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경세(鄭經世)의 상주(尙州) 우복산(愚伏山) 거주 시기의 활동과 시문

        성범중 ( Seong Beom-joong ) 한국한시학회 2016 韓國漢詩硏究 Vol.24 No.-

        우복 정경세는 퇴계 이황과 서애 유성룡을 이은 남인 영남학파를 주도한 성리학자로서, 특히 17세기 초반 예학의 대가로 평가받아 온 인물이었다. 관운도 괜찮은 편이었으나 30대 후반에서 40대 후반에 이르는 동안에 고향으로 돌아가서 칩거하며 지낸 기간이 있었다. 그가 1599년에 상주로 귀향한 이래 약 10년 동안의 전원생활은 본의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대북파와의 정쟁을 핑계로 그는 이 기회에 아름다운 산수자연을 찾아 그곳에 거주하면서 자연을 즐기고 심성을 수양하며 학문 연찬에 매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산수 좋고 조용한 곳을 물색하여 찾은 곳이 우복산 서쪽 자락이었다. 그는 3년에 걸친 공역을 통하여 어렵사리 우복산장을 마련하고 率家하여 이주함으로써 환로생활과는 다른 개인적 차원의 전원생활을 향유할 수 있었다. 이 밖에도 그가 다시 중앙정계로 진출하기까지 우복산장에 거주하면서 상주지역 거주민을 위한 주목할 만한 두 가지 사업을 추진하여 결실을 맺었으니 그것은 바로 존애원의 설치와 운영, 도남서원 창설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한 것이었다. 전자는 이 지역에 최초의 사설의료 지원시설을 운영하여 거주민에게 혜택을 베풀고자 한 애민정신의 실천이었고, 후자는 이 지역 출신이자 한국 유학의 맥을 이어 온 영남출신 유학자들의 업적을 선양하고 그 맥을 이어서 후학을 양성하고자 하는 도학자 본연의 업무를 실천하고자 한 것이었다. Woobok Jeong Kyung-se was evaluated as a scholar in Ritual theory of the early stage in the 17th century and he was a leading scholar of Neo-Confucian in southeastern part of Korea which was succeeded Toegye Lee Hwang and Seoae Ryu Seong-ryong`s academic traditions. He got the good luck for the government but went back his hometown to live there from latter half of 30s for about 10 years. The country life after his returning to Sangju in 1599 was not his own will. But he wanted to live in good nature and hard studies, an excuse for the political strife of the main stream. So he went Woobok-mountain`s western spaces. He prepared Woobok-mountain Villa for 3 years efforts, and removed with his whole family so he could possess country life. Above this he endeavored two programs, the first is establish of Jonae-won and the second is organization of Donam-seowon, before his back to political circles. The former is love of the people and the second is natural of Taoi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전승 일고 -설화의 의미와 시가의 결구를 중심으로-

        성범중 ( Seong Beom-joong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채옹의 『금조』와 최표의 『고금주』에 수록된 두 편의 <공후인> 설화에는 두 개의 중요한 모티프가 있다. 하나는 백수광부의 죽음에서 보이는 익사(溺死) 모티프이고 다른 하나는 남편의 죽음을 슬퍼하여 자발적으로 따라서 죽은 순사(殉死) 모티프이다. 앞의 것은 하수를 무모하게 건너면 안 되는 금기를 촉범한 데서 오는 징벌로서의 죽음이고, 뒤의 것은 남편의 죽음을 막지 못한 아내의 회한과 부부 간의 정리에 따른 자발적 죽음이다. 따라서 <공무도하가>의 결구를 분석하면 ‘금기 촉범에 대한 경고’, ‘금기 촉범’, ‘금기 촉범에 따른 징벌’, ‘순사를 통한 갈등 해소’라는 단계를 밟고 있다. <공무도하가>의 결구를 이렇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설화 속의 ‘提壺(제호)’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후대에 제작된 <공무도하> 의작(擬作) 중에서 ‘壺’가 등장하는 16수의 맥락을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면, ‘壺(호)’는 ‘瓠(호)’의 가차자(假借字)로서 ‘술병’이나 ‘술항아리’가 아니라 하수(河水)를 건너는 데 필요한 보조도구로서의 호리병박이라는 사실이 확인된다. 이것은 <공무도하> 의작에 등장하는 ‘壺’의 문맥적 의미뿐 아니라, 어떠한 의작에서도 광부의 행동이나 심정을 표현한 시구 중에 음주나 술병과 관련한 어휘가 나타나지 않은 데서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공무도하가>의 결구(結搆)의 핵심 개념을 ‘금기의 촉범에 따른 징벌’로 설정하였을 때, <공무도하> 설화나 시가에서는 그것을 ‘墮河而死(하수에 빠져 죽었으니)’로 지극히 단순하게 처리하고 말았으나, 후대 의작 중 30여 수의 작품에서 이 부분을 구체적으로 보완하고 있다. 광부를 징벌하는 괴수는 鯨(경), 蛟龍(교룡), 黿鼉(원타) 등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것은 예전부터 유형화하여 전해지는 하수의 괴수를 후대의 시인이 의심 없이 채용한 결과이다. 후대에 공무도하 모티프는 불의의 도선ㆍ익사 사건의 형상화 과정에 원용 되었다. 이런 부류의 작품은 중국 대륙이나 대만, 우리나라 등 동아시아 시문에서 발견되는데, 이 모티프는 앞으로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시적 발상법의 하나이다. There are two important motifs in the Gonghuin(箜篌引) story, which are printed in Chae Ong(蔡邕)’s Guemjo(琴操) and Choi Pyo(崔豹)’s Goguemju(古今注). One is a drowning motif seen in the white haired insane person(白首狂 夫)’s death, and the other is a suttee motif seen in his wife’s death. The preceding is the death of a punishment coming from an extraordinary taboo that should not be recklessly crossed the Ha-river(河水), and the latter is voluntary death from the remorse of a wife who failed to prevent her husband's death and marital arrangement. Therefore, analysis of the line-by-line conclusion of Gongmudohaga(公無渡河歌) has taken steps such as ‘a warning of violating the taboo’, ‘violating the taboo’, ‘a punishment of violating the taboo’, and ‘a conflict resolution due to wife’s suttee’. In order to grasp the conclusion of Gongmudohaga this way,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at the ‘jeho(提壺)’ in the narrative meant. After an empirical review of the 16 literary works of the later Gongmudoha, the meaning of ‘ho(壺)’ is found to be the ‘ho(瓠, a gourd)’ for assistant floatage of the crossing the river, not the ‘ho(壺, a liquor bottle)’ for getting drunk. This is evident in the context of 'ho(壺)' in Gongmudoha as well as the absence of words related to drinking or bottle in the verses of the insane person’s actions and feelings. In that vein the expression of the third line is very simple ; “Drowned while crossing the Ha river(墮河而死).” But thirty two imitations of classical style of Gongmudoha express in a concrete form. And the monsters in the Ha river are whale, dragon, giant snake, crocodile, etc. ; that is to say they are Chinese conventional monsters. As time goes by, the motif of Gongmudoha is used to shape unexpected ship accidents. This type of work is not only found in East Asian poetry, such as China, Taiwan and Korea, but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poetic ideas that can be used anytime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려후기 한시사의 전개와 동력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풍속(風俗) 관련(關聯) 한시(漢詩) 일고(一考)

        성범중 ( Beom Joong Seong ) 한국한시학회 2013 韓國漢詩硏究 Vol.21 No.-

        The title number of the customary poems composed by Mokeun Lee Saek is over 250.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on the poetic expressions, materials, and poet`s point of these poems. We can find the harmony and estrangement between international universality and Korean peculiarity, the affirmation on Chinese culture, the pride on Korean culture, which are expressed in his poems. Lee Saek keeps a record on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hinese and Korean customs of that time, maintains a objective and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He doesn`t think Korean customs are not worthy than Chinese ones, each custom is complementary. He expresses his own thought on the customs in his poems, so his intention of composing poetry can be clear. Finally Lee Saek thinks that the meaning of Korean customs and ceremonies is not more worthless than that of Chinese ones. This thinking of this kind depends on the necessity of his inheriting various cultural legac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목은 이색의 서연(書筵) 진강시(進講詩) 연구

        성범중 ( Beom Joong Seo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0

        목은 이색은 우왕 5년 5월부터 8월까지 우왕의 사부로서 서연에서 『논어』 「태백」편을 진강하였다. 목은은 텍스트의 내용에 대한 강의와 함께 어린 우왕의 눈높이에 맞추어 군왕으로서의 실천 방향을 고려한 강의를 진행하였다. 목은의 서연 진강시의 특징은 시의 제목에서 시인의 처지와 당시의 정황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과, 시의 본문에서 스스로에 대한 반성이나 곤혹감 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목은의 서연 진강시에 나타나는 교육방법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즉 목은은 텍스트의 내용 중에서 강조해야 할 바와 소홀히 할 바를 구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피교육자를 고려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구체적 사례에 제한된 설명보다 일반화를 통한 폭넓은 교양의 확보를 추구하고 있다. 서연의 철강(輟講)에는 국가적 중대사나 공적인 회합으로 인한 경우, 서연관의 개인 사정에 의한 경우, 수강자의 개인 사정 등의 사유가 있었다. 이처럼 국왕의 경전 강의마저 중단케 하는 공적이나 사적인 다양한 사유를 통해 고금을 막론하고 예정된 행사나 예측할 수 없는 인간 사회의 다기한 사건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make a close study on the poems composed by Mokeun(牧隱) Lee Saek(李穡) at the Royal Lecturing Sessions(書筵). Lee Saek, the teacher to the King Woo(禑王), had lectured the meanings of passages from the <Taebaek(泰伯)> chapter in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for five months in 1379. He taught young King Woo the passages of the <Taebaek> chapter, and the further ruling King`s dynamic meanings. The titles of the poems composed by Lee Saek at the Royal Lecturing Sessions had several informations like not only the poet`s private schedule and life style, emotional condition, but also the concret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the bodies of the poems had the self-reflection, embarrassment, etc. Through these poems we can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Lee Saek`s teaching methods at the Royal Lecturing Sessions. To make a long story short, he distinguished the important things from the others, he provided the King with a fit education at the level of young King Woo`s eyes, and he had a good look for the general explanations rather than an individual one. The reasons of skipping a lecture were an national important affair or an urgent conference, the lecturer`s private condition, and the King`s private condition as a educatee, etc.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