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초등학교의 프로젝트 학습에서 컴퓨터와 인터넷 활용 실태 분석

        설양환 ( Yanghwan Sol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1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하는 프로젝트 학습은 정보화 시대와 지식기반 사회에 살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인 학습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초등학교에서 실시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사례로는 인터넷 검색 순위 상위인 BIE와 웨스트 버지니아 주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우수 사례 가운데 초등학교 학년과 과목을 고려하여 열두 개 사례를 선정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컴퓨터의 도구적 기능(문서작성, 프레젠테이션, 스프레드시트)과 인터넷 웹사이트 검색 및 이메일을 주로 사용하였다. 동영상을 편집하고 여행 거리 및 자동차 연료비를 계산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리고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도를 높여주는 비디오 카메라, 프로젝터 등의 기자재를 함께 사용하였다. 교사들은 프로젝트에 관련된 지식과 기능을 프로젝트 수업 전이나 도중에 가르쳤다. 그리고 두 개의 프로젝트학습에서는 IT 기능을 한 두 개만 적용하였다. 마지막 부분에는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프로젝트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언하였다. Project-based learning (PBL) becomes an essential learning method to those who live in the information age as well as a knowledge based society. This study analyzed cases implemented computers and internet in PBL in American elementary schools. 12 examples of PBL were sampled from a couple of sources, a book published by the BIE(Buck Institute of Education) and a website of the West Virginia Office of Education. The examples cover all the grade levels and possible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suggest that tools(word processors, spreadsheets, presentations, etc.) of computers and web searching and email were mostly used in PBL. Computer software like video editing and calculating travel distances were implemented. Media facilitating the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such as video camera and projector were utilized. Teachers instruct students with knowledge and skills they would need, both in advance of and during the project. However a couple of projects used a few functions of computers and internet. Suggestion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ant to apply PBL are listed in the end of the article.

      • 국제교육실습을 시작하고 운영한 경험

        설양환(Sol, Yanghwa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0 교육실습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예비교사인 대학생들을 외국으로 국제교육실습을 보내는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운영한 연구자가 자신의 경험에 대하여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서술하였다. 경험을 서술한 방식은 다음 열한 가지 항목에 따랐다: 프로그램 목적, 프로그램의 개발, 외부의 제약과 긴장, 내부의 우려, 지원자 배치 유형, 실습기관 결정, 프로그램 마케팅 및 학생의 관심 처리, 신청과정 및 지원자 선정, 프로그램 감독에게 환송될 정보, 교육실습생의 배정 업무, 지원자 오리엔테이션 및 귀국. 먼저 관련된 이론과 미국에서의 사례를 진술하였으며 연구자의 경험을 추가로 설명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은 대부분 미국의 사례와 유사하였다. 하지만 미국과 우리나라는 환경이 다르고, 미국 학생들이 외국에서 모국어인 영어로 수업을 하는 반면에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은 외국인으로서 영어가 모국어인 미국에서 영어로 수업을 하므로 이로 인한 차이점을 추가하였다. 또한, 미국의 경우 외국으로 교육실습을 보낸 역사가 오래되고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추진하므로 비교적 안정되게 운영되지만, 연구자의 경우 외국교육실습을 스스로 개척하고 다른 대학교와 컨소시엄을 만들어서 시행하였다. 이로 인하여 일어나는 문제도 첨언하였다. 연구자가 시작했던 국제교육실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했던 사유는 네 가지다. 첫째, 지도자의 비전과 지원이다. 둘째, 지원자들의 관심을 키울 기본 요소를 마련하였다. 셋째, 연구자는 열정과 끈기가 있었다. 넷째, 연구자는 미래교사들에게 높은 기대를 가졌다. This study describes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who started and operated the program of sending the pre-service teachers to foreign countr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experience was followed by the eleven items, and firstly, the related theories and cases in the United States were described, and further the researcher s experience was explained. The eleven items are: Program purpose, program development, external pressures and tensions, internal concerns, types of applicant placements, determining host institutions, marketing the program and addressing student concerns, application process and candidate selection, information to be returned to the program director, assignment of trainees, applicant orientation and reentry. The researcher s experience was mostly similar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environment of the States and Korea is different, and American students teach English as their native language in foreign countries, while Korean pre-service teachers teach subject matters in English in the U.S.A classrooms, where English is their native language. Accordingly, the difference is added.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the history of teaching practice in foreign countries is old and a consortium is formed and promoted, so it is operated relatively stable.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searcher, overseas student teaching(OST) was pioneered by myself and a consortium with other universities was constructed. The reason why the OST that the researcher started was efficiently operated is first, the vision and support of the leader. Second, the important problems to raise the interest of the applicants were solved; third, the researcher had grit; Lastly, the researcher had high expectations for future teachers.

      • KCI등재

        국내 교육실습 연구동향

        노숙원(Noh, SukWon),박일수(Park, IlSoo),설양환(Sol, Yang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teaching practicum being practiced in early childhood, elementary, middle class and speci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11papers published between 2012 – 2016 were analysed through thematic reviews following content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were that 8major theme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and then subordinate and the lowest them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se three-layered concepts, the papers were further analyzed to reveal which major themes were more researched than others and compare between each educational group.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ies of teaching practice in middle class education published most papers and early childhood, elementary, and special education come next in the order. Moreover, the theme of practicing each class conducted by student teachers during the period of teaching practice was analysed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topic among 8 major themes and another major theme of teacher educator was never analyzed as a research them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heme of teacher educator and other subordinate themes that were less investigated need to be researched in future study, through which the research topic area can be expanded for the long-term goal of seeking substantiality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본 연구는 국내의 특수 및 유, 초,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8년 1 월에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의 교육실습 관련연구 111편을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웹사이트에서 검색하여 연구현황 및 연구주제를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 했다. 연구현황은 분석 대상학교, 연구방법, 연구대상, 자료수집 기간 등을 기준으로 하고, 연구동향은 내용분석법으로 추려낸 8가지의 대주제와 중주제 및 소주제어들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석 대상 기간에 학교 급별로 발표된 연구 편수는 중등, 유아, 초등, 특수학교 등의 순으로 많았다. 대주제에 따른 연구주제는 수업실습, 예비교사, 교육실습 적용 프로그램, 교사교육제도와 기관, 지도교사에 관한 연구, 연구방법, 교육관과 교육가치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교사교육자에 관한 대주제는 한편도 연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교사교육자에 관한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연구동향에 나타난 교육실습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향후 연구에 관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에 관한 요구 분석

        김순녀(Sun Nyeo Gim),정용재(Yong Jae Joung),설양환(Yanghwan S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 시스템에 관한 유⋅초등 예비교원과 현장교원, 대학교수 등의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총 531명의 유⋅초등 예비교원과 현장교원, 그리고 대학교수를 대상의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초등 예비교원과 현장교원, 대학교수 등의 교육실습 주체들은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의 내용으로 수업 지도 관련 내용, 교육실습 입문 관련 내용, 교직실무 관련 내용 순으로 요구 정도가 높았다. 둘째,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자료 공유 기능, 다양한 유형의 자료제시 기능, 교육실습 평가 기능, 의사소통 기능 순으로 요구 정도가 높았다. 셋째, 이러한 요구 정도는 일부 내용과 기능에서 연령, 신분, 교육실습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결론 교육실습 주체들은 효율적인 교육실습 운영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교육 실행 능력의 개선에 관련된 내용과 기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과 관련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round data for building online support system for teaching practicum by investigating the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531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demanded the content of online support system in the order of ‘instruction methods’, ‘introduction of teaching practicum’, ‘teaching practices’. Second, with regard to the function of online support system, the participants’ demands were high in the order of ‘sharing materials’, ‘providing various type of material’, ‘teaching practicum evalu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the degree of such demands for some content and func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age, status, and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Conclus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demanding content and function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ability as well as efficient management of teaching practicum.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related to teaching practicum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