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 문화예술활동의 사회적 의미 고찰 - 서울시 마을예술창작소 사업의 일상성, 공동체성, 공공성을 중심으로

        서윤경 ( Seo Yoon-kyou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1

        본 논문은 도시정책의 맥락에서 일상적 도시공간, 생활문화 그리고 시민 간 관계성에 주목했다. 특히, 서울시가 추진하는 다양한 마을공동체 사업 중 `마을예술창작소 사업`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일상에서의 예술실천이 `상징적 경제` 논리의 영향 아래 놓인 일상을 변화시키고 공동체적 삶을 회복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진단해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첫째, 마을예술창작소는 일상생활의 실천성에 기초하여 일상영역에 창조적 변혁을 불러올 수 있는가. 둘째, 마을예술창작소는 예술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가. 셋째, 마을예술창작소를 통해 개인이 수행하는 일상적 문화예술 활동은 사회적 문제를 공공영역으로 끌어내 개인의 일상은 물론 사회변혁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긍정적인 답변을 주장할 수 있다. 마을예술창작소를 매개로 지역주민은 공동체 안에서, 공중이 되어 공론을 만들고, 일상적 예술실천을 통해 일상을 변화시키고 지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스스로 만들어갈 수 있다. 지역주민은 문화예술 소비에서 스스로 생산자가 되고 마을을 자치의 공간으로 만들면서 매일매일 일상을 진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마을예술창작소가 그 의미를 일상의 영역에서 실현시키는 동안 부딪쳐야 할 장애물은 여전히 존재한다. 첫째, 독립적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던 예술영역과 공동체 영역의 거리는 `나 홀로 예술`을 양산하고 끼리끼리 문화를 재생산하는 것은 아닌지, 마을예술창작소와 거리를 두고 있는 주민에 대해 무관심한 것은 아닌지 진단해 볼 필요는 있을 것이다. 둘째, 경제적 곤란과 지원 행정주체와의 엇박자 등으로 인해 생활세계로 복귀된 예술의 영역이 다시 체계의 논리에 지배받을 수 있을 가능성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noted how urban spaces, urban culture and citizens were relate to one another in the context of urban policies. It paid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Art Valley Factory Project` initiated by the City of Seoul to free the everyday lives from the influence of `symbolic economy`, and to restore the communal live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can informal arts activities practiced in Art Valley Factories bring creative changes to citizens` everyday lives? Second, can they develop a sense of communities by encouraging local community members to participate their art programs? Third, can they recognize local communities` pending questions through art practices and bring them into public sphere? By employing participant interviews and multiple observations as data collection techniques, this study concluded that Art Valley Factories have found their creative ways to solutions to community issues with locals who were able to sy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their neighbors, formulate community agendas, and renovate everyday lives. However, Art Valley Factories still struggle with multiple obstacles including persistent distance between art sphere and community and financial dependence on city funds.

      • KCI등재

        미디어 파사드의 장소성 형성요소 연구

        서윤경(Seo, Yoon K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파사드가 형성하는 공간의 특성을 기존 실존주의적 ‘장소’ 개념을 이루는 장소성 형성요소의 범주에서 분석함으로써 현대 건축·도시공간의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장소성 형성요소의 성격을 정의한다. 둘째, 현대 공간의 특성을 반영한 장소성 형성요소가 각기 다른 유형의 미디어 파사드를 통해 어떻게 인간과 공간, 인간과 인간의 소통을 이끌어 내는지 분석함으로써 장소성 회복의 가능성을 가늠해본다. 문헌연구를 통해 실존주의적 ‘장소’ 이론에 근거한 ‘장소성’ 형성요소를 파악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미디어 파사드가 형성하는 공간적 특성을 기존 ‘장소성’ 형성요소의 성격과 비교했다. 첫째, 미디어 파사드는 비물리적속성을 가지며, 인간과 간접적인 상호작용을 한다. 둘째, 미디어 파사드는 정보공간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물리적 표면에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인간 행위에 따라 공간적 맥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셋째, 미디어 파사드는 개인적 의미의 공존과 초시공간적인 의미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미디어 파사드의 유형별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유형의 미디어 파사드는 즉시성과 한시성이라는 시간적 요소를 포함한다. 둘째, 건축물 투사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비실재성을 강하게 띠며, 공간의 개인적 의미화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미디어 파사드는 다양한 인간의 행위를 공간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이를 통한 사회적 소통을 도모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a question that the existentialistic concept of ‘placeness’, which emerged in opposition to the uniformed architecture of the early 20th century, became limited in accounting for placeness created by non-existential elements of current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s combined with network-based ubiquitous technolog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it aimed to illustrate attributes of the space formed by a media facade, a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form equipped with media, in the context of ‘place’ theory. Second, it aimed to analyze how different types of media facades coordinated their elements of placeness to promote social communications which had been absent in modern urban spaces. Secondary research was used for this study as a research method to reveal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elements of media facades, distinct from the conventional concept of ‘place’. First, media facades take on immateriality and interact with humans indirectly. Second, media facades instantly change themselves respon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information spaces and their spatial context can be changed by human activities. Third, media facades enable individually developed meanings to coexist in a space and social meanings to develop beyond time and space restricts. Case studies was also employed to reveal similarities and disparities in creating placeness across three different types of media facades: architectural installation, projection, free-standing structure. First, all types of media facades assume the spontaneity and temporality. Second, the projection type is distinctive in expressing immateriality and conveying individually developed personal meanings. Third, all media facades draw human activities into a space, thus promoting social communications.

      •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소로서 유비쿼터스 가로에 대한 고찰

        서윤경(Seo, Yoon K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29 No.-

        유비쿼터스 가로는 그 기술적 속성이 강조되어 개념화되어왔는데, 이는 가로의 공공공간적 역할을 간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기적 상호작용을 기술적 근거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술과 도시민들 간 소통의 장소로서 기능해왔던 가로의 융합인 유비쿼터스 가로에서 어떻게 ‘사회적 상호작용’이 형성되고, 인식되고 있는지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소통의 상호작용 원칙”을 목표로 조성된 강남대로 U-Street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했다. 직접관찰조사, 설문조사, 인터뷰 등의 연구조사방법을 사용해, 강남대로 U-Street을 유비쿼터스 가로로 특징짓고 있는 미디어 폴이 강남대로 U-Street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미디어 폴 이용은 정보 획득을 위한 개인행위이기 보다는 개인집단별 행위이다. 둘째, 미디어 폴의 ‘포토 메일’ 컨텐츠는 미디어 폴 이용을 촉진시키는 주요 서비스지만, “개인적인 행위”로 간주되어 다수 참여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제한한다. 셋째,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수- 도시민들 간 공유된 조우, 거리문화 체험의 공유, 도시민들에 의한 정보의 생산, 의견의 교류, 감정의 소통 - 과사회적 상호작용의 정도를 회귀분석를 통해 분석한 결과, 도시민 참여 쌍방향적 도시정보 생산에 대한 기술적 지원은 사회적 상호작용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The technical dimension of ubiquitous streets has been often emphasized over its social aspe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social interaction was formed and perceived in a ubiquitous street - a hybrid of ubiquitous technology with its technological root in organic interaction and a street with its function being as a place for social communication. Kangnam U-Street, created on the principle of "communicative interaction", was selected as a research site. With the uses of research method techniques including direct observati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his study explored how media poles in Kangnam U-Street could mediate social interaction among its user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Kangnam U-Street users tended to use the media poles to capture the moment of companionship with friends, rather than to obtain the information the media poles provided. Second, the "photo mail" service of the media poles was a major element to promote the uses of media poles. The act of "photo-taking", however, was considered as an "individual activity", thus prohibiting Kangnam U-Steet users from interacting.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echnological support for interactive content generation would work as a solution to the absence of social interaction in Kangnam U-street.

      • KCI등재후보

        일 반 논 문 :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의 재현 방식 -염리동 "소금길" 공간심상 분석을 중심으로

        서윤경 ( Yoon Kyoung Se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5 도시인문학연구 Vol.7 No.2

        서울시 마포구 염리동은 2012년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의 첫 사업지로 선정되었다. 이 사업은 기존 주택지역의 물리적 환경에 셉테드 원리를 적용한 지역공동체 중심 안전마을 조성을 취지로 계획되었고, 염리동 ‘소금길’은 그 결과물이다. 소금길이 조성된 2012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다수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자치위원회는 이곳을 모범사례로 삼아 안전한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디자인안을 기획하고 있다. 서울시는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염리동 소금길 조성사업을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서울시 디자인’의 첫 번째 사업으로 부각시킨다. 언론매체는 소금길 조성을 통한 염리동의 변화에 주목하고 이곳을 ‘마을공동체’를 통한 안전한 ‘지역명소’로서 재현한다. 아마추어 사진가들은 ‘최근 뜨는 출사지’로서 소금길을 ‘따뜻하게’ 바라보고, 그들의 주관적 시선은 블로그 속 사진을 통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렇듯 지방정부, 언론매체, 블로그 등을 통해 재현된 ‘산책하고 싶은 소금길’의 모습은 “떠날 사람은 떠나고, 남을 사람은 남을 어차피 사라져 버릴 동네”라고 말하는 염리동 주민의 시선과 대조적이다. 사실상, 염리동은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물리적,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면서 소금장수들이 사이좋게 모여 살던 ‘소금마을’에서 재개발의 논리 속에 논쟁이 끊이지 않는 ‘염리동 재개발지역’으로, 그리고 안전해서 걷고 싶고 사진에 담고 싶은 ‘소금길’의 모습으로 각각 다르게 심상화되고 있다. ‘소금길’이 형성된 염리동 일대에 대한 매체의 재현방식과 이를 통해 형성된 도시 이미지에 주목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언론매체에 보도된 염리동 관련 기사의 내용을 유형화함으로써 염리동이라는 공간을 대상으로 형성된 사회적 담론과 공간심상의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 둘째 개인 블로그 속 소금길 사진을 유형화함으로써 소금길 이미지를 구성하는 지배적 시선을 분석한다. 셋째 소금길에 거주하는 염리동 주민들과의 인터뷰를 분석함 으로써 언론매체와 블로그가 드러내는 소금길의 모습과 염리동 주민이 이곳을 바라보는 시각을 비교한다. 재개발의 논리 아래 갈등과 소송으로 얼룩졌던 ‘염리 제3,4구역’은 ‘소금길’ 조성 후 이웃과 손님이 함께 하는 장소라는 공간심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철거를 앞 둔 염리 재개발지역과 그 안에 위치한 소금길은 재개발로 인한 주거불안과 범죄로 인한 불안을 여전히 품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논문은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가 안전한 도시공간의 ‘재현’이 아닌 실체적인 도시공간 ‘형성’을 도모하기를 촉구한다. In 2012 Seoul launched a program titled as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to prevent crime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e city of Seoul chose Yeomni-dong as the first model site to implement the program, and resulted in the creation of Salt Way. Since then, this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involving case of Salt Way has been benchmarked by many local governments and regional police agencies. The city of Seoul describes Salt Way in various mass media as the first urban design project initiated by Seoul to solve social problems. Mass media represent it as a ‘local attraction’ promoted by ‘local community’, with an emphasis on its physical and social changes. Many amateur photographers began to call it as a ‘hot place for photographers’, brought photo tours to it into vogue. Local residents, however, express their frustration of having to leave their community once redevelopment begins. Yeomni-dong, indeed, was designated as a redevelopment district in 2004 and has been through rough times with local crimes and other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redevelopment. This study traces the changing urban images of Yeomni-dong Salt Way that have been represented in mass media and blogs. It contains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analyzes media release on the district of Yeomni-dong, so as to present the changes in social discourse and its resulting local images. Second, it categorizes local images which amateur photographers captured and displayed in their blogs, so as to understand how citizens view and experience Salt Way. Third, it compares local images represented in mass media and blogs with those perceived by local resid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local image promoted by mass media and blogs may be false. Yeomni-dong has been described as a redevelopment district afflicted with economic plight and crimes. Since the creation of Salt Way, however, it appeared to be reborn as a model case where a small physical change can strengthen social cohesion and fix all social problems in a few months. Housing insecurity and fear of crimes still remain in Yeomni-dong Salt Way, with redevelopment and eviction impending. This study argue that the city of Seoul “implement”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not to be distracted by “showing” it.

      • KCI등재후보

        미디어 파사드의 국내 연구 현황

        서윤경(Seo, Yoon K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미디어 파사드는 건물 외피를 지칭하는 파사드 (facade) 와 미디어 (media)의 합성어로서 도시 디자인적 요소로서의 건축물과 도시정보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 현재, 네트워크 정보기술의 발전과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제정 등으로 미디어 파사드 설치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파사드가 국내에 도입된 2004년 이후 현재까지 진행된 미디어 파사드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여 관련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미디어 파사드를 주제로 하는 56편의 학회지 게재 논문을 분석했다. 그 결과, 미디어 파사드에 접근하는 연구 관점을 크게 네 가지로 유형화 할 수 있었는데, 건축 디자인적 관점, 미디어 콘텐츠 디자인적 관점, 도시경관 디자인적 관점,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적 관점이 그것이다. 유형별로 분류된 연구논문들 중 연구목적의 구체성, 논리적 결과 도출, 연구조사방법의 타당성을 기준으로 중요 논문을 선정한 후, 논문에 드러난 주된 내용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대조했다. 미디어 파사드 연구 경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기 연구들이 미디어 표현방식과 기술에 대한 유형화와 유형별 사례연구에 치중한 반면, 최근 3년 동안의 미디어 파사드 연구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적 성격이 부각된 콘텐츠 개발로 그 초점이 이동되고 있다. 둘째, 미디어 파사드의 도시경관 디자인적 요소가 강조되면서 미디어 파사드를 이용한 도시정체성 모색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셋째, 미디어 파사드의 상호작용적 특성이 강조되면서 연구조사방법 또한 사례연구 중심에서 선호도 평가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경향분석은 향후 미디어 파사드의 연구가 물리적, 기술적 서술에서 벗어나 도시환경의 맥락에서 사용자경험 중심의 디자인 개발로 이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The compound word "media facade" is formed from the words "facade" and "media", thus implying that it serves as an architectural element in urban design and as a medium to communicate messages to citizens. The construction of media facades has increas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legislation on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enacted in 2008.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media facades since 2004 when the first media facade was constructed in Seoul. This study categorized all 56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7 to current days into 4 research perspectives: (1)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al design; (2) the perspective of media contents design; (3) the perspective of urban design; (4)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design. Among the research papers, some papers with the clear re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ives, the logical generation of research results and the validity of research methods were selected to review.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earch trends in media facades as followings. First, the early studies of media facades placed more emphasis on categorizations of representational modalities and technologies of media facade. Later studies, however, have moved towards the subject of interactive contents development. Second, more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urban identity media facades may form. Third, the interactive features of media facades have been increasingly underscored, thus shifting the research methodology from case studies to user preference surveys. Thi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edia facades directs future research towards user-experience-oriented design development beyond the physical or technical analysis of media facades.

      • 미디어 파사드와 도시민들 간 상호작용의 공간적 이해

        서윤경(Seo, Yoon K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미디어 파사드 관련 연구들은 미디어 파사드의 ‘상호작용적’ 성격에 주목하고 있는데, 본 연구 또한 미디어 파사드와 도시민들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미디어 파사드 관련 연구들이 미디어 파사드와 사용자들 간 상호작용을 ‘방향성’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는 데 반해, 본 연구는 상호작용을 ‘공간적 행태’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상호작용을 미디어 파사드와 개인과의 관계형성으로 간주하는 데 반해, 본 연구는 미디어 파사드가 만들어 내는 공간 안에서 발생되는 도시민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 논문은 미디어 파사드와 도시민들 간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도시공간의 형태들을 서울 스퀘어, 금호 아시아나 항공사옥, 갤러리아 백화점 명품과, 서울시청, LG CNS 상암 IT 센터, SK 텔레콤 T-타워 등 여섯 곳의 국내 미디어 파사드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다양한 공간 행태를 이해하기 위해 미디어 파사드/미디어 보드의 규모에 따라 사례분석 대상지를 선정했으며, 각각의 사례분석 대상지에서 직접관찰조사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Muller, Alt, Michelis and Schmidt의 “관람자 이동” 모델 (2010)과 Fischer and Hornecker의 “상호작용의 공간 유형” (2012)이 제시하고 있는 공간적 언어로 묘사되고 있다. 사례분석의 결과는 서울시청에서 2013년 8월에 진행된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트를 제외한 다섯 곳 모두 디지털 시스템과 도시민들 간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발생시키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물리적 상호작용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미디어 파사드는 극대화된 시각적 노출을 통해 형성된 공간 안에서 다양한 도시민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있다. 중간 규모와 소규모 미디어 파사드는 이와 다른 사회적 상호작용의 행태를 보여준다. 미디어 파사드와 도시민들 간 상호작용을 공간적 맥락에서 이해해 봄으로써 향후 미디어 파사드 관련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edia facad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various academic domains, with their interactivity being noted. This study, too, focuses on the interactive nature of media facades. It, however, breaks away from the ways existing literature approaches the interaction between media facades and viewers. Whereas current literature tends to focus on the "directionality" of interac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behaviors" occurring in the spaces media facades generate. Also, existing literature tends to consider the interaction as an individual communication between a media facade and an individual viewer. This study, however, attends to the collective social behaviors occurring in the space media facades create. Six case studie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spatial scale of media facade/media board. Direct observation technique was employed to collect data, which were, in turn, analyzed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uller, Alt, Michelis and Schmidt"s “Audience Funnel” model (2010) and "Types of Interaction Spaces" (2012) by Fischer and Hornecker. The result shows that different spatial scales generate different interactional modalities between media facades and viewers.

      • KCI등재후보

        생성 인공지능 창작과 저작권의 쟁점들

        서윤경 ( Yoon Kyoung Seo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3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15 No.-

        본 논문은 저작권을 둘러싼 생성 AI와 인간 창작자 간 법적 다툼을 AI 학습과정에서의 인간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AI 생성물의 저작물성, AI 생성물에 대한 저작권 귀속 등 세 가지 쟁점으로 나누어 검토했다. 첫째, AI 기술 혁신은 저작권법을 개정해 AI 학습과정에서의 저작물 이용을 일부 허용하고 인간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제한하도록 했다. 생성 AI 기업을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이 이어지자 AI의 저작물 사용을 엄격하게 규제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둘째, 현행 저작권법은 인간이 표현한 창작물만을 저작물로서 인정한다. AI 생성물을 저작물로 인정하지 않을 경우 AI 산업이 위축될 수 있다는 이유로 저작권법 개정이 꾸준히 요구된다. 셋째, 저작권 보호 범위를 AI 생성물로 확대하려는 법 개정이 모색되지만 저작권은 자연인에게 귀속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여전히 지배적이다. AI 제작자가 AI 생성물에 대한 저작권을 독점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저작권 다툼에서의 승자가 저작권이라는 권리를 얻는다면, 패자는 다른 방식의 법적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 현재의 법체제가 기술 혁신과 그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진단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social conflicts algorithm-generated arts give rise to. It examines whether current legislations and proposed solutions are adequate to alleviate them.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following issues: how AI generated arts infringe copyright, what are required to be copyrighted works, and who are entitled to hold authorship of AI generated arts. First, AI industry has expanded to demand copyright law to allow free uses of copyrighted works. As copyright violation lawsuits and related social cost increase, many countries begin to regulate AI. Second, current legislations grant copyright only to human created works, while criticised as hindrance to the advances of AI technology. Third, there is extensive agreement that it is human individuals who claim a right for AI generated arts. There also exist concerns that a few AI corporations or programmers monopolize profits of copyrighted AI products. Copyright should not be monopolized, considering that the law of copyright aim to promote human culture and arts not to help AI make profits. It is still needed for consistent legal awareness that no citizens should not be excluded from society AI will share with us.

      • KCI등재

        은행의 서비스 디자인 개선 사례 연구

        안혜신(Hye Shin Ahn),서윤경(Yoon Kyoung Se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오늘날의 산업은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개인적인 요구가 증대되면서 보다 혁신적인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경제 또한 선진국형 서비스 경제화가 이루어지면서 서비스시장의 확대 및 제조기업의 서비스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쟁을 심화시켜 고도화된 차별화가 필요하게 됨에따라 서비스 영역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차별화하는 서비스디자인 시대가 온 것이다. 이처럼 디자인에서의 서비스는 새로운 사업의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정의 및 분야, 방향성에 대한 개념의 정립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혁신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인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의 툴(Tool)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며, 은행의 서비스 디자인 개선을 사례로 들어 사용자에게 일관된 이미지와 방향성 있는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서, 디자인교육 및 산업전반에 있어서비스 산업에 디자인학문이 공헌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 서비스 디자인의 개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 서비스 디자인 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국내외 학위논문과 서적을 포함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독일의 도이취 은행의 공간구성과 고객을 위한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데에는 특별한조건들이 요구되는데 서비스 혁신을 위해 유, 무형의 요소를 총체적으로 배열하고 리서치에 근거하여 디자인하는 것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프로세스와 서비스디자인 툴이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고객에게 적절하고 유익한 서비스를 창조하려면, 먼저 사용자의 상황과 니즈, 사고방식 그리고 원동력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하며, 고객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고객에게 고객 관점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industries today rapidly shift from manufacturing products to providing services and various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ersonal needs rise the industries are pressed to provide better and more innovative services. The Korean domestic market is also experiencing rapid changes like the advanced nations. Such change heightens competition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on. Thus, the importance of design is becoming larger in the service area and as such method of differentiation increases it can be said that the age of service design has started. Service in design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business area.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direction established for the fields of service design. This study has approached service innovation in the perspective of design to review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elds of service design, conduct in depth research on the service designing tools, using examples of service design improvements of banks to establish a general concept for the field of service design by providing unified image and experience to users, and in the end contribute to the fields of design education and the overall service industry by providing a base guideline. For this purpose, study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service design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s were conduct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including graduate research papers. Also, a case study of the Deutsche bank was conducted to view service design in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area designs, services, etc.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eed for special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 was found to be a key requirement in order to reorder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and design in accordance to research data for service innovation. To create valuable services for the customers, the needs and condition of the customer must be clearly understood. Base on such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with the customer service design improvement can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