도변화를 비난으로 간주할 필요가 없음을 논증한 후, 그가 말하는 적절함의 기준이 그렇게 모호하거나 불확정적인 것이 아님을 보인다. 그런데 비난이 특수하고 개인적인 관계성이 아닌 비개인적인 관계성에서 더욱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스미스의 비판은 이 경우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어떤 사람이 나를 다치게 했는데 남에게 상해를 입히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 비개인적인 관계성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면, 이 경우 내가 그 또는 그녀에게 부정적인 태도와 더불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때 후자의 태도조차 비난으로 간주되어야 하는가? 논자는 심지어 이 경우에도 스캔런의 이론은 긍정적인 태도변화를 비난으로 간주할 필요가 없음을 논증함으로써 스미스 류의 비판으로부터 그것을 옹호한다. According to Scanlon, the modifications of our attitudes that are made appropriate by the ways where the attitudes of others have impaired our relationships with them are to blame them. Smith argues that since the standard of “being appropriate” is not determinate, it renders even the positive modifications of our attitudes the case of blame; if a mother shows a “greater” love for her son who has murdered others, this may not be a case of blaming him. I show why the Scanlonian account of blame does not need to take such modifications to be a genuine case of blame, thereby arguing that the standard of “being appropriate” is not that indeterminate. We often blame others, even when we have no special relationships with them. So the Smithsonian objection applies to this impersonal case as well. I defend the Scanlonian account of blame by arguing that even in this case, it does not regard relevant positive modifications in our attitudes toward others as a case of blaming them.

      • KCI등재

        온건한 공평주의에 관한 연구

        성창원(Changwon Sung)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4 No.2

        온건한 공평주의에 따르면 도덕은 기본적으로 공평성을 지니지만 그것은 편향성의 이유와도 양립 가능하다. 이러한 입장을 옹호하기 위해서는 편향성의 이유들을 적극적으로 논구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이유들을 이해하는 입장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한편으로 환원주의에 따르면 편향성의 이유들은 근본적으로 도덕의 이유들에 의해 정당화되며, 다른 한편으로 비환원주의에 따르면 그 이유들은 주어진 편향성을 지지하는 구체적 가치들의 고유한 구조와 내용에 의해 담보되며 도덕의 이유들로 환원되지는 않는다. 비환원주의적 입장은 도덕의 이유들로 환원되지 않는 편향성의 이유들의 독립적 성격을 인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그리고 온건한 공평주의를 주장하는 철학자들도 대체로 비환원주의적 입장에 호의적이다. 하지만 필자는 이러한 비환원주의적 온건한 공평주의는 그렇게 매력적인 입장이 될 수 없음을 보인다. 이를 위해 우선 비환원주의의 독특한 특징, 즉 도덕의 이유들 및 도덕에 환원되지 않는 독립적인 편향성의 이유들을 동시에 인정하는 입장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낸다. 비환원주의자들이 도덕의 이유들까지 인정한다면 그들은 필자가 제안하는 도덕적 평등의 원칙을 수용하는 셈이다. 도덕적 평등의 원칙은 동등한 존중과 동등한 대우를 구분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을 항상 동등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주장을 함축하지 않으며, 바로 이로 인해 이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공평주의는 온건한 공평주의가 된다. 그런데 이러한 온건한 공평주의가 비환원주의와 결합될 때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형태의 공평주의는 편향성의 이유들이 도덕의 이유들보다 더 강력한 규범성을 가지고 행위자에게 나타나는 경우들을 원칙 있게 설명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비환원주의적 온건한 공평주의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According to Moderate Impartialism, while morality is generally impartial, it can also accommodate the reasons of partiality. In order to see the point of Moderate Impartialism, we ne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reasons of partiality in the following two ways. On the one hand, according to reductionism, all reasons of partiality are basically moral. On the other hand, the non-reductionist argues that there are sui generis reasons of partiality that are not reducible to moral reasons. The non-reductionist approach is currently up in the air, and manly of those who accept Moderate Impartialism believe that the reasons of partiality that they would recognize can be justified in the non-reductionist way. In this paper I aim to show that the form of Moderate Impartialism associated with the non-reductionism in question may face some problems. First, I argue that the claim that the non-reductionists should recognize both moral reasons and the reasons of partiality is open to some objections. Nonetheless, if those non-reductionists would want to endorse both of those reasons, it can be said that they support what I call the Principle of Moral Equality, according to which every human-being possesses equal moral valu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oral Equality, we need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equal respect and equal concern, and it is because of this distinction that a form of impartialism that embraces the principle in question can be moderate, not extreme. However, I argue that things would be murky, if this form of impartialism is connected with non-reductionism about the reasons of partiality. In particular, I argue that the kind of moderate impartialism in question fails to offer a systematic account of why at least in some cases the reasons of partiality can override the reasons of morality (and vice versa). Therefore we have good reason to take into question the non-reductionist Moderate Impartialism that currently receives much attention.

      • KCI등재

        좋음에 대한 책임-전가적 설명의 두 측면

        성창원(Chang Won Sung) 철학연구회 2011 哲學硏究 Vol.0 No.92

        According to Scanlon`s buck-passing account of goodness (BPAG), the property of being good that a certain object has is itself not reason-providing; rather lower-order properties on which goodness is based provide us with reason to respond to it in certain ways. I argue that while the redundancy argument shows that we do not need the property of goodness to explain such reasons, the argument from pluralism establishes that the same property lacks the reason-providing capacity in the first place. Crisp attempts to show that goodness is actually needed for the full justification of reasons for action, though I argue that such an attempt, even under the most favorable interpretation of it, fails. Many philosophers who discuss BPAG often take it that the argument from pluralism is not necessary for working out BPAG, partly due to Scanlon`s somewhat indecisive treatment of the argument in question. Against this widespread perception, I maintain that the argument from pluralism implies what I call a conceptual skepticism about goodness and that this is a basis for showing that the property of goodness is not reason-providing. In addition, I argue that this substantive reconstruction of the argument from pluralism also helps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the redundancy argument. In the course of making these claims, I examine the view of Stratton-Lake and Hooker and Crisp that we do not need the argument from pluralism to explain BPAG. I show that they are mistaken in holding that view, both because they misinterpret the argument in question and because they accept a false dichotomy between that argument and the redundancy argument. I conclude that the best way to make sense of BPAG is to consider those two arguments in a unified way, which is a new direction that those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 of BPAG need to take into account.

      • KCI등재

        의도가 행위의 허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성창원(Chang Won Sung) 철학연구회 2013 哲學硏究 Vol.0 No.100

        Scanlon rejects the conventional claim that intention plays a fundamental role in determining the permissibility of actions. He instead argues that in many cases intention has what he calls the “predictive significance”, according to which intention only has a derivative role in the matter of permissibility. I analyze Scanlon`s argument for this claim in terms of the “reasonable beliefs view”, thereby illuminating why he rejects Thomson`s “objective ought”. And I reply to Kolodny`s objection that Scanlon`s argument in question actually weaken`s his own position on the implausibility of the “objective ought”. Scanlon points out that in some cases intention may have a substantive role in making given actions permissible (or impermissible), which goes beyond its predictive significance. I examine this view in terms of what I call the “double-layer structure of complaints”. Lastly, by appealing to the “dualism about the moral assessment of actions”, I show that Scanlon`s claim that some cases of “harmless malice” which lack the double-layer structure of complaints are permissible does not raise a serious challenge to our intuitive response to their morality.

      • KCI우수등재

        스캔런의 계약주의, 그리고 잉여반론과 불확정성반론

        성창원(Changwon Sung)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1

        스캔런의 계약주의에 가해진 대표적인 두 반론은 이른바 잉여반론(the Redundancy Objection)과 불확정성반론(the Indeterminacy Obj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반론들에 따르면 옳고 그름의 판단의 근거로서의 계약주의의 역할이 잉여적이며, 설령 우리가 그 역할을 인정하더라도 그 이론은 그것이 약속한 바로서의 확정적인 결론을 보장해 줄 수 없다는 것이다. 잉여반론을 지지하는 이들은 합당한 거절가능성으로 대표되는 계약주의적 원칙이 옳고 그름의 결론을 내리는 데 있어 실제로는 불필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이들에 따르면 주어진 행위가 그른 이유는 그것이 갖는 특정한 속성만으로도 그것이 그른 것으로 판명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러한 행위가 합당하게 거절될 수 있는 원칙에 의해 허용되었는가의 여부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논자는 어떤 행위가 갖는 속성은 오직 그 행위가 계약주의적 논변 내지 그것과 유사한 어떤 것에 의해 그른 것으로 판명될 때에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그르게 만들어 주는 속성(wrong-making property)이 된다는 주장을 통해, 합당한 거절가능성이라는 계약주의의 기본적 추론과정이 옳고 그름의 판단에 있어 잉여적이지 않음을 보인다. 불확정성반론에 따르면, 계약주의 논변에서는 합당한 거절의 기초로 작용하는 이유들의 범주가 불투명하고 그러한 이유들의 상대적 강도와 효력을 비교할만한 기준 또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논변이 옳고 그름의 판단에 관해 확정적인 대답을 제시할 수 없다고 한다. 이 반론의 첫 번째 측면에 대해 논자는 합당한 거절에 관한 이유들이 적절한 수준에서 일반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대응한다. 그리고 동일한 반론의 두 번째 측면에 대해서는, 그것에 주목하는 이들이 도덕이론에 대해 어떤 면에서 “이상한” 이해를 전제하고 있으며 우리가 그러한 이해방식을 거부할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주장한다. 도덕이론에 대한 대안적인 이해-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의 도덕이론은 우리의 실질적인 판단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는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그러한 의미에서의 도덕이론은 어느 정도의 불확정성을 내포할 수밖에 없음을, 따라서 불확정성반론과 유사한 문제점들이 계약주의만의 고유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보인다. Many critics have raised the so-called Redundancy Objection and the Indeterminacy Objection to Scanlon’s contractualism. According to the Redundancy Objection, the contractualist principle of reasonable rejectability is not required in making judgements of right and wrong. In particular, the proponents of the objection in question maintain that a given action is wrong simply because it has a certain property, not because such an action is allowed by a reasonably rejectable principle. I show that the property of action can work as a genuine wrong-making property, only when the action is deemed wrong according to the contractualist argument. In this way it is shown that the contractualist principle of reasonable rejectability is not redundant. The Indeterminacy Objection says that contractualism is not able to offer a determinate answer to the question of right and wrong, both because it does not specify which reasons can work as a candidate for reasonable rejection and because it does not offer a standard by which we can compare the relative strengths of relevant reasons. I argue that the first aspect of the objection does not raise a serious challenge to contractualism, on the ground that reasons for rejection can be universalized to a certain extent. I respond to the second aspect of the Indeterminacy Objection by arguing that its proponents implicitly embrace a rather peculiar conception of morality, according to which moral theories are supposed to provide a satisfactory answer to specific moral questions without any appeal to substantive judgments on our part. I show that we have good reason to reject this conception and that the Indeterminacy Objection canwork as an “objection” to contractualism, only when it is seen under that conception of moral theory.

      • KCI등재

        좋음 개념의 행위자-상관성

        성창원(Sung, Changwo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2 No.-

        이유 근본주의에 기반을 둔 좋음에 대한 책임전가적 설명에 따르면 어떤 대상이 좋다고 말하는 것은 그것에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할 이유가 있다고 말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따라서 이 설명의 기저에 놓여있는 핵심 아이디어는 바로 평가적인 영역에 대한 규범적인 영역의 우선성이다. 월러스는 이러한 책임전가적 설명을 숙고적 모델의 관점에서 발전시킨다. 이 모델에 따르면 어떤 대상에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행위자가 존재할 때에만 그것은 좋음의 속성을 지니게 되며 바로 이러한 점에서 이는 행위자의 반응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숙고적 모델과 구분된다. 숙고적 모델의 지지자들은 행위자-중립적 좋음에 대한 행위자-상관적 좋음의 존재론적 우선성을 수용하기에, 그들은 그 역을 주장하는 무어주의자들과 대비를 이룬다. 이러한 차이점은 현대의 무어주의자인 리건의 최근 논의를 살펴보면 보다 분명히 드러난다. 숙고적 모델은 좋음을 행위자-상관적 방식으로 이해하려는 새로운 시도이지만 여전히 몇 가지 해결해야 할 숙제를 지닌다. 첫째, 숙고적 모델이 비숙고적 모델보다 더 설득력 있는 입장임을 보이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이 필요하다. 월러스는 대상의 상위속성보다 그 하위속성에 대한 우리의 인식적 접근이 용이하다는 근거로 숙고적 모델의 장점을 주장하지만 이것이 항상 참은 아니다. 둘째, 우리의 직관에 따르면, 좋음을 행위자-상관적인 방식으로 이해할 때 행위자가 형성하는 대상에 대한 긍정적인 규범판단만이 그 대상으로 하여금 좋음의 상위속성을 가지게 해준다. 이 주장은 긍정적인 규범판단과 부정적인 규범판단 사이의 구분이 가능하다는 전제 위에서만 수용될 수 있는데, 숙고적 모델은 이러한 구분을 내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According to the Buck-Passing Account of good (the BPA) based on reasons fundamentalism, to say that something is good is to say that there is reason to respond to it in certain ways. Since the buck-passers reduce truths about values to truths about reasons for actions and attitudes, the underlying idea of the BPA is the priority of the normative over the evaluative. Wallace develops the BPA by introducing what he calls the deliberative model of values, according to which an object can have the property of being good only when there is a specific agent who has reason to respond to it in certain ways. In this way, the deliberative model is different from the non-deliberative model that does not require the agential response in question. Given that the proponents of the deliberative model may only endorse agent-relative good, they are distinguished from the Mooreans who accept the ontological priority of agent-neutral good over agent-relative good. I explain this major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positions by discussing Regan’s recent attempts to justify the “Moorean” good. Although the deliberative model is a promising attempt to understand the idea of good in an agent-relative way, it may be objected on the following two grounds. First, Wallace defends the advantage of the deliberative model by pointing out that we can have a better epistemological access to lower-properties of objects than to their higher-order properties. But I argue that this is not always true. Second, the deliberative model does not provide any standard by which we can distinguish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normative judgments. For that matter, the deliberative model fails to accommodate our intuition that only the kind of positive normative judgments can warrant the property of being good. This also makes the model in question vulnerable to the Wrong Kind of Reasons Objection to the BP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