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리막 달리기 후 국소 근손상의 영상학적 비교분석 : 운동 강도의 영향

        선민규,김춘섭,김맹규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내리막 달리기(downhill running, DR) 후 초음파 영상분석을 이용해 대퇴사두근 무리 (quadriceps group, QG) 내 근손상의 국소화 여부를 검증하고, DR 동안 운동 강도가 운동유발성 근손상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EIMD) 및 근육 반향세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없는 건강한 남성 11명이 무작위 교차설계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 [low-intensity DR session(50%HR max ), LDR; high-intensity DR session(70%HR max ), HDR]의 DR 운동을 수행하였다. DR 후 EIMD의 심각성은 혈청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 CK) 활성 수준 변화와 함께 신경근 기능 지수로서 무릎 신전근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및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변화를 통해 결정되었다. 회색조 분석을 적용한 근육 반향세기 평가는 DR에 따른 QG 내 국소 근육별(rectus femoris, RF; vastus lateralis, VL; vastus medialis, VM; vastus intermedius, VI) 손상 양상을 탐지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모든 세션에서 혈청 CK 활성 수준과 VL 및 VM의 근통증 정도는 운동 후 24시간째(RF의 경우 각각 LDR 24시간째와 HDR 48시간째) 최대에 이르렀 으며, 혈청 CK 수준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난 반면 근통증에서 세션 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무릎 관절을 이용한 MVIC 및 ROM과 같은 신경근 기능 지표 및 VM을 제외한 모든 QG 근육 반향세기는 운동 직후 극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 후 72시간까지 점진적 회복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경근 기능 지표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RF 및 VL 반향세기에서 세션 내 및 세션간 유의한 차이(p<.01)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ECC를 함유한 DR 운동 시 운동 강도는 DOMS 및 신경근 기능 지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혈청 CK 수준과 함께 RF 및 VL의 근육 반향세기는 운동 강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연구결과는 DR 동안 ECC를 겪는 QG 내 국소 근육 간 근손상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초음파 근육 반향세기가 국소 근육의 EIMD 심각성을 차별화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기법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agnitude of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EIMD) after downhill running (DR) of different intensities and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muscle echo intensity as biomarkers to detect regional damage within quadriceps muscle group (QG) following DR. Healthy college-age men (n=11) were experienced twice DR sessions [50%HR max DR, LDR; 70%HR max DR, HDR] separated by a 2-week wash-out period with the random order. After DR, severity of EIMD according to exercise intensity were determined by serum creatine kinase (CK) activity, muscle tenderness, and neuromuscular function indicators such as a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and range of motion (ROM). Transvaginal B-mode imaging had been employed to evaluate regional muscle echo intensity within QG [rectus femoris, RF; vastus lateralis, VL; vastus medialis, VM; vastus intermedius, VI]. After both DR sessions, changes in serum CK activity and muscle tenderness have tended to more increase in HDR compared to those of LDR.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ercise intensity during DR and the time course of serum CK activity(p<.05).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sessions in muscle tenderness. The time course of changes in the neuromuscular functions after DR were similar to those of regional muscle echo intensity regardless exercise intensity. Although neuromuscular function showed to decline in HDR more than those of LDR after DR,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sessions. In contras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ssions and time course of changes in RF and VL muscle echo intensity(p<.01), but not shown in those of VI and V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ach muscles within the QG show different response profiles for EIMD during DR, exercise intensity influences on these responses as well. In particular, current findings suggested that muscle echo intensity derived from ultrasound imaging is capable of detecting regional muscle damage in QG following DR.

      • KCI등재
      • KCI등재

        3차원 콘빔CT 영상에서 형성한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의 정확도 증진을 위한 두부자세재현기의 효과

        선민규,엄기수,조진형,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Head Posture Aligner (HPA) dur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 in generation of frontal cephalograms using 3D CBCT images. Methods: CBCT scans and frontal cephalograms were made in 30 adult individuals. While a couple of CBCT scan was made for one subject, one was made with conventional method, without use of HPA, the other was acquired with the use of HPA. After creation of virtual frontal cephalogram from each 3D CBCT image, it was traced and compared with the tracing of real frontal cephalogram. Results: In the comparison of the measurements, the virtual cephalograms with the use of HPA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real cephalograms whereas the virtual cephalograms without the use of HPA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al cephalograms in many measurement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measurements of the real cephalograms, the virtual cephalograms with the use of HPA showed higher correlations in all measurements than the virtual cephalograms without the use of HPA. Conclusions: Measurements from CBCT-generated cephalograms become similar to those from real cephalograms with the use of HPA during CBCT scan. Thus, the use of HPA is suggested during the CBCT scan in order to construct accurate virtual frontal cephalograms using 3D CBCT images. 본 연구는 3차원 콘빔CT 영상을 이용하여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 형성 시 두부자세재현기(Head Posture Aligner, HPA)를 이용한 경우와 이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HPA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먼저 일반적인 방법으로 콘빔CT 영상을 채득한 후 HPA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부자세를 재현한 상태에서 또 하나의 콘빔CT 영상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3차원 영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PA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와 HPA를 이용한 경우 각각에서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을 형성한 다음 각각의 투사도를 작성하고 실제로 HPA를 이용하여 촬영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투사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거리 및 각도를 나타내는 여러 계측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HPA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수의 계측항목에서 실제 정모두부방사선사진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HPA를 이용한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실제 정모두부방사선사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HPA를 이용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모든 항목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3차원 콘빔CT 영상을 이용하여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 형성 시 정확한 영상 획득을 위해서는 콘빔CT 촬영 시 HPA의 사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redictive Factors of Postneonatal Epilepsy: The Significance of Follow-up EEG Changes

        선민규(Min Gyu Seon),박문성(Moon Sung Park),이장훈(Jang Hoon Lee),정다은(Da Eun Ju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1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1 No.4

        목 적 : 신생아경련이 있었던 만삭으로 태어난 신생아에서, 신생아기이후의 뇌전증에 대한 유병률 및 중증도 뿐만 아니라 예측인자에 대하여 평가하려 한다. 방 법:생아경련이 있었던 50명의 환아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최소한 12달 이상의 경과를 추적관찰 하였으며 신생아기이후 뇌전증을 예측하게 하는 다양한 인자들을 도출해 내기 위해 단변량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뇌파 및 신경영상 검사, 그리고 다양한 임상적 소견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신생아 경련이 있었을 때 시행한 초기 뇌파검사에서 비정상으로 확인되었던 경우에는 최소한 1-3달 후에 뇌파 추적검사가 이루어졌다. 결 과:신생아경련이 있었던 50명의 환아 중 12명(24%)이 신생아기이후의 뇌전증으로 진행하였다. 이 12명 중 9명(75%)은 결국에는 항뇌전증약을 복용하지 않고도 경련의 재발이 없었고, 12명 중 3명(25%)은 평균 추적관찰기간 52 개월의 마지막 추적 관찰시까지 경련이 있었으나 변형된 angel 분류법의 2 또는 3단계의 경련을 경험하였다.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뇌파와 MRI의 이상소견, 동반된 뇌병증여부, 사용된 항경련의 수가 많을수록 신생아기이후의 뇌전증발생과 연관성이 높았다(P<0.05).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추적 뇌파 검사에서 지속적으로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에는 신생아기이후의 뇌전증과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adjusted odds ratio =20.78; P =0.016). 결 론:신생아기 이후의 뇌전증의 경우, 난치성 환아들의 예는 비교적 적었고 예후가 좋았다. 뇌파와 MRI의 이상소견, 동반된 뇌병증, 사용된 항경련의 수가 많을수록 신생아기이후 뇌전증의 좋은 예측인자로 볼 수 있었다. 이중 추적 뇌파의 경우 신생아기이후 뇌전증 환자에서는 뇌파에서 지속적으로 이상소견이 있었던 경우가 많았다. Purpose : To describe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postneonatal epilepsy after neonatal seizures in term neonates as well as to evalu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postneonatal epilepsy. Methods : Retrospective analysis of 50 children who experienced neonatal seizures. In children with at least 12 months of follow-up data,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dictive factors of postneonatal epilepsy. Electroencephalography (EEG), neuroimaging studies, and other clinical variable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Infants with abnormal EEG recordings in the initial studies underwent a follow-up EEG examination at 1 or 3 months later. Results : Twelve of 50 neonates with neonatal seizures (24%) developed postneonatal epilepsy. Seventy-five percent (9 of 12) of the children with postneonatal epilepsy were eventually seizure-free without AED (antiepileptic drug), and 25% (3 of 12) had seizures at the last follow-up (modified angel classification 2 or 3, mean follow-up period; 52 months). On the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bnormal E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combined with encephalopathy and the number of AEDs were correlated with postneonatal epilepsy (P <0.05).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persistent abnormality on the follow- up EEG was correlated with postneonatal epilepsy (adjusted odds ratio=20.78; P =0.016). Conclusion : The number of intractable cases was relatively low, indicating good prognosis in postneonatal epilepsy. Abnormal EEG, MRI findings, combined with encephalopathy, and the number of AEDs were very good predictors of postneonatal epilepsy. The persistent abnormality in the follow-up EEG was more frequently seen in postneonatal epilepsy patients.

      • KCI등재

        What determines dental protrusion or crowding while both malocclusions are caused by large tooth size?

        Sun, Min-Kyu,Kim, Jae-Hyung,Cho, Jin-Hyoung,Kim, Jeong-Moon,Hwang, Hyeon-Shik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Objective: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lateral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dental protrusion and crowding in order to determine what factors affect dental protrusion or crowding while both malocclusion types are caused by large tooth size. Methods: Twenty nine individuals with dental protrusion and 22 individuals with dental crowding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had larger teeth than average and Class I molar relationships.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and hyoid bone positions were determined from lateral cephalograms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In the comparisons of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the measurements indicating maxillary length and facial convexity showed greater values in the protrusion group than in the crowding group. Comparisons of hyoid bone positions showed that the hyoid bone was positioned more anteriorly and superiorly in the protrusion group than in the crowding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some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and tongue position may affect the development of dental protrusion or crowding; when an individual has large teeth, dental protrusion or crowding might be determined according to maxillary growth and tongue position. 치아크기가 전반적으로 클 때 어떤 환자에서는 전돌이 나타나는 반면, 어떤 환자에서는 치아밀집 현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치아전돌자와 치아밀집자 간의 측모두부방사선규 격사진상의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치아전돌 또는 치아밀집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치아크기가 정상에 비하여 크면서 제1급 구치관계를 가지는 치아전돌자 29명, 치아밀집자 22명을 선정한 후 중절치부터 제1대구치까지 치아크기를 비교하는 한편,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 투사도를 작성하고 골격형태, 설골 및 절치 위치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계측치를 설정하고 치아전돌자와 치아밀집자 양군 간의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선정된 치아전돌자와 치아밀집자의 치아크기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골격형태를 나타내는 계측항목 중 S-N, A'-Ptm', SNA, ANB, 그리고 facial convexity에서 치아전돌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큰 값을 보였다. 또한 설골의 수직위치를 나타내는 hy-PP와 hy-MP는 치아전돌자에서 통계적으로 더 작게, 설골의 전후방 위치를 나타내는 hy'-Go는 치아전돌자에서 통계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치아전돌자가 치아밀집자에 비해 골격적으로는 상악전돌 경향을 보이고 설골의 위치는 전방 또는 전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이러한 차이가 치아전돌 또는 치아밀집 결정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Cardiac Autonomic Responses and Adaptation to Repeated Bouts of Eccentric Exercise

        김춘섭,선민규,김맹규 한국운동생리학회 2020 운동과학 Vol.29 No.4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cute eccentric resistance exercise (ERE)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to determine whether cardiac autonomic regulation adapts to the repeated bout effect. METHODS: Isokinetic eccentric exercise consisted of five sets of six maximal contractions of the knee extensor with an angular velocity of 90°/second. College-aged men (n=11) underwent two sessions of ERE with a 3-week interval. Muscle damage indicators such as the range of motion (ROM) and muscle echo intensity (EI) were measured. The post-exercise cardiac autonomic response was assessed by spectral analysis of HRV. Low frequency (LF) and high frequency (HF) bands, the normalized unit (nu) for each band power, and the LF-to-HF (LF/HF) ratio were determined. All variables were recorded at 24, 48, 72, and 96 hours post-exercise as well as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ERE. RESULTS: The EI and ROM of the rectus femoris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maximal ERE.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ime and bout for EI. Significant changes in LF and HF nu were observed at 72 (1st ERE) and 96 hours (2nd ERE) after each ERE. The LF/HF ratio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t 24 (1st ERE) and 72 hours (2nd ERE) after each ERE. However, no interaction effects on changes in the HRV indices were observed.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cute ERE leads to cardiac autonomic imbalance for a sustained period and that repeated bouts of ERE cannot alleviate cardiac autonomic responses to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