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화장품 가격대별 용기디자인의 후가공에 관한 연구

        석승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2

        Cosmetics have become a necessity to express one’s personality and beauty along with the function of skin care. The cosmetics industry is not influenced by the economy. As the cosmetics market rapidly expands due to the various functions and formulations of cosmetics, it has developed into a high value added industry. Korean cosmetics has been growing steadily overseas due to the impact of K-Beauty. New and varied cosmetic brands require differentiated brand identity as an important marketing tool to compete with. The market is segmented, advanced, individualized and specialized producing small quantity of new various products to meet consumers' needs. Differentiation of products is required not only for the performance of contents, but also for the appearance of the container which is a factor of direct selection of consumer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post-processing techniques of cosmetic containers design and by price ranges as for a design element for differentiated brand identity. The material, function, finishing coating, plating and printing of contain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choose the finishing materials and materials suitable for the container design. Also it is found that function of a suitable container increases the differentiation and value of the product. This study aims to indicate the utility of post-processing and the direction to increase the brand identity. 화장품은 피부보호와 관리의 기능과 더불어 자신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생활의 필수품이 되었다. 화장품 산업은 경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산업으로 다양한 화장품의 기능과 제형의 개발로 빠르게 화장품 시장이 확대되면서 고성장의 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하였다. 국내 내수 시장은 물론 K-Beauty의 영향으로 해외에서도 한국 화장품의 위상을 높이며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나날이 출시되는 새 브랜드와 다양한 제품은 타사의 제품과 구분되고 경쟁하기 위해,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요구되며 마케팅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소비자의 소비형태 변화로 시장은 세분화 되면서 고급화, 개성화, 전문화 되고,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고자 새로운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제품의 차별화는 내용물의 성능은 물론,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선택의 직접적인 요인이 되는 용기의 외관에도 요구되고 있다.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을 위한 디자인적 요소로서의 용기디자인 후가공 처리기법과 가격대별 화장품의 용기디자인 후가공 처리기법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용기의 재질, 기능, 후가공의 코팅, 도금, 인쇄로 나눠서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용기 디자인에 필요한 후가공과 재질 선택의 중요성, 그에 맞는 용기의 기능이 제품의 차별화와 가치를 높여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후가공의 역할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방향을 제시해 본다.

      • KCI등재

        참여디자인을 통한 신평지구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연구

        석승민,민지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1 No.-

        In recent years, the transition from urban policy of quantitative growth to urban policy of qualitative maturity has begun in earnest in Korea due to the new paradigm of urban regeneration. This led to the important issue of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area by introducing the function of sustainable cities. As an urban policy of qualitative maturity, this study aims to consider ways to promote urban regeneration in Sinpyeong through participatory design in order to restore functions in the Sinpyeong district according to the Pyeongtaek City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The Sinpyeong district urban regeneration project emphasizes the regional capacity building program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human-centered local community, and expresses the importance of the utilization of local assets and continuous monitoring by local governments. It also proposes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effects and problems of comprehens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articipating design will be the right way to carry ou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a way for all members of the urban community to participate. This study is a case study incorporating various reports and literature surveys and questionnaire methods.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the comprehensive implement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continuous management system.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에서는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해 양적성장의 도시정책에서 질적 성숙의 도시정책으로의 전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기능을 도입하고자함으로써 지역의 관리 및 운영이라는 중요한 이슈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질적 성숙의 도시정책으로서 평택시 도시재생전략계획에 따른 신평지구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대하여 역세권 기능회복을 위해 참여디자인을 통한 신평지구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신평지구도시재생사업은 인간중심의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지역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강조하며, 지역자산 활용 및 지자체의지속적인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피력한다. 또한, 종합적인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효과와 문제점 등 성과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시재생 활성화에 있어서 참여디자인은 도시 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방안으로 올바른 도시재생사업의 수행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각종 보고서 및 문헌 조사와 설문지 방법을 접목한 사례 연구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종합적 추진방안과 지속적인 관리체계의 기반이 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 연구 : 수내역 일대 대학 협업사례를 중심으로

        석승민,민지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4 No.-

        In 2022, K University in Gyeonggi-do was selected for the local university collaboration project i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 This project formed a consortium with the Sunae Station Merchants Council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n integrated brand and joint marketing in the Sunae Station commercial district.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ly linked classes, and based on this, we attempted to identify and propose the process of capstone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capstone design course, learners can identify and solve problems faced in the industrial field and strengthen their ability to apply them to actual work, which can be of great help in setting career paths. This project was carried out for one semester as part of the 4th-year design content development project and developed joint marketing contents for creating an integrated brand and application, building an integrated brand and emblem. The research process identifies problems and improvements through field research, produces design content results, and applies them to joint marketing to maximize promotional effects.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analysis and merchant interviews, satisfaction was high a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reativity. This study concluded that a flexibl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in which students, professors,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can maintain relationships of mutual development.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developing integrated content will improve the positive image perception of the commercial district in the area and help create sustainable local vitality by strengthening the brand.

      • KCI등재

        세대 간 신체운동이 연동되는 인터렉티브게임 개발 및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석승민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3

        This research is a synthesized work of 1st year on “Development of physical interactive game technology communicating exercise of each generation for universal design playground space.” This is a part of Desig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which has been supervised by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from October 2015 to September 2017. Implementing relationship verification between generational play action analysis and physical ability’s interlocking factor types, is fulfilled to present a new concept of universal design playground space that is for later trans-generation. First of all, research validity was proposed through the needs of this research and progressed the basic research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lay and game related theory, examination of playing facilities transition process and preceding research. Also during the process of research, comparison between children’s playground and exercise facilities for elders gave generational exercise interlock factors. Moreover, a map for generational interaction was constructed to consider the linkage of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Through this process, we have categorized the game contents as Exercise, Puzzle, React and Memory. The difficulty setting for all of these contents can be selected by the user. Development of design includes a Mode Controller, 2 types of Land Reclamation Sensing Device and 4 types of Attached Sensing Device. These new design development will standardize outdoor game industry through using multi complex sensor system which can detect physical ability effectively by touching, pressuring, distance sensing and etc. Index of evaluation for usability verification was prepared through software and hardware interlock verification and a pilot implementation of playground environment.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signifies to enhance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activity through learning social rules and physical strength within the area of playground. 본 연구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주관하는 디자인 전문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2년에 걸쳐 ‘세대 간 신체운동이 연동되는 체험 형 인터렉티브게임 기술개발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놀이 공간구현’을 수행하는 사업의 1차년도 연구결과를 종합하였다. 이를 위해 세대 별 놀이행동분석과 신체능력에 따른 신체운동 연동요소의 유형과의 관계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초세대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놀이 공간구현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연구의 필요성을 통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하였고 이론적 고찰에서 놀이 및 게임관련 이론고찰과 놀이시설의 변천과정 검토, 선행연구 들을 통해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는 어린이 놀이터와 고령자 운동시설을 비교하고 세대 간 운동연동 요소 추출하였다. 그리고 세대 간의 상호작용의 연동을 복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세대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맵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게임 콘텐츠를 운동 형, 퍼즐응용 형, 순발력이용 형, 기억력활용 형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였고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 스스로 난이도를 설정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자인개발은 모드컨트롤러, 바닥매립 형 센싱디바이스 2종, 부착 형 센싱디바이스 4가지로 터치, 압력, 거리 감지 등 세대별 신체능력의 효과적 감지를 위한 다축복합 센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외게임의 새로운 디자인개발 기준안을 마련하였다. 이후 검증을 위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연동 검증과 실제 놀이터 환경에서의 시범구현을 통한 사용성 검증을 위한 평가지표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놀이터에서 놀이 및 게임을 통해 초세대를 위한 신체적 근력과 사회적 규율을 학습하고 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활동 증진을 위한 기준안 마련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 지자체 디자인 행정체제의 수월성 제고방안 연구

        석승민(Seok, Seung Min),임헌혁(Im, Hun Hyou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6 No.-

        한국의 산업디자인 부문 경쟁력은 세계적 수준에 다달았다고 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우리 삶의 공간인 도시환경 수준은 아직도 개선해야할 여지가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도시환경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부각된 것이 도시디자인이다. 또한, 도시 행정에서 디자인이 차지하는 역할이 크고 중요하다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동의를 얻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 도시디자인 체계는 몇 가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관주도에 의한 일방적이며 획일적인 이미지 조성을 수 있는데, 이는 행정의 무계획성과 비효율성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도시행정의 목적이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면 그러한 방법의 하나로서 행정에 ‘디자인’을 제도적으로 도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디자인 수월성제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현행 도시디자인 관련 행정체제의 유형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우리나라 디자인행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그에 따라 도시마다 디자인관련 부서들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첫째, 도시디자인 행정의 패러다임에 대한 인식전환, 둘째, 도시 디자인 행정체제 개편과 사업 총괄부서에 의한 통합적 계획 수립, 셋째, 디자인 부문의 전문성 확보와 협력적 체제 구축, 넷째, 디자인 기본법 등의 제도 정립을 통한 지속적이며 효율적인 디자인 행정시스템 구축을 제시한다. Regarding competitiveness in industrial design field, it could be said that Republic of Korea has reached the global standard, but urban environment standard, space that we live, still has lots of improvement to make, relatively speaking. It is urban design that has been magnified as means to improve level of urban environment. Also, even though recognition that design takes a major role in urban administration has been gaining social agreement, some issues have been exposed in current urban design system. a typical example would be image building led solely and uniformly by the authorities, which has been resulted from planless nature and in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If a goal of administration is to improve ‘living standard’ of residents, one way of achieving this goal is to institutionally bring ‘design’ into administr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done survey analysis on types of administrative system about current urban design to propose a plan for improving excellence of urban design. Thus, realistic ways to settle the issues that design-related divisions of each cities are facing, are first, change of recognition in paradigm of urban design administration, second, establishment of integrated plans done by reorganization of urban design administrative system and general business department, third, securing professionalism and building cooperative system on design area, fourth, proposal of securing continuous and effective design administrative system through establishing systems such as fundamental laws of design.

      • KCI등재

        공감각의 인지요소 중 시각적 촉감에 관한 연구 - 20세기 대표미술작품을 사례로 -

        이영화,석승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1

        Human synesthesia is a perception that is formed from interactions, placing parameters on senses. Synesthesia can be embodied into perceptions by five senses. Perception could possibly be generated by an independent sense whereas by interactions, one sense is transferred and comes to a recognition as another. For instance, colors are described 'warm' or 'cold,' and shapes are 'sharp', 'soft', 'heavy' or 'light.' Adjectives that express one sense being applied to a different sensory field mean orders of sensual and emotional qualities have common factors. This could be lead to a new design method that stimulates human sense. Given the background, this study was started focusing on sense shift rather than existing knowledge on five senses. Choosing the 20th century's significant art works as subjects, case study on 'visual tactility' which is a touch experience enacted via seeing and feeling without physical touch was practiced. Transition process of factors that causes tactile sensation by seeing the subjects was examined, given that visual tactility can be defined as an indirect touch that comes through sensory organ called eyes. 50 undergraduates of each gender were chosen to pick an adjective amongst solid, tender, coarse, sleek, grainy and soft, to describe the feeling that comes from 'tactility' among types of synesthesia. Throughout the research, it was concluded that once tactile distance that causes attempt to contact by primary eye touch and sensory factor of touch are formed, visual tactility takes a place. As properties of other sensory factors such as hearing, smell and taste may be required in further studies, this thesis shall be retrieved as preliminary data. 인간의 공감각은 감각을 매개로 하여 어떤 대상을 교감할 때 인간이 받아들이는 인지를 말한다. 공감각은 다섯 가지 감각에 의한 인지로 구체화될 수 있는데, 이는 각각의 독립적인 감각으로 인지하기도 하지만 상당부분 서로 보완적 역할을 하며, 서로 상호작용에 의한 하나의 감각이 다른 감각으로 전이되어 인지하기도 한다. 즉, 어떤 색이 따뜻하거나 차갑게, 형태가 날카롭거나 부드럽게, 혹은 무겁거나 가볍게 보인다고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듯 하나의 감각적 특질을 표현하는 형용사가 다른 감각분야에 적용됨은 감각적인 특질의 질서와 감성적인 특질의 질서 사이에 공통적인 요소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인간의 감정을 더욱 자극시킬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의 새로운 시도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단편적 오감연구를 벗어나 서로 다른 감각으로의 전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대상의 선택은 시각적 자극의 비중이 높은 20세기 대표미술작품을 사례로 피부로 접촉하지 않고, 눈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촉각적 경험인 ‘시각적 촉감(visual tactility)’에 대한 인지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는 작품을 시각적으로 보면서 촉감을 유발하는 요소들의 전이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른 진행으로 대학생을 기준으로 여성 50명, 남성 50명에게 공감각 중 촉감을 통해 감상자의 느낌을 6가지의 대표적인 형용사(단단하다, 보들보들하다, 거칠다, 매끈하다, 오돌토돌하다, 부드럽다)를 추출하는 설문지법을 이용해서 작품에 적용되는 느낌을 연구하였다. 결국, 시각적 촉감은 눈이라는 감각기관을 통한 간접 촉감을 말한다. 이는 일차적인 눈을 통해 만져지는 접촉심리를 유발하는 경험적 촉각거리를 확보하고 다음으로 촉감이 가지는 감각적 요인이 생성될 때, 시각적 촉감이 생성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향후, 시각적 촉감 이외에 다른 세 가지 감각요소(청각, 후각, 미각)의 특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본 논문이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적용한 지자체 CI 개선 방안 - 평택시 사례를 중심으로 -

        민지영,석승민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3

        Many modern cities are making efforts to visualize and promote the identity of the region through the City Identity (CI) with differentiated image strategies. The core of CI is to convey the city's positive image to its inmates. It seek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cities and aims for its image in the profit dimension of the city. Failing to keep up with this trend, the Pyeongtaek CI has yet to come up with a new alternative since it was produced in 1995. Therefore, it does not reflect the current image of Pyeongtaek and its vision for the future. Application design is also very low because it is not divers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I status of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facing the brand of Pyeongtaek City, and redesigns the existing CI with a modern sense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as a way to improve it. By applying the variable identity system to the application design linked to this, the fundamental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city brand in Pyeongtaek is emphasized. In addition, a design strategy has been set up so that the collaboration of citizens, administration, regions and experts can create a complementary synergy effect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brands. The new CI in Pyeongtaek will not merely visualize the image of the region, but will be able to establish itself as elements that can promote and commercialize city brands. 현대의 많은 도시들은 차별화된 이미지 전략으로 CI(City Identity)를 통해 그 지역의 정체성을 시각화하여 홍보하려는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CI의 핵심은 그 도시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는 다른 도시와의 차별화를 꾀하고 도시 그 도시의 이익차원에서의 이미지를 지향한다. 이러한 흐름에 편승하지 못한 평택시 CI는 1995년에 제작된 이래 아직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평택의 모습과 미래의 비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응용디자인 또한, 다양하지 못하여 그 활용성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평택시의 브랜드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들 CI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기존 CI를 지속성은 유지하면서 현대적 감각으로 리디자인 한다. 이와 연계한 응용디자인을 가변적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적용하여 평택시 도시 브랜드 강화를 위한 근본적인 방법을 강조한다. 또한, 지역 브랜드 개발을 위해 시민, 행정, 지역, 전문가의 협업이 상호보완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디자인 전략을 세웠다. 평택시의 새로운 CI는 단순한 지역의 이미지를 시각화하는 것이 아닌 도시 브랜드를 홍보하고 상품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로 자리 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이조시대 궁중의식의 주제색채 고찰 : 의궤의 색채분석을 중심으로

        임헌혁,석승민 경희대학교 디자인연구원 2005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8 No.2

        민족의 전통적인 색채문화는 그 민족의 사상과 기질 그리고 자연환경 등을 반영하며 이들과 복잡하고 미 묘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적인 색채 역시 오랜 역사 속에서 각 시대의 문화적 요인들의 영향을 받으며 고유의 흐름을 형성해왔고 이러한 흐름은 희미하게나마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국인의 전통색채를 이해하는 가운데 우리 민족 전통색의 의미를 이해하고, 전통색의 활용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우리민족의 가장 화려했던 이조시대의 왕실 축제를 원천 소스로 제시하여 국왕과 왕비의 혼례복의 구성 및 혼례복에 나타난 색채를 중심으로 그것이 지닌 의미와 상징성을 파악하였다. 전통시대 의복의 색채는 단순한 미적 감각만을 따지는 것이 아니었다. 그것에는 왕실의 위엄과 권위와 함께, 전통적인 음양오행사상이 담겨져 있었다. 이외에 궁녀와 내관 등 왕실 축제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의복에는 그에 대한 색채와 재료와 치수 등에 대한 상세한 규정이 있었다. 조선시대 왕실 행사의 주요한 내용을 기록으로 정리한 의궤에는 이러한 부분들이 매우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어서 전통 시대 문화의 면면과 함께 왕실축제에 나타난 당시인들의 사상과 의식과 사상 체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우리 전통문화의 진수를 담고 있는 의궤와 같은 자료의 적절한 촬용은 이조시대 왕실문화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에 전통 색의 기본적인 이해와 그 활용을 위한 방안의 제시로 가장 장대하고, 우아하고, 특징 있는 역사적 유물의 분석을 통해 전통 색채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한 한국전통색채를 제공함으로서 국가 산업 경쟁력 제고와 궁극적으로 국민 개개인에게 우리 문화,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회복시키려한다.

      • KCI등재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평택시 홍보 디자인 개발

        이영화,석승민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6

        In the glocal era, the competition becomes more intense in regional development centered around cities rather than countries. This suggests that increasing the city’s unique charms through a positive city image can allow the city to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competi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ositive image of Pyeongtaek City, presenting the valu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image it would pursue, aiming to develop a promotional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the city image. A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this study recognized the city image as an efficient means of public relations of the city from its concept and necessity.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analysis of status and image of Pyeongtaek Cit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ositive image of Pyeongtaek City,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a promotional design of its administration and a plan for utilization in the manual, proceeding by stages. 글로컬(Glocal) 시대는 국가 단위보다는 도시 중심의 지역 발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도시는 이미지의 생산과 소비를 통해 지역 발전의 가치를 창출한다. 이는 긍정적 도시 이미지를 통해 그 도시만의 매력을 높이는 것이 지역 발전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평택시의 도시 이미지 개선을 위한 홍보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평택시가 추구하고자 하는 이미지 가치와 발전방향의 제시함으로써 평택시의 긍정적 이미지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도시 이미지의 개념과 필요성에서 도시 홍보의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도시 이미지를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평택시에 대한 현황 분석과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단계별 진행으로 시정홍보 디자인 개발을 통한 결과물과 활용방안 등을 매뉴얼에 제시하여 평택시의 긍정적 이미지를 개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