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장 경험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지식 변화

        성원경(Sung, Won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개념도와 저널을 통해 보육현장 참여 이후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 18명을 대상으로 보육현장 참여 전과 후에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한 개념도를 그렸고, 자신이 작성한 두 번의 개념도를 보고 개념도가 변화한 이유에 대한 저널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현장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예비보육교사들의 개념도는 깊이와 상위 개념이 증가하였고 종속개념의 수는 감소하였다. 둘째,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개념도 주제어는 ‘가르치는 역할, 돌보는 역할, 부모를 교육하는 역할’로 나타났으며, 보육현장 참여 이후 부모교육자의 역할에 대한 주제어 빈도가 높아졌고 ‘교수 능력’과 ‘교사의 지식’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한 현장참여 후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지식 변화의 이유는 ‘영유아를 직접 대해 본 경험’, ‘학급에서 내가 실제로 해본 것’,‘현장에서 관찰한 교사의 일’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e th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child care teachers' role. The subject was 18 third year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y composed concept maps on 'child care teachers' role two times, that is before participate day care center, after participate day care center. And write journal about these concept maps and the causes of knowledge chang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ncepts increased and the depth of concept map was deeper after participate day care center. Second, in respect of knowledge contents,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ere 'teaching', 'caring', 'educating parent', and the frequent of concept about 'educating parent' was increased and added the 'teaching ability', 'teacher knowledge' after participate day care center. Third, it turns out that 'contacting young children', 'actual experience of assisting teaching children', 'observing and monitering the teacher'.

      • KCI등재

        그림그리기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유치원교사로서 직업자기이미지 분석

        성원경 ( Wonkyung S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유치원교사양성에서 예비유치원교사가 적절한 직업자기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이 가지고 있는 유치원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직업자기이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에 의해 2018학년도와 2019학년도 신입생 80명을 대상으로 그림그리기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자기이미지는 모습, 역할, 자질, 능력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모습은 밝게 웃는 얼굴, 명랑하고 즐거운 모습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은 돌봄, 가르침, 상호작용, 지원과 안내로 나타났다. 셋째, 자질은 유아에 대한 사랑, 헌신, 체력과 건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능력은 다재다능하며 유능한 능력을 갖춘 교사 이미지를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치원교사들의 직업정체성 확립 지원, 사회적 기대와 전문성 있는 교사역할에 대한 명확한 관점 형성 지원, 유치원관리자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Proper vocational self-image is important thing for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ing the vocational self-image by first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were 80 first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DrawingA- Kindergarten- Teacher-Test. The data were collected by drawing metaphors and then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The vocational self-images of preschool teacher that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child education have were found as follows: 1) to have beautiful and bright smiles, to be happy with children 2) to play roles of caring, teaching, interacting, supporting, and guiding, 3) to have adoration of child, devotion, strength and physical health, and 4) to be skillful and competent. Based on this results, the suggestion were the need of support positive kindergarten teachers’ image through pre-service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치원교사의 실습지도교사와 실습생에 대한 메타포를 활용한 학교현장실습 경험 탐색

        성원경 ( Wonkyung S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학교현장실습은 교사가 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진정한 교사의 모습을 보기도 하고 부정적 감정을 느끼기도 하면서 자신의 교직관이나 진로선택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치원교사들의 메타포를 통해 실습지도교사와 실습생인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고자 70명의 예비유치원교사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예비유치원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 전에는 실습지도교사에 대해서는 지도와 안내자의 이미지, 존경의 대상, 모두 옳지는 않을 수도 있고 불편하지만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고 실습생은 미숙하지만 가능성을 가진 존재로 실습을 통한 배움에 대한 기대와 걱정을 동시에 나타냈다. 학교현장실습 후에 예비유치원교사들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자신을 지원하고 보호해주는 사람인 동시에 능숙하게 일하는 바쁘고 힘든 직업인이라는 현실적 이미지를 형성하였고, 실습생에 대한 메타포에는 모든 것을 빠르게 지시대로 수행하며 드러나지 않게 도와주는 존재이면서 교사로 완성되어 가고 있음을 내포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 대학에서는 실습생의 정서 관련 프로그램과 진로지도, 실습지도프로그램을 위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For preparatory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is an essential part of training, which affects their attitude toward teaching vocation and even a career choice as they meet well-qualified teachers or experience negative feelings. This article examines would-be preschool teachers' self-image and their perception of a cooperating teacher through their use of metaphors.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70 preparatory preschool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before practicum, they regarded a cooperating teacher as someone who provides guidance, someone to respect, or someone who might not be right all the time and uncomfortable to be around and yet necessary. After practicum, these changed to a more realistic perception that the cooperating teacher is someone who supports and protects the trainees, while skillfully conducting a hectic and demanding job. As students teachers go through practicum, they saw themselves as someone who quickly carries out everything as instructed, discreetly helps other's work, and slowly grow into a proper teacher. Based on this results, the suggestion were emotional support, career guide and practicum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 신념 간의 관련성 연구: 놀이 인식의 매개효과

        성원경 ( Wonkyung Sung ),이춘자 ( Chunjar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이 놀이 신념에 미치는 영향과 놀이 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예비유아 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D시의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267명이고,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 인식 및 놀이 신념과 각 하위요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놀이성이 놀이 신념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신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놀이 인식이 놀이성과 놀이 신념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타인지향성은 놀이 신념과 놀이 인식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 교사교육에서 놀이의 본질 인식과 놀이지원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analyz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on their play belief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percep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267 student teacher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D cit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of student teachers,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play belief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erception on pl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playfulness and their beliefs about play was tested using PROCESS macro.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th the playfulness and beliefs of student teachers. Second, play percep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playfulness, it was found that other-directe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beliefs and play perception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guid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accurately recognize the nature of play and to act as play supporters.

      • KCI우수등재

        학습 데이터 선별을 위한 오토인코더 기반 학습 개선도 측정 방안

        정유나(Yuna Jeong),황명권(Myunggwon Hwang),성원경(Wonkyung Sung)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8 No.2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최근의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개발과 사용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최적 모델 개발과 배포까지의 반복적인 과정이 높은 시간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간 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전체 학습 데이터셋 중 일부 데이터를 선별하여 빠르게 학습하면서도 근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논한다. 먼저 학습데이터는 오토인코더에 기반하여 저차원 잠재공간의 특징 벡터로 맵핑된다. 그리고 맵핑된 각 샘플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학습하기는 어렵지만 학습 개선도가 높은 샘플은 높은 가중치를 부여받는다. 최종적으로 가중치를 기반으로 한 중요도 샘플링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선별하고 이를 학습에 활용한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무작위 샘플링에 비해 더 높은 학습 성과를 달성하는 샘플을 선정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었다. Despite recent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s, the iterative process of machine-learning algorithms make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difficult and time-consuming. In this paper, we present a data-selection method that reduces the time required by providing an approximate solution . First, data are mapped to a feature vector in latent space based on an Autoencoder, with high weight given to data with high learning contribution that are relatively difficult to learn. Finally, data are ranked and selected based on weight and used for training.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selected data that achieve higher performance than random sampling.

      • KCI우수등재

        LSTRf 기반의 학습 데이터 선정 방안

        황명권(Myunggwon Hwang),정유나(Yuna Jeong),성원경(Wonkyung Sung) 한국정보과학회 2020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7 No.12

        본 연구는 자동적이고 지능적인 AI 개발에 요구되는 human-in-the-loop (HITL) 과정의 단축을 위한 것으로,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선정 방법을 다룬다. 이를 위해 학습 데이터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2차원 분포를 형성하고, 일정한 비율로 격자를 형성한다. 각 격자 내에서 동일한 클래스 데이터의 분포 일관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선정하기 위하여 LSTRf 기법을 응용하여 적용한다. 이를 통해 선정된 데이터는 CNN 기반의 분류기를 통해 학습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CIFAR-10을 활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격자의 크기, 1회 연산에서의 선택되는 데이터 수를 다양화하여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선정된 학습 데이터는 임의로 선정한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격자의 크기가 작을수록(0.008과 0.005 크기) 학습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1회 연산에서 선정된 개수가 많을수록 전체적으로 우수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a data selection method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or an efficient human-in-the-loop (HITL) process required for automated and intelligent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velopment. Our method first maps the training data onto a 2D distribution based on similarity, and then grids are laid out with a fixed ratio. By applying Least Slack Time Rate first (LSTRf) techniques, the data are selected based on the distribution consistency of the same class data within each grid. The finally selected data are used a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classifie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We carried out experiments on the CIFAR-10 dataset, and evaluated the effect of grid size and the number of data selected in one operation. The selected training data were compared to randomly selected data of the same size. The results verified that the smaller the grid size (0.008 and 0.005) and the greater the number selected in the single operation, the better the learning performance.

      • KCI등재

        CiteSeer 말뭉치를 이용한 과학기술 문헌의 주제 분석

        정한민(Hanmin Jung),강인수(In-Su Kang),성원경(WonKyung Sung)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5

        과학기술 분야는 매우 빠른 발전 속도를 보이며 세부 분야 간 융·복합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 말뭉치로부터 상기 특성을 분석해 내는 작업은 연구 주제 추이를 분석하고 주제 간 연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 분야 - 특히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분야 - 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Citeseer 말뭉치로부터 추출된 주제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제 분석을 수행하는 방안을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연구개발 전주기 지원 시스템인 OntoFrame에서 주제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실증하고자 한다. There have been enormous technological advances in science & technology domain and frequent convergences between its sub-domains. Topic analysis with science & technology corpus is a key process to grasp topic trends and relations between topics.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various analytic approaches with topics extracted from CiteSeer corpus, which is widely used in information technology domain. This paper will also show a case study of Onto-Frame, an R&D support system developed by KISTI, to reveal the role of topics on the system.

      • KCI등재

        URI 기반 저자 인용 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

        구희관(Heekwan Koo),정한민(Hanmin Jung),강인수(Insu Kang),이승우(Seungwoo Lee),성원경(Wonkyung Su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2

        과학기술 문헌에 대한, 정확한 인용 정보의 제공을 위해서는 인용 관계를 구성하는 인력에 대한 동명이인 문제가 우선적으로 해소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저자 중심의 인용 관계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URI(Universal Resource Identifier)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특징은, 지속적으로 추가되고 갱신되는 인용 정보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고 정확한 문헌으로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시맨틱웹 기술의 하나인 URI를 문헌과 저자에 적용하여 저자 중심 인용 관계 및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실험에서는, 국내 학술대회 발표 논문들로부터 2,872개의 저자 중심 인용 관계 쌍을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구축한 저자 인용 네트워크에서는 135개의 인용 네트워크 그룹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과학기술인력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인력 DB 및 과학기술정보 포털서비스인 YesKiSTi와의 연계를 통하여 새로운 개념의 다양한 연구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or the construction of accurate scientific citation information, author disambiguation should be primarily resolved.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hat utilizes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to create precise author citation networks. The adoption of URIs for representing authors and papers in this study enables u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constantly changing citation information and to guarantee the accessibility to the right literature. In experiments, we extracted 2,872 author-centric citation relation pairs from recent major IT-related proceedings written in Korean. From those, 135 citation network groups were discove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a variety of researcher network services and scientific information portal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