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학생 성문제 행동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성경희 단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특수교사의 경우 과다한 업무 외에도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을 교육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을 주는 요인 중의 하나가 문제행동이다. 중학교 장애학생의 경우 발달과정 상 제2차 성징과 함께 성적 성숙에 따라 성충동도 생기는 것으로 나타나 많은 성문제 행동을 보일 수 있다. 특히 특수학급에 입금된 장애학생의 경우 학교생활 적응에 더욱 혼란이 가중되어 성문제 행동이 더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다. 성문제 행동은 개별학생의 문제로 국한하기 보다는 장애학생과 환경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구성원과의 팀 기반 접근을 통한 생태학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장애학생의 경우 가정에서 성교육 부재가 나타났으며, 학교에서는 대부분 특수교사가 장애학생의 성교육 및 성교육에 대한 책임, 일반교사와의 협력방식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특수학급에서의 교사의 역할은 다른 교사에 비해 더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요구되어지는 전문성 또한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을 어떻게 대처하고, 성문제 해결과정에서 일반교사와 부모와 어떻게 협력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소재(서울, 경기도)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직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5명(여교사 3명, 남교사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내용을 분석하였다. 면담은 2015년 4월1일 부터 2015년 5월 18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수집된 면담자료를 질적 분석하여 3개의 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와 20개의 개념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학생 성문제 행동을 대처방법” 에서 특수교사들은 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 유형을 혼자만의 행동과 타인을 통한 행동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수교사의 성문제 행동 대처방법으로는 성교육과 행동수정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 지도의 어려움으로는 전문성 부족, 성별에 따른 지도의 부담감, 장애학생에 대한 신뢰부족, 연수 및 자료 부족, 과도한 업무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일반교사와의 협력” 에서는 일반교사와의 협력경험 및 방법이 학습지도와 생활지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특수교사가 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일반교사와 겪는 어려움으로 통합학급 교사의 불성실한 태도와 통합교사에 따라 다른 학급분위기, 특수교사의 심리적 갈등,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협력적 자문의 한계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부모와의 협력” 에서는 부모와의 협력 경험 및 협력방법으로 장애학생에 대한 정보 공유, 성문제 행동 중재로 나타났으며, 부모와의 협력과정에서 특수교사가 겪는 어려움으로는 부모의 성향에 따른 어려움과 부모와의 소통에 따른 어려움, 가정 연계교육의 부재에 따른 어려움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학생이 어떤 성문제를 보이고 교사는 어떻게 대처하는지, 그리고 대처과정에서 일반교사와 부모와의 협력은 어떠한지를 심층면담을 통하여 교사의 시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독창성을 지닌다. 또한 이를 통해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성교육은 물론 교사 연수에서의 성교육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지방 여성공무원의 보직 및 승진 실태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일반행정직 여성공무원을 중심으로

        성경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전남 지방 여성공무원의 보직과 승진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하여 한국 여성공무원의 인사상 양성평등이 이루어지도록 그 발전적인 정책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종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여성공무원의 수, 배치, 직급별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광주·전남 지방 여성공무원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들이 행정일선에서 느끼는 보직과 승진에서의 성차별을 조사했다. 설문내용은 홍수자, 정동구, 최재영의 논문을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여성공무원은 수, 직급, 배치에 있어서 남성에 비해 차별을 받고 있다. 여성은 남성에 숫적으로 열세하며, 직급도 하위직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맡고 있는 직무도 비핵심부서인 민원업무, 여성분야에 집중되어 있었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의 여성공무원들이 보직과 승진에 있어서 성차별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해서 여성공무원이 남성공무원보다 직업헌신성이 다소 낮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보직과 승진 및 상사의 남성공무원 선호에서 오는 불만족이 그 원인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인사정책에 양성평등이 이루어질 때 여성공무원의 직업헌신성과 직무만족은 높아지리라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행정의 실효성과 능률성을 위해서 여성공무원의 직업헌신성과 직무만족이 필수적이라 여기며 인사행정의 양성평등이 이루어지도록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언한다. 1) 7급, 9급의 신규채용에서 군복무가점제를 폐지하고, 양성 모두 30% 이상 채용하는 채용할당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2) 지방직 5급 이상 여성공무원이 집중되어 있는 복지행정 및 여성관련 행정분야의 별정직 공무원을 일반직화하고 여성공무원의 보직경로와 고위직 승진을 확대해야 한다. 3) 일반직 5급 이상 여성공무원의 비율이 1997년 현재 6.5%에 불과함을 인지하여 5급 이상 여성공무원의 비율이 최저 30%가 되기까지 여성승진 목표제를 실시해야 한다. 4) 여성공무원의 비율이 전체 공무원의 29%에 달하고 있음에 비추어 공무원 인사 위원의 여성비율은 최소 30%는 되어야 한다. 5) 행정자치부가 밝힌 지자체 '1과 1여성제'가 실효성을 거두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감독이 있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policies for local female public officials in Kwangju and Chollanamdo. This study also aimed at embodying the fact that the equality of both genders may be accomplished on personnel management by means of searching for actual conditions of position appointment and promotion for female official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current situation of number, placement and position rank of female officials in Korea were searched for by means of utilizing all kinds of statistical data. In addition, the gender discrimination in position assignment and promotion which the local female public officials were feeling at the administration line was surveyed by means of conducting the questionnaire for the targets of 190 local female public officials in Kwangju and Chonnam districts. The contents in the newspapers were composed by referring to the theses of Hong, Su-ja, Jung, Dong-gu and Choi, Jae-young. The findings which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contents through the above data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public officials are discriminated in number, position rank and placement as compared with male public officials in Korea. In addition, females are inferior to males in number. Besides, as for the position rank, they undertake most of subordinate positions. Moreover, the tasks which they undertake are concentrated on civil affairs administration which is restricted to the non -core department and female area. Secon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most female public officials recognized that they receive discrimination by gender in position appointment and promotion. Third, the fact that the devotional intention for the job appeared a little low in female officials than male officials was seen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cause was considered that the female officials feel unsatisfactory due to the preference of male officials regarding the position appointment, promotion and higher rank position. According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devotional intention and contentment for job would become higher when the equality for both genders is embodied. As for this phenomenon,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devotion to job and the satisfaction of female officials are indispensable for practical effect and efficiency for their tasks. Thu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 strategies so that the equality for both genders could be accomplished. 1. The adding point system for the military service for men in new employment of 7 grade and 9 grade should be abolished. Instead, the employment allocation system by which more than 30% should be employed for both genders must be enforced. 2. The welfare administration and privileged government positions which are related with female, where female officials of more than 5 grade local positions are concentrated, should be changed into general positions. And the position appointment route for female officials and their promotion to the high rank position should be expanded. 3. The target system for female promotion should be practiced until the rate of female officials of more than 5 grade to be minimum 30% by recognizing the fact that the rate of female officials of local position of more than 5 grade was only 2% at present in 1993. 4. The female rate of public officials personnel committee should be at least 30% referring to the fact that the rate of female officials are up to 29% of whole public officials. 5. The governmental positive support, regulation and superintendence should be existed so that the local autonomy system of 'one-task and one-female system' can achieve the actual efficiency as the administration autonomy department elucidated.

      • 골프장 고객이 지각하는 노캐디 서비스요인이 경험가치,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경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노캐디 서비스 경험이 있는 골프 참여자를 통해 기술기반 셀프서비스를 활용한 노캐디 서비스요인이 경험가치,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캐디 서비스를 이용한 304명을 선정하고,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이중 중복표기 및 결측값을 포함하고 있는 설문지 5부를 제외한 총 299부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데이터에 SPSS 23.0 및 AMOS 22.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이용된 변수들에 대한 구성 타당성 검증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Cronbach's α를 이용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용된 변수들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와 같은 기초 통계량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기본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수립된 가설을 규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참여자의 노캐디 서비스요인의 하위요인인 유희성, 유용성, 용이성은 경험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험성, 신뢰성은 경험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참여자의 노캐디 서비스요인의 하위요인인 유희성, 용이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위험성, 유용성, 신뢰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의 노캐디 서비스에 대한 경험가치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참여자의 노캐디 서비스에 대한 경험가치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골프 참여자의 노캐디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TBSS 개념을 노캐디 서비스에 적용시켰다는 점에서 노캐디 서비스 저변확대를 위한 실무적, 학문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마케팅 전략으로 논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옥심-우레탄 그룹을 가진 광염기 발생 고분자의 광가교반응 메카니즘 및 포토레지스트에 응용

        성경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옥심-우레탄 그룹을 가진 광염기 발생 단량체인 methacryloxyethyl benzophenoneoxime urethane(MBU)를 합성하여 MMA와 반응시켜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수율은 61∼73%였으며 고분자의 T_g는 75∼85℃로 나타났다. 254 또는 310nm의 자외선 조사에 따른 공중합체들의 광화학 반응을 자외선과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관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옥심-우레탄 그룹의 분해율은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70%정도 분해된 후 더 이상 분해되지 않았다. 공중합체 필름에 254nm의 자외선을 조사시킨 결과 가교반응이 일어났고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가교율이 증가하였다. 이 공중합체 필름에 벤조페논을 첨가하고 310nm의 자외선을 조사하면 가교효율이 훨씬 높았으며 조사 후 post exposure baking(PEB)을 하였을 때에는 가교가 더 효과적으로 일어났다. 그 이유는 옥심-우레탄 그룹에 열을 가했을 때 생성되는 isocyanate 그룹과 조사에 의해서 고분자 내에 생성된 아만 그룹 사이에 열반응이 일어나 urea type의 생성물에 의해 가교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공중합체 필름에 254 또는 310nm의 자외선을 조사하면 자외선이 조사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광가교 반응이 일어났으며 선폭이 2㎛인 미세패턴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254와 310nm의 자외선을 조사했을 경우 sensitivity(D_c^(0.5))는 각각 600과 1200mJ/cm²이였다. The photobase generators have been applied as photochemical crosslinking agents for the polymers containing epoxy groups, photoresists, imidation catalysis, and surface modification. In previous studies, we reported that the epoxy copolymers containing oxime-urethane groups photochemically induces a crosslinking reaction upon heating. The copolymers containing oxime-urethane groups, which lead to the formation of pendant amines photochemically, were used for image recording materials. In this study, we report photo-crosslinking reaction of the polymeric photobase generator containing oxime-urethane groups with epoxy monomers and its application to negative photoresist. The polymer containing oxime-urethane groups was prepared by co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MMA) and methacryloxyethyl benzophenoneoxime urethane(MBU). T_g of the copolymers were in the range of 75∼85℃. The copolymers are insoluble in alcohol or ethyl ether, but they are soluble in THF or CHCl₃ as well as aprotic solvents such as dimethylformamide or dimethyl sulfoxide. They have a good film-forming property. The copolymer films introduced epoxy monomers turned insoluble by UV irradiation and post exposure baking. The insoluble fraction of copolymer films increased with irradiation time and the amount of the epoxy monomer. This is due to the irradiation of the copolymer containing oxime-urethane group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pendent amine, which catalyze the thermal crosslinking reaction of epoxy monomer. The trifunctional epoxy monomer has better crosslinking efficiency than the bifunctional one. And the copolymer film introduced epoxy monomers and benzophenone, which was irradiated with 254nm UV light. The sensitivity appeared to be 460 and 370mJ/cm² when irradiation was carried out with 254 and 310nm UV light, respectively. Negative micropatterns with a resolution of 2㎛ could be obtained by using chloroform as a developer.

      • 세계 주요 항공사의 효율성과 기업경영성과와의 상관관계 분석

        성경희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항공운송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대형항공사들의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항공사간의 경쟁심화와 운영비용 상승으로 인해 수익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항공시장에서의 항공사들 간의 효율성을 기반으로 상호 경쟁력을 비교하기 위해 대형 항공사들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비효율 원인을 확인하여 효율적인 항공사가 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대형 항공사 24개 항공사를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했다. Super-SBM 모델을 활용하여 항공사의 효율성 값을 측정하였으며 기업경영성과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 TV드라마 <황진이>의 服飾과 色彩연구 : 황진이를 中心으로

        성경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TV드라마의 사극 <황진이(2006)>에 나타난 주인공 황진이의 복식과 그 색채의 상징성을 연구하고, 나아가 한복의 새로운 감각적 디자인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TV드라마 <황진이(2006)>의 주인공 황진이 복식을 중심으로 각 장면에 따른 인물의 의복·장신구·머리모양·화장 등의 총체적인 복식을 살펴보았고, TV드라마 <황진이(2006)>의 국내외 문헌자료 및 DVD·잡지·회화(繪畵) 등의 시각자료를 중심으로 주인공 황진이의 복식과 그 색채에 표현된 상징성을 고찰하였다. 드라마 주인공인 황진이(黃眞伊)는 조선시대 초기의 16세기 인물이지만, 기녀의 복식이 가장 화려하고 매혹적인 시기인 조선시대 후기의 18세기가 복식사적 배경으로 표현되었다. 18세기의 기녀 복식은 넓은 허리말기를 중심으로 거대한 트레머리와 밀착된 저고리, 둥글게 부풀어 오른 치마의 대비로 굴곡이 심한 윤곽선을 형성하는 상박하후(上薄下厚)의 형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복식사적 배경은 TV드라마 <황진이(2006)>에 표현된 18세기를 연구하였다. 먼저, 주인공 황진이의 복식을 살펴보면 기녀가 되기 전과 후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어짐을 알 수 있다. 황진이의 동기 시절 복식은 양반집 규수와 같이 단아한 이미지이지만, 수놓인 허리띠와 노리개를 통해 화사한 동기의 이미지를 암시하고 있다. 기녀 시절의 복식은 반회장저고리를 사용하여 그녀의 내면을 담아내었고, 황진이를 상징하는 매화문을 저고리에 프린트하여 그녀의 심리 변화를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둔부를 풍만하게 강조한 거들치마의 실루엣은 율동감을 부가하여, 매혹적인 기녀의 모습을 연출하였다. 황진이의 재예에 대한 꿈과 열정을 표현한 복식에는, 동기 시절의 수련복 과 기녀가 되어 입는 학춤의 무복이 있다. 수련복은 저고리와 무릎길이의 치마 사이로 무지개 색 친의가 은은히 비치어 하늘로 비상할 것 같은 선녀의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학춤의 무복은 흰색의 저고리와 치마에 학 날개 형태의 소매를 부착하여 고결한 학의 이미지로 나타내었고, 치마에서부터 소매까지 만개한 붉은 매화문은 수련을 통해 춤이 완성되어가는 과정을 암시하며 무복 허리띠의 색채 변화는 그녀의 춤이 정점에 올랐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음으로, 주인공 황진이의 복식 색채를 살펴보면 오방색을 통하여 심리 변화가 뚜렷하게 구분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동기 시절의 파란색은 예인에 대한 꿈과 순수한 열정을 지닌 동기의 이미지로 나타내고 있다. 기녀 시절의 주요 색채는 빨간색으로, 기녀로 화려하게 성장한 황진이의 모습은 빨간색의 의복을 통해 그녀의 정열적이고 매혹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또한 화려한 의복의 기녀들 사이에서 홀로 검은색 의복을 입은 황진이의 모습은 당당하고 지성적인 면모를 더욱 두드러지게 하며, 벽계수를 유혹할 때 입은 노란색의 저고리는 요부 이미지를 담아내고 있다.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에서, 하늘을 배경으로 춤을 출 때 입은 흰색의 저고리와 배자는 그녀가 더 이상 화려한 기녀가 아닌 진정한 예인으로 거듭났음을 암시하여 주는 색이다. 본 연구는 TV드라마 <황진이(2006)>를 통해 사극 장르에서 전통 복식과 그 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속에 표현된 복식과 색채의 상징성을 연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ymbolism of a main character Hwang Jin-Yi's costume and the color shown in the historical TV drama <Hwang Jin-Yi (2006)>, and further to search for the new sensuous design of current Hanbok (Korean costume). As a researching method, it is focusing on the main character Hwang Jin-Yi's costume shown through TV drama <Hwang Jin-Yi (2006)>, and centered whole images including character's clothing at each scene, decoration, hair style, and make up, etc. We further refer to the domestic and abroad literature of TV drama <Hwang Jin-Yi (2006)> with other visual sources including DVD, magazines, paintings, etc. The heroin of drama, Hwang Jin-Yi was a character of the early years of Chosun Dynasty in the 16C. This TV drama however shows the historical setting of the most gorgeous and fascinating day's Ginyoe (Gisaeng) costume in the latter of 18C Chosun Dynasty. The physical beauty of fascinating 'upper tight-lower broad' expresses the costume in the latter of 18C Chosun Dynasty. Historical research is important for the costume of historical drama at those days, but Hwang Jin-Yi's costume was designed with modern sense for the gorgeous social standing of Ginyeo. Firstly, when seeing the main character Hwang Jin-Yi's costume,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of being a Ginyeo. When she was a child Ginyeo, her costume was elegant like upper class's maiden image, but she simultaneously intimates the image of pompous child Ginyeo through her embroidered Heoritti (women's chest band) and Norigae (women's pendant). After becoming a Ginyeo, her costume contains her internal mentality wearing Banhuejangjeogori (the collar, cuffs and breast-ties are different color from the bodice), and her ume flower pattern Jeogori (jacket) which symbolizing herself expresses the image of her mental varieties. The plumpish hip-emphasized Geodulchima silhouette adding the rhyuthmical beauty with the dynamic image from the silent image of traditional costume shows her fascinating Ginyeo's image. There are costume that expressed the dream and passion for her artistic talent, a training clothing for a child Ginyeo and a dancing clothing for the dance of a crane wearing when she became Ginyeo. The training clothing showed the rainbow colored Chinui (underwear) through knee-length long Chima (skirt) so that it looks a fairy who is ready roaring up to the sky. Dancing clothing for the dance of a crane expresses the image of noble crane with the white clothing attached the crane-wing shaped sleeves. Full blown red ume flower pattern from Chima to sleeves intimates the dancing process of perfection, and the varied girdle color shows symbolically her dance has reached to the height of her prosperity. Secondly, looking into the color of Hwang Jin-Yi's costume, her mental varieties clearly divided through the multi-colored stripes. The blue clothing she wore when a child Ginyeo showed her dream and pure passion for being an artist. At the Hwang Jin-Yi's Ginyeo days, her main color was red, and she expresses fully grown gorgeous Ginyeo's appearance with passion and fascinating image through the red clothing. Her appearance with a black clothing alone among the gorgeous Ginyeos distinguished a majestic and intellectual features, and the yellow Jeogori she wears to tempt Byokgyesu expresses the image of an enchantress. At the end of the drama scene, the white Jeogori and Baeja (vest) when dancing against the sky, the color intimates that Hwang Jin-Yi is no more a gorgeous Ginyeo but a reborn true artist.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ostume and its color in the historical drama through TV, and also studied the symbolism of the costume and the color expressed in the TV drama of <Hwang Jin-Yi (2006)>.

      • 그래픽조직자 활용이 학습부진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성경희 대구교육대학고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그래픽조직자 활용이 학습부진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대구광역시 S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학습부진학생 7명을 선정하여 실험 집단에 배치하고, 대구광역시 K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학습부진학생 7명을 선정하여 통제집단에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2012년 3월 12일부터 4월 24일까지 매 회기 40분씩, 주 3회 6주간 총 18회기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SPSS/PC+ ver. 20.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래픽조직자 활용은 학습부진아의 어휘이해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그래픽조직자 활용은 학습부진아의 어휘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그래픽조직자 활용은 학습부진아의 쓰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수행위에 대한 이해 : G초등학교 6학년 사회 수업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성경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발전하고 정보사회가 고도화되면서 사회과를 포함한 교육계에서 테크놀로지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에서 사회과 교사의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정보 시대의 시민적 자질이 정보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 의사결정력이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의미하는 한 지식 전수자로서의 기존의 교사 역할은 축소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노련하고 정교한 교수행위가 요구된다는 점에서는 오히려 교사의 역할이 증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회과 교육에 테크놀로지를 도입하는 것은 교사 역할 변화에 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지만, 정작 교육의 핵심 주체인 교사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업에서 어떤 판단과 결정을 내리고 있는지 살펴보는 연구는 드물다. 최근 테크놀로지의 성공적 통합을 위해서 교사 변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긴 하지만 이들 연구 또한 교사가 실제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어떤 교육적 결정을 내리고 이를 실행하는지 면밀히 살펴보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관련 매체의 등장 이후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하기 위해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사의 교수행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주 연구문제는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사의 교수행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이며 하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행위의 형식적 측면, 즉 교수적 형식(instructional forms)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교수행위의 내용적 측면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즉 어떤 내용(content)이 선정되고 어떻게 제시되는가? 셋째,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드러난 교사의 교수행위를 통해 교사의 역할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1년간 G초등학교 6학년 사회 수업을 대상으로 미시문화기술지(microethnography)를 활용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시문화기술지적 교실수업 연구에서는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양식으로 수업 조직, 대화배분 절차, 사회적 참여구조 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행위의 형식적 측면을 분석하기 위해 이들을 참고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학습을 의도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속에서 교사가 취하는 행동이 교수행위이기 때문이다. 또한 교수행위의 내용적 측면을 분석하기 위해 학습주제의 변환과 학습활동 유형을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교수행위의 형식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 전략 행위(맥락화 단서와 대화배분 절차)에서 보면 전반적으로 ‘질서유지’ 전략이 강하게 드러났다. 이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으로 발생하는 수업 방해요인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교사는 특히 태블릿PC 통제에 관련된 언어적, 공간적 맥락화 단서를 두드러지게 사용하였다. 맥락화 단서 사용에 따라 학생 중심의 참여구조에서 교사 중심의 참여구조로 전환되거나 그 역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교사는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 교사-학생 간 대화의 리듬타기가 특징적인 상당히 정형화된 대화배분 절차를 사용하였다. 둘째, 교수 전략 행위(맥락화 단서와 대화배분 절차)를 바탕으로 총 7개의 ‘테크놀로지-기반 사회적 참여구조(technology-based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중심의 참여구조와 학생중심의 참여구조의 출현 비중이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나 기존 교실수업에 비해 학생의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교수행위의 내용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주제 변환 측면에서 교과서 본문의 글보다는 내용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으면서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만한 삽화나 멀티미디어 자료 위주로 학습주제가 선정되었다. 이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해석, 그리고 학생의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과업(academic task) 및 활동(activity)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선정된 학습주제는 교사가 주도하여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의 활동이 선행된 후 교사의 정리가 뒤따라가는 일종의 “활동-정리 셋트”라는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학습활동의 유형에서는 ‘전체학습+퀴즈ㆍ발표’, ‘개별ㆍ조별학습+검색ㆍ글쓰기’라는 2가지 학습활동 셋트의 비중이 전체 수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는 학생의 활동을 고려하여 학습주제를 선정한다는 교사의 선정 기준이 수업에서 그대로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교사의 교수행위를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로 인해 발생하는 방해요인을 극복하려는 질서유지 전략이 두드러졌으며, 그 결과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하는 사회과 수업에 비해 학생 행동에 대한 통제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학습 가능성에도 주목하여 학생들의 개별 학습활동을 독려하는 수업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한 차시의 학습목표를 명시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습주제들을 논리정연하게 설명하는 선형적 수업 전개 방식보다는 여러 학습주제들을 학생 활동 위주로 재편성하여 이를 학생의 흥미ㆍ요구에 맞추어 제시하는 비선형적 수업 전개 방식을 보였다. 학생 활동 중심의 비순차적 수업 진행에서 교사는 지식의 전달자가 아니라 학습 촉진자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이러한 교사 역할의 변화가 수업의 주도권이 학생에게 양도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교사는 학습주제 선정과 학습활동 조직에 있어 주도적 권한을 가지고 테크놀로지 활용 방식을 능동적으로 결정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이러한 주도적 입장을 보여주는 개념을 ‘관리적 방목’이라고 명명하였다. 서책형 교과서를 사용하는 기존의 사회과 교수실행과 비교해볼 때, ‘관리적 방목’이란 교사가 교실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수업 통제 전략을 더욱 엄격하게 사용하는 한편,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강화하고 학습 내용을 교실 밖까지 확장시키는 교수행위를 의미한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업 방해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교사의 교수행위는 더욱 엄격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또한 교사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러한 가능성을 충분히 살리기 위해 학생 활동을 강화한다. 이처럼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도입된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는 교수ㆍ학습 과정에 대한 자율성과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교과교육 주체로서 사회과 교사의 역할은 여전히 주도적 입장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교사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테크놀로지 활용에 직면했을 때, 수업에서 학생들의 능동적 혹은 자기-주도적 학습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그 결과를 교수행위에 반영했다. 즉 ‘관리적 방목자’로서의 교사는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해석하여 수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이는 테크놀로지가 통합된 교과 수업에서 적극적인 교사의 역할이 충분히 교육적으로 의미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과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및 정체성에 대한 논쟁에서 테크놀로지에 매몰되지 않는 사회과 교사상을 정립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가 통합된 교수ㆍ학습 과정에서 교사의 주도적 역할을 밝혔으며, 능동적ㆍ자율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교육 주체로서의 교사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새로운 테크놀로지 환경에서 교사의 전문성이 단순히 학습 내용 전달이나 교실관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테크놀로지, 학습 내용, 교수법에 대한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결정권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제 교사 역할의 필요성 논쟁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해서 교사가 주체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존재라면 교사의 역할 논쟁은 단순히 불필요성 문제에서 벗어나 미래 교실에서 사회과 교사의 정체성ㆍ전문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정될 수 있는지와 관련된 문제로 넘어가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교사의 정체성ㆍ전문성 설정 문제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has been increa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Nevertheless, it is unclear what teachers’ role should be with this change. Current role of teacher as a transmitter of knowledge can not help being reduced as long as citizenship in information society means rational decision-making skills 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th information. However, the role of teacher can be emphasized more than ever in that we require an elaborate teaching action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Thus,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into social studies classes causes a debate about the change of teachers’ role. Nevertheless, it is rare for studies to inquire how teachers make decisions on the use of technology. Recently there have been claims that teacher variable is worth noting, but these studies do not examine thoroughly what educational decisions are made by teachers on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with classroom activities.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eacher action with digital textbook in the social studies classes to understand what teachers’ role should be after the emergence of educational media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Main research question for this purpose is that “How does the teacher’s teaching action appear in the social studies with digital textbook?” In this context, specific ques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how do the formal aspects of teaching action (i.e. instructional forms) appear? Second, how do the content aspects of teaching action appear? In other words, how is the subject matter taught? Third, how is the teacher’s role understood through teacher’s teaching action shown in the formal/ content aspect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current research conducts qualitative case study, adopting microethnography, on 6th-grade social studies class at ‘G’ elementary school. In a microethnography of classroom lessons, structure of a lesson, turn-taking allocation machinery, and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SPS) were found as a pattern of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e present research prepared suitable analytical lens to figure out instructional forms. Besides, to analyze the contents taught by a teacher, this research used analytical lens such as the transformation of learning topic and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followings have appeared as key findings. First, ‘order-maintaining strategy’ through contextualization cues and turn allocation machinery was prominent. This strategy was adopted so as to overcome the disturbing factors arose from digital textbook. The teacher frequently used spatial contextualization cues as well as verbal contextualization cues related to Tablet PC control. Depending on teacher’s use of contextualization cues, participation structure kept changed between student-centered and teacher-centered. Also, for the seamless flow of class, the teacher used highly formal turn-allocation machinery. Based on contextualization cues and turn-allocation machinery, 7 types of technology-based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T-SPS) were identified. Second, in terms of transformation of learning topic which is one of the content aspects of teaching action, the teacher chose learning topic based on illustrations or multimedia materials instead of text. This results from the teacher’s necessity to add academic tasks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or activities with digital textbook, as well as the teacher’s interpret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his view of education. Next, learning topics were presented in the way of ‘student activity-teacher summary sets’. Under this way, students’ activities preceeded the teacher’s explanation, and teacher-centered way of presentation was hard to find.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research interprets teaching action utilizing digital textbook in the social studies classes as follows. The teacher recognized the need for a change in teaching method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textbook. The order-maintaining strategy of instructional forms stood out to overcome the disturbing factors to instruction arose from digital textbook,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lassroom lesson. Besides, the teacher developed the lesson emphasizing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due to new chance brought by digital textbook. Therefore, nonlinear development among various subject matters was shown more often than linear development to accomplish learning goals. When the teacher led the lesson nonsequentially with students-centered activities, he played a role of learning facilitator, not a knowledge transmitter. However, this change in the teacher’s role does not mean that the initiative is transferred from the teacher to students, and the teacher actively interprets and decides the selection of contents and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authority. The current study refers to the idea of teacher’s leading role as "managerial grazier(shepherd)". Compared to the existing instruction using traditional textbook, "managerial grazing" means teaching action that students’ activities are strengthened and the contents are expanded out of classroom, while teaching actions for maintaining-order is tightened. However, even whe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is strengthened, the initiative of class is on the teacher’s hand. This is because the teacher actively interprets potentiality of digital textbook for learning and strengthens students’ activities to promot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studies class for realizing the potential. As seen above, in the social studies class with new technology, the teacher still has a power to decide the process of instruction, so the leading role of teachers is still valid. So far, studies have implied passive role of teachers and have described teachers as rejecting the utilization of new technology with conservative attitude. However, the teacher confronted by a sudden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in this study practiced teaching action reflecting his consideration for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 teacher as a "managerial grazier(shepherd)" did not accept technology passively but appreciated the potentiality of a given technology and actively led the instruction. This study can have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on teachers’ role or identity in the class full of technology. Further this stud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n exemplary teacher model not being overwhelmed by technology. In this study, teacher’s identity as a key agent of educational activity, who can decide actively and spontaneously, is confirmed by finding out the leading role of teacher in the technology-integrated class. From this, it can be said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does not exist in the management and transmission of subject matters merely, but in the complex and holistic decision on technology, content, and pedagogy. Therefore, now it is time to get away from the dispute over the need for teachers’ role. If a teacher is active decision-maker in the use of technology, the debate over teachers’ role should be about how teachers’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will be set in the future class. The present research, from this point of view, has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it provides a place for discussion to establish teachers’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